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우주·지구·기상 151

[소행성] 필리핀 루손섬 인근에 떨어진 소행성... 지구 충돌 11시간 전 발견

필리핀 루손섬 인근에 떨어진 소행성... 지구 충돌 11시간 전 발견 YTN l 2024년 9월 15일 04:05 (필리핀에 떨어진 소행성...지구 충돌 11시간 전 발견) [앵커] 얼마 전 필리핀에 작은 소행성이 떨어졌습니다. 인류가 지구에 충돌하기 전 발견한 9번째 소행성인데요. 우리는 소행성으로부터 안전한 걸까요? 장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컴컴한 밤하늘을 붉게 밝히며 다가오는 빛. 지난 4일 밤, 필리핀 루손 섬 인근으로 떨어진 소행성, 2024 RW1 (이공이사알더블유원)입니다. 지름 1m로 대기권에서 불타 사라졌는데, 이 정도 크기의 소행성은 2주에 한 번꼴로 지구와 충돌하지만, 이번 소행성은 조금 특별합니다. 지구와 충돌하기 전 발견한 몇 안 되는 소행성이기 때문입니다. 2008년 ..

[토성] 2025년 3월에 고리가 사라진다고?

'토성' 2025년 3월에 고리가 사라진다고? 전자신문ㅣ서희원기자 2024년 9월 7일 20:30 ▲ 허블 우주망원경이 촬영한 토성. 사진=미 항공우주국(NASA)/유럽우주국(ESA)태양계에서 가장 선명한 고리를 가진 행성 '토성'이 내년 3월에는 잠시 고리가 없는 동그란 행성으로 관측될 전망이다. 4일(현지 시각) 미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2025년 3월 23일 지구와 토성의 정렬이 일직선으로 맞물리면서 일시적으로 지구에서 토성의 고리가 보이지 않게 된다. 지구에서 망원경이나 쌍안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토성은 행성을 감싸고 있는 고리로 잘 알려져 있다. 목성과 천왕성, 해왕성 역시 고리를 가지고 있지만,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 토성의 고리만큼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 1994년과 1995년 ..

[기후위기] 얼음이 없다? 충격적인 북극 상황… 지구의 마지막 경고

얼음이 없다? 충격적인 북극 상황… 지구의 마지막 경고 국민일보ㅣ김지훈 님의 스토리 2024년 9월 1일  18:30  ▲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의 스베아 지역이 시커먼 맨살을 드러내고 있다. 한때 눈부시게 빛났던 이 지역의 빙하는 산꼭대기 등에 일부만 남아있다. 빙하가 녹아내린 흔적에서는 북극의 신음이 들리는 듯하다. 지난달 5일 스발바르 롱위에아르뷔엔에서 북극 다산기지가 있는 니알슨으로 가는 비행기에서 찍은 모습이다. 빙하로 뒤덮였던 영구동토층은 처참한 얼굴로 기후위기를 온몸으로 외치고 있다. © Copyright@국민일보 “보글, 보글.” 사방이 고요한 북극의 바다. 가만히 귀를 기울이자 낯선 소리가 끊임없이 들렸다. 유빙이 녹으면서 그 안에 갇혀 있던 공기가 새나오는 소리다. 공기는 1만 년, 아..

[핵잼 사이언스] ‘우주 쓰레기 100t’ 동시에 지구로 추락?

[핵잼 사이언스] ‘우주 쓰레기 100t’ 동시에 지구로 추락?… 국제우주정거장 폐기 계획 보니 서울신문ㅣ송현서기자 2024. 8. 20. 14:45 ▲ 미항공우주국(NASA) 국제우주정거장(ISS) 자료사진[서울신문 나우뉴스] 미항공우주국(이하 NASA)의 국제우주정거장이 2030년 운용 종료될 예정인 가운데, 폐기에만 10억 달러, 한화로 약 1조 34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알려졌다. ISS는 지난 1998년부터 나사와 캐나다우주국(CSA), 유럽우주국(ESA),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러시아 연방우주공사(Roscosmos; 로스코스모스) 등이 협력해 운용하던 국제 우주정거장이다. 각국이 자신들이 담당한 하드웨어 등을 수시로 고쳐가며 사용해왔지만, ISS는 이미 수십년 간 운영된 탓..

[르포] "폭우 뚫고 들려온 '살려달라' 소리에 달려갔지만"

[르포] "폭우 뚫고 들려온 '살려달라' 소리에 달려갔지만" 연합뉴스ㅣ이주형기자 2024. 7. 10. 16:49 (흙탕물 콸콸콸! 송아지 구조작전도…"200년만의 물폭탄" 위력? / 연합뉴스)서천 율리 산사태 토사에 휩쓸려…이웃이 구조했으나 숨져 단상리 주민들 주택 등 피해 복구 요원…"집에 들어가기도 힘들어" ▲ 산사태가 지나간 주택 © 제공: 연합뉴스 (서천=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황급히 뛰어갔더니 집은 무너져 있고, 살림살이는 30m 밖 논으로 다 휩쓸려갔더군요." 10일 새벽 산사태 사고로 인명피해가 난 충남 서천군 비인면 율리에서 만난 신신용(64) 씨는 "오늘 새벽만 생각하면 아직도 무섭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오전 3시 57분께 율리의 한 주택이 산사태로 무너지면서 집 안에 있던 ..

