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불교음악

[불교가요] '가릉빈가' (迦陵頻伽)

잠용(潛蓉) 2015. 3. 24. 08:08

 

 

'가릉빈가' (迦陵頻伽)

 

아름다워라 노래소리

바람결에 실려 나에게 들려요 

서방정토의 가릉빈가

즐겁게 노래하네.

 

맑고 맑은 저 목소리 아름다워라

삘릴리 삘릴리 삐리릴리

내 마음 노래에 싣고서

저 멀리 날아가네~

 

아름다워라 노래소리

바람결에 실려서 나에게 들려요

서방정토의 가릉빈가

즐겁게 노래하네.

 

(간주)

 

가고싶어라 서방정토

아미타불 부처님이 계시는 나라로

향기로운 저 꽃들 속에

즐겁게 노래하네.

 

아름다운 가릉빈가 노래를 하네

삘릴리 삘릴리 삐리릴리

내 마음 노래에 싣고서

저 멀리 날아가네~

 

가고싶어라 서방정토

아미타불 부처님 계시는 나라로 

향기로운 저 꽃들 속에

즐겁게 노래하네

 

즐겁게 노래하네.

 

 


◇ 가릉빈가 (迦陵頻伽 kalavinka) : 불교에서 머리는 사람 몸은 공작새 같은 모양을 한 상상의 새이다. 깃털이 아름답고, 소리가 매우 맑다고 한다. 줄여서  빈가(頻伽), 다른 말로 가라빈가(迦羅頻伽), 묘음조(妙音鳥), 비천(飛天), 빈가조(頻伽鳥), 선조(仙鳥), 호성조(好聲鳥), 호음조(好音鳥) 등이 있다.

 

(일본불화의 가릉빈가)

 

가릉빈가는 경전에 나오는 상상의 새로서 범어 kalavinka의 음역이다. 가릉비가. 가라빈가. 갈라빈가. 갈비가라. 가비가라 등 다양하게 부르며, 줄여서 '빈가' 라고도 한다. 호성(好聲)으로 번역되는 이 새는 정토만다라 등에서 인두조신(人頭鳥身)에 용꼬리가 달린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자태가 매우 아름답고, 소리 또한 묘하여 묘음조. 호음조. 미음조(美音鳥)라고도 한다. 극락에 깃들인다 하여 극락조라 부르기도 한다. 머리와 팔은 사람의 형상을 하였고 몸에는 비늘이 나있다. 머리에는 새의 깃털이 달린 화관을 쓰고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원래 형태는 봉황형(鳳凰形)에서 발전한 형상이라 생각되며, 일설에는 인도의 히말라야 산 기슭에서 산다고 하는 불불조(bulbul鳥)라는 공작의 일종이라고도 전한다.

 

이 새의 반인반수상은 여러 지역과 각 시대에 걸쳐서 묘사된 것을 비교해 보면 동물 형상을 의인화하고 있는 공통점이 있다. 중국에서의 가릉빈가 형상은 한(漢)나라 이후에 등장하며 그 뒤 고분벽화 또는 분묘의 화상석각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 고분인 덕흥리 벽화고분과 안악 1호분에 가릉빈가와 유사한 형상이 보이고 있다. 또한 당(唐)나라의 가릉빈가문(紋) 형상은 우리나라 통일신라 시대의 경주 월주지. 용사지. 탑동부근. 창림사지. 보문사지 일대에서 발견되는 와당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 와당(瓦當)에 나타나는 가릉빈가문은 머리 위에 특이한 초화형(草花形) 화관을 얹고 연화좌에 서 있는 등 불교적 요소가 짙다. 가릉빈가문은 석조유물 중 부도.석탑 등의 조각에서도 나타난다.

 

석탑에서는 주로 통일신라기의 유물에서 보인다. 쌍봉사 철감선사탑(국보 57호)은 상대석 위의 탑신과 굄돌 각 측면에 안상(眼象)을 만들고 그 안에 악기를 연주하는 가릉빈가를 부조해 넣었다. 또 봉암사지 증대사적조탑(보물 137호)에서는 하대석(下臺石) 윗면 각 면에 날개를 펼친 모습이 새겨져 있다. 고려시대 것은 연곡사 동부도. 서부도. 북부도의 안상무늬 안에 가릉빈가문이 새겨져 있다. 가릉빈가의 춤은 불공양 법회 때 행한 고대 무악(舞樂)으로 이름이 있었다. [불교문화콘텐츠 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