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흔적의 역사 439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줄서는 왕릉뷰’ 포토존… 신라 쌍무덤 ‘금관 왕비, 금동관 왕’의 정체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줄서는 왕릉뷰’ 포토존… 신라 쌍무덤 ‘금관 왕비, 금동관 왕’의 정체 경향신문ㅣ2024.07.23 05:00 수정 : 2024.07.24 17:07 (신라 쌍무덤, ‘줄서는 왕릉뷰’ 포토존… ‘금관 왕비, 금동관 왕’의 정체는?) ‘니들이 주인공을 알아?’ 얼마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가 펴낸 자료집()을 보았다.  뜬금없는 얘기냐 싶겠지만 새삼 2019년 9월에 방영된 KBS 프로그램(‘슈퍼맨이 돌아왔다’ 296회)이 떠올랐다. 축구선수 박주호씨의 자녀인 ‘건후와 나은’이 ‘왕가의 무덤’인 대릉원 대형 고분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고 있던 관람객 사이에서 천진난만 뛰노는 장면이다. ‘건나블리(건후·나은)’가 뛰놀던 그곳은 이미 경주의 소문난 ‘포토존’이었다. 남북 표주박 형태의 ..

흔적의 역사 2024.07.25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부채는 ‘관음증’ 환자의 ‘핫템’... 겸재·단원·추사도 사랑한 화폭이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부채는 ‘관음증’ 환자의 ‘핫템’...겸재·단원·추사도 사랑한 화폭이었다 경향신문ㅣ2024.07.09 05:00 수정 : 2024.07.10 17:17 (부채는 ‘관음증’ 환자의 ‘핫템’, 겸재·단원·추사도 사랑한 화폭이었다)‘하나같이 근심되는 것이 천하의 더위인데(一念長憂天下熱)….’ 조선 후기 이상적인 도시인의 삶을 그린 8폭 병풍이 있다. ‘태평성시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이다. 그 중 5폭에 각종 부채를 파는 ‘부채’ 상점이 보인다. 가게의 좌우에 글자가 새겨진 길쭉한 광고판이 보인다. 오른쪽 광고판에 ‘더위가 걱정’이라는 내용의 7자가 보인다. 왼쪽 광고판에는 아쉽게도 마지막 글자인 ‘서늘할 량(凉)’만 보인다. 아마 ‘부채로 더위를 날려보내시라’는 광고 문구였을 것이다..

흔적의 역사 2024.07.11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소동파를 ‘우주 대스타’로 찬양?… 고려를 원숭이로 욕한 혐한파였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소동파를 ‘우주대스타’로 찬양?… 고려를 원숭이로 욕한 혐한파였다 경향신문ㅣ2024.06.25 05:00 수정 : 2024.06.26 17:48 (소동파를 ‘우주 대스타’로 숭배?... 고려를 ‘원숭이’로 욕한 혐한파였다) “선생의 기개와 절조는 우주를 능가하고(先生氣節凌宇宙) 선생의 문장은 별처럼 빛나기만 하여라.(先生文章煥星斗)” 조선 전기 문인·학자인 서거정(1420~1488)이 ‘선생’을 찬양하고 있다.( 51권 ‘시류·소선적벽도’) 서거정이 말 그대로 ‘우주대스타’로 떠받는 ‘선생’은 과연 누구인가? 북송이 낳은 대문호 소식(소동파·1037~1101)이다. 고려의 대문호인 이규보(1168~1241)는 어떤가? “소동파의 문장은 금은보화가 창고에 가득찬 부잣집 같아 도둑이..

흔적의 역사 2024.07.09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명량 발굴 ‘소소승자총통’… 소총부대장 출신 이순신과는 어떤 관계?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명량 발굴 ‘소소승자총통’… 소총부대장 출신 이순신과는 어떤 관계? 경향신문ㅣ2024.06.11 05:00 수정 : 2024.06.13 13:09 (명량 발굴 ‘소소승자총통’, 소총부대장 출신 이순신과는 어떤 관계?)‘40억원대 고려청자 1억원에 팔려던 잠수부 도굴단 덜미…’. 2011년 11월18일 기막힌 문화유산 도굴범 기사가 각 언론에 실렸다. 도굴범들은 해삼·어패류를 채집하던 잠수부들이었다. 이들이 불법 인양한 문화유산 30여점 가운데는 13~14세기 보물급 유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도굴범들이 덜미가 잡힌 이유가 어이없었다. 보통 바닷속에서 인양되는 유물에는 이끼류와 패각류 등이 붙어있기 마련이다. 이 경우 ‘아주 묽게 희석시킨 염산’으로 조심스럽게 닦아야 한다. ▲ ..

흔적의 역사 2024.06.13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호우총·천추총·태왕릉의 ‘#’문양의 정체…‘광개토대왕’? ‘운수대통’?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호우총·천추총·태왕릉의 ‘#’문양의 정체…‘광개토대왕’? ‘운수대통’? 경향신문ㅣ2024.05.28 05:00 수정 : 2024.05.29 17:31 (경주 호우총 ‘#’ 문양의 정체…‘운수대통’ 뜻? ‘광개토대왕’ 상징?) ‘을묘년 국강상 광개토지호태왕 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우十)’. 1946년 5월14일이었다. 경주 노서리 140호분(돌무지덧널무덤)을 파고 있던 국립박물관 조사단이 ‘발굴 일지’의 표현대로 ‘쎈세이순’한 명문 유물을 찾아냈다. 고급의 청동제 그릇 밑바닥에 아로새겨진 ‘광개토대왕(재위 391~412)’, 그 분의 묘호가 빛났다. 해방 후 첫번째 ’우리 손 발굴’에서 이뤄낸 개가였다. 당시 신문(동아일보 5월25일)의 보도처럼 명문 유물의 착안점은 두가..

