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인구 소비지출 37% 급락... 감소폭 미·일의 2~3배
연합뉴스 | 입력 2016.01.13. 06:12 | 수정 2016.01.13. 09:09
낮은 연금급여→ 노후 소득 하락→ 소비지출 감소 '빈곤의 악순환'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우리나라는 노인이 되면 소비지출이 무려 40% 가까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감소폭은 미국과 일본 노인의 2~3배 달하는 규모인데, 노인들의 주요 소득인 국민연금 수급액이 낮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13일 국민연금연구원 '연금포럼 60호(2015년 겨울호)'에 실린 '한국, 미국, 일본 노인가구의 소비지출 비교'(성혜영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를 보면,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결과 2014년 기준 한국의 노인가구 평균소비지출은 전체가구 평균의 63.37%였다.
2005년 68.97%에서 5.60%포인트나 떨어진 것으로, 미국(81.57%)과 일본(86.89%) 노인 들에 비해서도 크게 낮다. 이들 두 나라의 경우 노인 가구의 소비지출액이 전체 가구에 비해 각각 18.43%, 13.11% 줄었지만, 한국은 그 감소폭이 2~3배에 이르는 셈이다. 한국 노인 가구의 급격한 소비지출 감소는 소득 감소폭이 크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체 가구의 평균 소득 대비 노인 가구의 평균 소득은 한국이 63.93%로, 미국(71.75%), 일본(81.57%)보다 역시 많이 낮다.
노인가구의 평균 소득은 각 나라의 공적 연금 수준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한국의 경우 2013년 기준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의 평균 수급액이 전체 가구 월 평균 소득의 16.31% 수준이었다. 이에 비해 미국은 사회보장연금(OASDI) 평균 수급액이 전체 가구 월평균 소득(국가평균급여지수·NAWI)의 34.59%였으며, 일본의 경우 후생연금과 노령연금 수급액이 전체 가구 월평균 소득(후생연금 표준보수월액)의 64.77%에 달했다.
이 같은 차이는 한국이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은 1988년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을 시작해 평균 수급액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은 1930년대, 일본은 1940~1950년대 공적연금을 시작했다. 세 나라 노인 가구의 소비 패턴을 비교한 결과 한국 노인들은 식료품이나 주거, 보건에 대한 지출 비중이 컸다. 노인가구는 소비의 19.7%를 식료품·비주류음료에, 14.4%를 주거·수도·광열에, 10.7%를 보건에 사용했다. 이는 전체가구의 13.8%. 10.4%, 6.6%보다 높은 수준이다.
반면 노인가구에서 오락·문화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5.2%로 전체 가구의 5.8%보다 낮았다. 노후에 오락이나 문화 생활에 쓰는 돈의 비중이 오히려 줄어드는 것인데, 미국(노인가구 6.2%·전체가구 5.9%), 일본(65~69세 11.1%·70세 이상 10.1%·전체가구 9.9%)과는 정반대의 상황이었다. [bkkim@yna.co.kr]
'소득 절벽'에 60대 소비도 절벽
경향비즈ㅣ2015-12-25 21:42:56ㅣ수정 2015-12-25 21:53:25
월 소득, 평균보다 146만원 적어
미래 불안·노후 걱정 ‘소비 꽁꽁’
한국경제 잠재성장률도 먹구름
한국의 연령별 가구 소득이 60대에 진입하면서 뚝 떨어지고, 소비성향도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60대 이상 가구의 소득과 소비가 줄면서 한국경제 전체의 잠재성장률 하락까지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이승훈 KB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이 작성한 ‘2015년 가계 소비지출 구조변화-고령가구 증가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60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명목 가계소득은 전체 평균 대비 33.8% 낮았다. 금액 기준으로는 146만8000원이나 차이가 난다. 40~50대 가계소득이 평균보다 10~11% 높은 점을 감안하면, 50대까지 높은 소득을 누리다 60대 진입과 함께 ‘소득 절벽’에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소득이 줄면서 평균소비성향도 낙폭이 컸다. 소득절벽이 소비절벽으로 이어지는 셈이다.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소비성향(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액 비중)은 올해 1~3분기 평균 69%로, 2003년 81.1%에 비해 12.0%포인트 하락했다. 전체소득에서 세금 등을 뺀 처분가능한 소득이 100만원이라면 실질적인 소비에 쓰는 돈이 69만원에 그친다는 얘기다. 