[인도] 불가마에 갇혀 최고치 찍은 다음날 52.3도 '사상 최고'

불가마에 갇힌 인도, 최고치 찍은 다음날 52.3도 '사상 최고' 아시아경제ㅓ2024.05.30 11:06 전력수요량도 폭증 물부족 비상대응 조처 ▲ 가뭄으로 메마른 신드파나강 바닥 균열.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인도 수도 뉴델리에서 낮 기온이 섭씨 52.3도로 치솟아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29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은 인도 기상청(IMD)이 이날 오후 2시 30분께 뉴델리 교외 문게시푸르 기온 관측소에서 52.3도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뉴델리에서 낮 기온이 50도를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이날 전국 최고치이기도 했다. 전날 뉴델리 교외 나렐라와 문게시푸르 관측소에서 낮 기온이 49.9도를 찍어 역시 뉴델리 관측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지 하루 만에 최고치가 경신된 것이다. 이 때문..

[르포] 석굴암 코 앞까지 밀려온 산사태··· 24개소 뚫렸지만 파악도 못해

[르포] 석굴암 코앞까지 밀려온 산사태··· 24개소 뚫렸지만 파악도 못해 경향신문ㅣ1시간 전  경주 | 이홍근 기자 redroot@kyunghyang.com 님의 스토리 ▲ 경주 국립공원 토함산 석굴암 초입 휴게소 바로 옆으로 가파른 산사태 흔적이 남아있다. 지난 8일 드론으로 촬영했다. 녹색연합 제공 © 경향신문 최근 2년간 석굴암이 있는 경북 경주 국립공원 토함산 일대 24개소에서 산사태가 발생했고, 피해지가 복원되지 않은 채 방치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사태로 무너진 바위가 세계문화유산인 석굴암 코앞까지 밀려왔다. 인근 보행로 주변, 매점, 사찰 근처에도 산사태 흔적이 그대로 남아 인명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관리기관은 정확한 산사태 발생 현황을 파악하지 못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8일 녹색..

[지구 온난화] 영구 동토대 '고대 바이러스' 봉인 뜯긴다

기후변화 탓 영구 동토 속 '고대 바이러스' 봉인 뜯긴다 연합뉴스ㅣ2023-08-19 12:59 ▲ 동토에서 튀어나온 4만년 전 유기물 새끼당나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수만년 잠자다 활성화… 누출 시뮬레이션 결과 '재앙' "현대 환경서 생존·번식해 생태계 종 다양성에 치명타"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기후변화로 영구 동토층이 녹아 새나오는 고대 바이러스가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8일(현지시간) CNN 방송에 따르면 핀란드 헬싱키대학교, 미국 미시간대학교 등 소속 국제연구진은 지난달 온라인 과학 저널 '플로스 전산 생물학'(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이런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영구 동토층은 토양 온도가 2년 이상 섭씨 0도 이하로 유지된 ..

[우주 다큐멘터리] 우리의 우주 그 외계 세계는 어떤가요?

(알파 켄타우리 & 프록시마 켄타우리의 외계 세계는 어떤가요? | 우주 다큐멘터) 알파 켄타우리 & 프록시마 켄타 우리의 외계 세계는 어떤가요? | 우주 다큐멘터리 오디세이아 | 오디세이의 세계 🌍 인간은 수천 년 동안 우리를 둘러싼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것 외에도 질문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우주는 얼마나 클까요? 한계가 있을까요? 우리는 생명을 지탱할 수 있는 유일한 행성에 살고 있을까요? 그리고 우주의 가장 먼 곳에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어떤 모습일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 별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6년에 이 별의 거주 가능 영역에서 몇 가지 특별한 특징을 가진 암석 행성이 발견된 이후 프록시마 센타우리(Proxi..

[우주 지식] 우주와 행성 그리고 태양계 이야기

실제 태양 모습 (실제 태양에 근접해서 촬영한 사진과 영상들) 달에서 최대 2700억톤 물의 존재 발견|달 기지 개발에 희소식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 ISS에서 바라본 지구 [10분 우주 다큐멘터리 #3] 금성에 대한 7가지 이상한 사실 - 금성은 뭔가 좀 이상합니다. 안드로메다 은하로 살펴보는 충격적인 우주의 크기!! 태양계 행성들 실제 모습 (실제 행성에 착륙해서 촬영한 사진, 근접 촬영 사진들) 태양계 실제 모습 보이저 탐사선이 촬영한 태양계의 각종 행성과 우주 사진들. (태양계 너머로 가장 멀리 떠난 우주 탐사선) 정말 화성에서 살 수 있을까? ⭐️ 화성 • 두번째 지구 • 제2의 지구 • 우주 읽어주는 우주아줌마 수성은 왜 가장 뜨겁지 않을까? ⭐️ 우주 읽어주는 우주아줌마 지구와 비슷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