흔적의 역사 2024.05.30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정도전 집에 웬 ‘말(馬) 운동 트랙’?… ‘왕실마구간’ 드러난 종로구청터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정도전 집에 웬 ‘말(馬) 운동 트랙’?…‘왕실마구간’ 드러난 종로구청터 경향신문ㅣ2024.05.14 05:00 수정 : 2024.05.14 20:53 (정도전 집에 웬 ‘말(馬) 운동 트랙’?… ‘왕실마구간’ 드러난 종로구청) “말이 다닐 때 땅이 파이지 않게 한 시설일까.” 2021년 10월이었다. 종로구청 부지에 들어설 새로운 통합청사(구청+소방서 등) 공사 현장에서 수상쩍은 흔적이 확인되었다. 조선시대 건물터 5채와 함께 원형으로 깔아놓은 잡석 사이에 트랙 형태의 통로가 조성된 유구였다. 이곳은 조선 창업의 공신인 삼봉 정도전(1342~1398)의 집터였고, 이후 사복시(궁중의 가마와 말 등을 관장하는 관청)가 들어선 곳으로 알려져 있다.  ▲ 원형 마장 트랙- 공사 중인..

흔적의 역사 2024.05.15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조우관’ 쓴 아프로시압 사절, “연개소문이 파견한 고구려 밀사가 맞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조우관’ 쓴 아프로시압 사절, “연개소문이 파견한 고구려 밀사가 맞다” 경향신문ㅣ2024.04.30 05:00 수정 : 2024.05.01 20:13 (아프로시압 벽화 ‘조우관 사절’, 연개소문 파견 고구려 밀사가 맞나)“아들을 낳으면 석밀(산 벌꿀)을 입안에 넣어주고 손바닥에 아교를 발라준다. 아이가 성장하면 입은 늘 달콤한 말을 하고 돈이 아교처럼 붙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열전·서융’) 예부터 사마르칸트(우즈베키스탄)를 중심으로 동서교역을 담당했던 소그드인들의 타고난 장사수완을 가리키는 기사이다. 중국에서는 소그드 연맹체 중 사마르칸트를 기반으로 한 왕국을 강국(康國)이라 했다. 강국의 도읍은 사마르칸트의 북동쪽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아프로시압 도성이었다.  ▲ 조우..

흔적의 역사 2024.05.02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백제의 미소’ 불상, 아름답지만… 40억원↑ 가격은 ‘국제호갱’ 감이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백제의 미소’ 불상, 아름답지만…40억원↑ 가격은 ‘국제호갱’ 감이다 경향신문ㅣ2024.04.16 05:00 수정 : 2024.04.17 17:37 (‘백제의 미소’ 불상, 아름답지만… 40억원 이상은 국제호갱감이다) 호암미술관이 6월16일까지 열고 있는 전시회가 있다. ‘진흙에 물들지 않은 연꽃처럼’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다. 한·중·일 3국의 불교미술에 담긴 여성들의 번뇌와 염원, 공헌 등을 세계 최초로 조망하는 전시회란다. 전시회에는 한국·미국·유럽·일본 등에 소장된 92건의 작품이 출품되었다. ▲ 30억원 이하의 가치 -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2018년 존재가 드러난 백제 금동관음보살 입상(왼쪽). 문화재 당국(제시금액 42억원)이 소장자(150억원 호가)와 환..

흔적의 역사 2024.04.22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금동대향로, 구멍 대충 뚫었다… 아차 실수? 국보의 흠결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금동대향로, 구멍 대충 뚫었다… 아차 실수? 국보의 흠결 경향신문ㅣ2024.04.02 05:00 수정 : 2024.04.03 17:21 (금동대향로, 구멍 대충 뚫었다…아차 실수? 국보의 흠결) -금동대향로의 삐뚤빼뚤 구멍 -반가사유상의 따로 붙인 동판 -국보경의 손으로 그린 동심원 -금관의 수리 흔적 ‘방치’ ‘백제판 천존고(天尊庫)?’ 최근 국립부여박물관이 백제 국보관 설립을 위한 착공식을 열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좀 객쩍은 비유이겠지만 신라 신문왕(681~692)이 만파식적(피리)과 거문고를 보관했다는 ‘보물창고’를 떠올렸다. ‘기이·만파식적’조는 “만파식적(萬波息笛)을 불면 적병이 물러가고 병이 낫고 가뭄에 비가 내리고, 비가 오다가 개이고, 바람이 멎고 파도가 잔잔해졌다..

흔적의 역사 2024.04.06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660년 백제 최후의 날… 1300년 만에 드러난 멸망의 ‘8’ 장면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660년 백제 최후의 날… 1300년 만에 드러난 멸망의 ‘8’ 장면 경향신문ㅣ2024.03.19 05:00 수정 : 2024.03.20 17:45 (660년 7월 백제 최후의 날, 1300년 만에 드러난 멸망의 ‘8’ 장면) “칠기 제품은 확실한데….” 2023년 6월이었다. 사비 백제의 왕궁터인 부여 관북리 유적을 발굴하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조사팀이 고개를 갸웃 거렸다. 발굴 지점은 왕궁 내 조정(국사를 논의하고 행사 및 향연를 여는 공간) 시설로 여겨지는 대형건물터가 확인된 곳이었다. 그런데 한 건물터의 30m 범위 안 여러 구덩이에서 거뭇거뭇한 물체가 노출됐다. “칠기인 것 같은데 어떤 제품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조사가 진행되면서 그 실체가 드러났죠. 모서리를 둥글게..

흔적의 역사 202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