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 'O, Little Town of Bethlehem' (오, 베들레헴 작은 마을아)
잠용(潛蓉)2013. 12. 22. 23:27
‘O, Little Town of Bethlehem’ - Mormon Tabernacle Choir
'O, Little Town of Bethlehem'
(오, 베들레헴의 작은 마을아 1898) Words by Philips Brooks(1898) Composed by Lewis Redner
(직역 잠용)
[번안곡]
'오 베들레헴 작은 고을' (통합찬송가 120장)
(1) 오 베들레헴 작은 고을 너 잠들었느냐? 별들만 높이 빛나고 잠잠히 있으니, 저 놀라운 빛 지금 캄캄한 이 밤에 온 하늘 두루 비춘 줄 너 어찌 모르나?
(2) 온 세상 모든 사람들 잠자는 동안에 평화의 왕이 세상에 탄생하셨도다. 저 새벽별이 홀로 그 일을 아는 듯 밤새껏 귀한 그 일을 말 없이 지켰네.
(3) 오 놀라우신 하나님 큰 선물 주시니 주 믿는 사람 마음에 큰 은혜 주셨네. 이 죄악 세상 사람 주 오심 모르나 주 영접하는 사람들 그 맘에 오셨네.
(4) 오 베들레헴 예수님 내 맘에 오셔서 내 죄를 모두 사하고 늘 함께 하소서. 저 천사들의 소식 나 기뻐 들으니 오 임마누엘 주 예수 내 맘에 오소서. 아멘
'O, Little Town of Bethlehem'
이 캐롤의 유래
[사진] ‘예수의 탄생’(베들레헴 예수탄생성당 내부 벽화, 사진: 진주의 세상)
"오 베들레헴의 작은 마을"은 인기있는 크리스마스 캐롤이다. 이 노래는 비교적최근, 미국 성공회 주교 필립스 부룩스(Philips Brooks, 1835~1893)가 1868년에지은 크리스마스 캐롤로 그가 성지 베들레헴를 방문했을 때 받은 깊은 영감을 시에 옮겨 놓은 것이다. 그는 어린이를 사랑해서 어린이를 위한 여러가지 캐롤을 작사했다. 시인은 아니었지만 크리스마스 이브에 옛날 목자들이 별을 발견하고 기뻐하던 그 장소를 방문하고, 예수님이 탄생하신 자리에 세워진 "탄생 교회"에서 예배를 드리는 동안 옛날 천사들이 나팔불던 그 모습이 그에게 나타났던 것이다.
번역 찬송가에서1절은 1865년작사자가 팔레스타인을 방문했을 때 베들레헴은 고요한 어둠 속에 잠들어 있었음을 묘사했으며, 2절은 평화의 왕이 탄생하신 것을 지켜본 새벽별들이 인류에게 평화를 주시러 오신 주님의 탄생을 선포하는 내용이다. 3절은 그토록 위대한 평화의 왕이었지만 너무도 조용하게 세상에 오셨다는 것이다. 4절은 베들레헴에 나신 거룩한 아기가 크리스마스 때마다 성도들의 가슴에 다시 탄생하셔서 동거하시기를 간구하는 내용이다.
작사자 부룩스는 1835년 12월 13일 미국 보스턴에서 태어나 성공회 신학교를 마치고 1859년 성직자 안수를 받았다. 유일교의 온상 보스턴에서 그리스도 십자가의 구원을 설교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었으나 그의 박력있는 설교는 당시 유일교도들까지도 그의 교회로 끌어들여 삼위일체 교리를 듣게 하였다. 하바드 대학은 그를 교수로, 또는 설교자로 여러번 초빙했으나 모두 거절하고 교회의 고위 성직도 뿌리쳤다. 그러나 결국 교회가 그를 설득하여 매사츄세츠주의 주교직을 맡겼으나 부임후 불과 15개월뒤 1893년 1월 23일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원본: http://sdm.ctm.or.kr/ 세계선교센터)
작사자 Phillips Brooks(1835~1893)는 삼위일체파의 신부이고 필라델피아의 성 삼위일체 교회의 교구감독이었다. 그는 1865년 베들레헴의 작은 마을을 방문했을 때 큰 영감을 받았다. 3년 후, 그는 자신의 교회를 위한 시를 썼는데, 교회의 오르간 연주자 Lewis Redner가 곡을 붙였다. 단순히 "세인트 루이스(St. Louis)"라는 제목의 Redner의 캐롤은 미국에서 가장 자주 연주되고 있다. 한편, 영어 노래 "Forest Green"은 Ralph Vaughan Williams에 의해 가사가 적용되었는데, 주로 영국에서캐롤에 사용되었다. 때로는 미국에서 Episcopal Church에서도 사용하였다.
[사진] 현재의 베들레헴, 사진: 진주의 세상
"Wengen"이라고 불리는 H. Walford Davies이 만든 다른 버전은 보통 집회(congregational) 찬송가로보다는 합창단에 의해서만 연주되었다. 이것은 처음 두 소절은 합창과 후렴의 합주로만, 그리고 마지막 소절은 오르간 반주와 함께 고음 목소리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 설정은 처음부터 누가복음에 나오는 레시타티브(암송)를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원래의 5개 소절의 캐롤에서 제 2와 4 소절은 생략되어 연주된다. 이 버전은 전통적으로 ‘아홉개 레슨’의 설교 때에 사용되었는데 캠브리지에서 킹스 컬리지의 캐롤에도 사용되었다.
위에 사용한 가사는 1903년판 Phillips Brooks의 <크리스마스 노래와 부활절 캐롤>에서 가져왔는데 그것은 가장처음 출판된 자료라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그뒤의 판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예를 들면 2절의 첫 번째와 마지막 4절의 변화를 포함하여 3절의 가사 ‘still(조용히)’ 앞에7번째 행에 쉼표를 추가하는 등이다. 1868년 Phillips Brooks (Lewis Redner의 작곡으로, 영국 노래 "Forest Green"에서 Ralph Vaughan Williams이 채용한 다른 설정은 Carl Rutti, Henry Walford Davies 그리고 The Naxos Book of Carols에서 John Michael Pitts 등이 적용하였다.)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