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I EMANUEL Enya 노래 (직역 잠용)
'O come, O come, Emmanuel' 성가의 유래
‘O come, O come, Emmanuel’ 찬송은 19세기 중반 존 메이슨 닐(John Mason Neale)에 의해 번역된 라틴어 성가 (원제 Veni, veni, Emmanuel)이다, 이 성가는 지금은 가톨릭교에서 강림절과 크리스마스 성가로서 여러가지 강림 안티폰(Antiphons, 응답송가)의 운율에서 사용된다.
[노래의 구성] 전통 찬송의 줄기는 15세기 프란체스코 수녀들 (Franciscan nuns)에 대한 프랑스어 교육에서 비롯되었다고 믿고 있지만, 그것은 또한 8세기 그레고리오에서 기원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이 곡은 가장 엄숙한 강림절 성가 중의 하나이다. 가톨릭 교회에서 실제로 널리 부르는 것은 강림절 때 각 주별로 2개 구절을 불러왔다. 즉, 강림절 첫째 일요일에는 1절과 2 절부터 시작해서, 두 번째 일요일에는 3절과 4절을 부른다. 그리고 강림절 세째 일요일에는 5와 6절을 부른다. 끝으로 강림절 네 번째 일요일에는 다시 1절과 7절을 부른다.
오늘날 연주 형태는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대부분 공연에서 모든 소절과 코러스의 "엠마뉴엘" 뒤에 일시 중지하거나 비슷한 계산을 통해 마지막 음절을 연장한다. 그러나, 공연에서 종종 이들은 "기뻐하라, 기뻐하라, 엠마뉴엘은 곧 그대에게 올 것이다, 오 이스라엘" 부분의 코러스의 뜻을 강조하기 위해 일시 중지하는 것이다. 만일 일시 중지가 포함되어 혼동될 수가 있다면, 그 의미는 "엠마뉴엘"과 "그대에게 오리라" 사이에 있는 가청 쉼표가 인식된다. 그리고 문장의 문법, 족 주어가 이스라엘에서 임마누엘로 바뀌게 된다. 일시 정지를 생략하고 처음과 마지막 행을 서두르면 그것은 노래의 나머지 부분을 서두르지 않는 속도와 음률이 대조되어 연주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음악·애청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롤] 'O, Little Town of Bethlehem' (오, 베들레헴 작은 마을아) (0) | 2013.12.22 |
---|---|
[캐롤송] '탄일종이 땡땡땡' - 정수철 작곡 (0) | 2013.12.22 |
[캐롤송] 'Hark the Herald Angels Sing' - 멘델스존 작곡 (0) | 2013.12.22 |
[캐롤송] 'The First Noel' (첫 번째 성탄소식 1823) - 17C 영국 캐롤 (0) | 2013.12.21 |
[X-MAS송] 'Mary, Did You Know?' - 영화 'The Passion' OST (0) | 201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