은퇴 이후 소득이 급감하는 데다, 저출산으로 부모를 부양할 수 있는 자녀도 감소하면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진 고령층이 소비지출보다는 저축을 늘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보고서는 한국의 연령별 소비성향 패턴이 과거에는 ‘W’자 형태를 보였다면, 최근에는 60세 이상의 평균소비성향이 낮아지면서 50대부터 계단형으로 하락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60세 이상 고령가구의 평균소비성향 하락은 행복하지 못한 노후라는 점에서도 사회적 문제이지만,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을 끌어내리는 구조적 문제로도 지적된다. 한국은행은 최근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2015~2018년 연평균 3.0~3.2%로 추산해 발표했다. 인구고령화로 2033년에는 60세 이상 가구 비중이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들 가구의 소비가 줄어들면 한국경제 전체의 소비 여력도 크게 줄어들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이승훈 연구원은 “고령층 취향에 맞춘 소비수요를 발굴하고 노인일자리와 연금수익률 개선, 사회보장 강화 등을 통해 미래 소득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춰 고령층 가구의 소비성향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늙은 가장(家長)' 급증… 60세 이상 12년간 10%p↑
연합타임즈ㅣ2015/12/21 [07:36]
KB경영연구소, 2003년 13%→2015년 23%
소득절벽 불가피... 가계소득, 평균소득보다 33.8%↓
경제성장에 악영향 우려... 산업구조 변화 등 정책적 대비 시급
【세종=연합타임즈】서재훈 기자 = 저출산·고령화 심화로 60세이상 고령가구주 비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따라 은퇴 등으로 소득이 크게 줄어든 이들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이 예상되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21일 KB경영연구소, 통계청 등에 따르면 국내 총 가구수는 2003년 1547만가구에서 2015년 1871만 가구로 12년동안 연평균 1.6% 늘었다.
특히 저출산과 인구 고령화로 가구주 연령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2003년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가구는 34%였으나 2015년에는 22%로 12%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60세이상은 13%에서 23%로 10%포인트나 늘었다. 10가구중 2가구가 넘는 숫자가 홀로노인 등 60대 가구주라는 얘기다. 또한 2003년부터 2015년까지 가구주 연령별 가구수 연평균 증가율은 39세이하가 -2.3%, 40대 0.7%, 50대 4.4%, 60세이상 6.6%로 고령 가구주 증가가 두드러졌다. 일례로 올해 서울지역의 65세이상 가구주 비중은 19.1%로 2010년 14.8%보다 4.3%포인트 늘었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 24.0%, 2025년 31.1%, 2030년 38.5%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퇴직 등의 이유로 60세 이상 가구주는 소득절벽 직면이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KB경영연구소 분석결과 60세이상 가계소득은 평균소득보다 33.8%나 적다. 왕성하게 활동하는 40~50대의 가계소득이 평균소득보다 10~11% 높은 것과 대조적이다. 가계소득과 평균소득 격차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2003년 -84만원에서 2015년에는 -146만8000원으로 62만8000원 늘었다.
연구소는 "은퇴이후 가구소득이 급감하고 부모를 부양하는 자녀가 줄면서 일부 고령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60대이상의 평균소비성향도 급락했다. 2003~2007년 80%대였던 평균소비성향은 68%로 후퇴했다. 이승훈 연구원은 "60세이상 고령가구의 비중상승과 평균소비성향 하락 등에 따른 가계 소비능력저하는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하락 배경중의 하나"라며 "고령층의 소비성향 증가, 사교육비 절감, 출산율 확대 정책 등 구조적 변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文정부·청와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일문일답 [전문] (0) | 2016.01.13 |
---|---|
[박대통령] 대국민담화 발표… '북핵위기에 정치권은 베트남 패망때와 같다' [전문] (0) | 2016.01.13 |
[박 지지율] 부정평가 53%… 위안부 협상 반영된 결과 (0) | 2016.01.08 |
[시사만평] '북쪽은 수소탄 남쪽은 누리탄' (0) | 2016.01.07 |
[시사만평] '眞朴에도 등돌린 TK 텃밭' (0) | 2016.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