"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l" (땅 위에 살고있는 모든 聖徒여) Text/ William Kethe Music/ Louis Bourgeois (1551) Origin/ Genevan Psalter - Old 100th Sung by/ The Mormon Tabernacle Choir at Temple Square (Audio) 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l, 이 땅 위에 사는 萬 百姓들아 The Lord, ye know, is God indeed; 하나님은, 당신도 알다시피, 眞正한 神이시니, O enter then His gates with praise, 오, 이제 讚揚을 부르며 하나님 門으로 들어가자 For why? the Lord our God is good, 하나님 우리의 神은 善하신 분이시고 To Father, Son, and Holy Ghost, 聖父와 聖子와 聖神에게 ----------------------------------------- * dwell : 살다, 거주하다 * seemly : 알맞은, 적당한, 품위있는, 점잖은, * endure : 견뎌내다, 지속하다 * adore : 숭배하다 * host : 주인, 주재하다 * evermore : 항상, 언제나, 영원토록 <직역 잠용> "Old 100th" (Old Hundredth) Sternold & Hopkins (1628) (The Gospel Song No. 883) (찬송가 1장 만복의 근원 하나님) "Old 100th" "Old 100th"또는 "Old Hundredth" (일반적으로 "Old Hundred"라고도 함)는 Pseaumes Octante Trois de David (1551) (Genevan Psalter의 두 번째 판) 의 Long Metre 찬송가 곡으로 모든 기독교 음악 전통에서 가장 잘 알려진 멜로디 중 하나다. 이 노래의 곡조는 프랑스 작곡가 Louis Bourgeois (1510 ~1560 경)의 공헌에 기인한다. 이 곡은 처음 제네바 시편 134편과 연관되었지만 멜로디는 "100 번째 시편"과의 연관성에서 현재의 이름을 받았다. William Kethe의 번역본에서 처음으로 <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의 제목을 붙였다. 이 곡의 멜로디는 여러가지 다른 가사로도 불려진다. [이 노래의 배경] 제네바 시편은 종교개혁 기간 동안 개신교 활동의 중심지 스위스 제네바시에서 수년 동안 편집되었으며, John Calvin의 가르침에 따라 당시 모국어로 시편을 공동 노래하는 것이 신앙생활의 기초적 측면이었고, 그 때까지는 성직자들에 의해서만 라틴어로 성스러운 본문을 외치는 당시의 지배적인 카톨릭 관행과 대조를 이뤘다. Bourgeois를 포함한 칼빈주의 음악가들은 많은 새로운 멜로디를 제공했으며 신성한 멜로디와 세속적인 소스에서 다른 멜로디를 채택했다. 시편의 최종 버전은 1562년에 완성되었다. 칼빈은 교회예배 중에 야외에서 멜로디를 부르려고 했지만 집안에서 부를 노래를 위해 화성(和聲) 버전이 추가되었다. [가사의 유래] Genevan Psalter에서 이 곡으로 설정된 원래가사는 시편 134 편으로부터 번역되었다. <Sternhold and Hopkins Psalter 스턴홀드와 홉킨스 시편> 1628년의 인쇄에서 나온 오래된 백 번째가 수량적 배경이다. 즉, "You faithful servants of the Lord,sing out his praise with one accord,while serving him with all your mightand keeping vigil through the night.Unto his house lift up your handand to the Lord your praises send.May God who made the earth and skybestow his blessings from on high" (당신의 충실한 종들은 한 가지 합의로 그의 찬양을 외치며, 모든 힘을 다해 그를 섬기고 밤을 철저하게 지켜주며. 그의 집으로 가서 당신의 찬양을 보내 주님께 보내오) 올드 100th는 일반적으로 앵글로-제네반 시편 (1561)에서 유래한 시편 100 편 "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로 시작하는 가사를 노래하는 데 사용되며 스코틀랜드 성직자인 윌리엄 케테에 기인한다. Kethe는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이 시작되었을 당시 제네바에서 망명생활을 했다. 이 버전은 작곡가 Ralph Vaughan Williams의 화성과 편곡으로 1953년 Queen Elizabeth II세의 대관식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첫 번째 구절은 다음과 같다 : "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l, Sing to the Lord with cheerful voice. Him serve with mirth, His praise forth tell; Come ye before Him and rejoice." <올드 100곡>에서 일반적으로 노래되는 찬송가는 1674년 영국의 교회 주교인 토마스 켄이 쓴 Doxology라고도 불리는 본문을 사용하여 "모든 축복의 흐름에서 하나님을 찬양하십시오"이다. 이 찬송가는 원래 "깨어나고, 내 영혼과 태양과 함께"라는 제목의 보다 긴 찬송가의 마지막 구절이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독창으로 불려졌는데. 그 전통적인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Praise God, from Whom all blessings flow; Praise Him, all creatures here below; Praise Him above, ye heavenly host; Praise Father, Son, and Holy Ghost." 해당 텍스트의 현대화된 버전도 널리 사용된다. 멜로디는 긴 미터의 찬송가 텍스트, 즉 각각 8 음절의 4 줄로 사용할 수 있다. 찬송가는 하늘 아래에 살고 있으며, 마지막 구절인 Doxology와 함께 Isaac Watts의 시편 117 편을 바꿔 말하면 일반적으로 곡으로 불려진다. 신성한 하프와 다른 형태의 전통 찬가에서, 이 곡은 David의 <Tate and Brady's A New Version of the Psalms>을 운율적으로 바꿔놓은 "O Come, Loud Anthems Let Us Sing"이라는 텍스트로 불려진다. 다윗의 시편. 인기있는 하와이 버전 <Hoononani i ka Makua mau>는 Hiram Bingham I세에 의해 번역되었으며 찬송가로 출판되었다. [Wikipedia]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항지어다. 할핼루야" All People That on Earth Do Dwell (Melodica ver.) |
'음악·애청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의 가요] "천년지기" (2009) - 유진표 노래 (0) | 2019.04.20 |
---|---|
[추억의 가요] "진이" (1996) - 하이디 노래 (0) | 2019.04.20 |
[인기가요] "어이" (2014) - 크레용팝 노래 (0) | 2019.04.17 |
[추억의 인기팝] "캔디" (Candy 1996) - H.O.T, 노래 (0) | 2019.04.17 |
[K-POP] "작은것을 위한 시" (Boy With Luv, 2019) (0) | 2019.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