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미술·공예·조각

[김천 수도암] 도선국사비문 신라 명필 김생의 글씨

잠용(潛蓉) 2019. 6. 4. 06:58

"김천 수도암비는 신라 명필 김생(金生)이 808년에 쓴 글씨"
연압뉴스 2019.06.04. 06:00 댓글 1개


2차 판독서 '김생서'·'원화삼년'·'비로자나불' 확인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신라 명필 김생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명문(銘文·금석에 새긴 글)이 확인된 경북 김천 수도암 '도선국사비'(이하 수도암비)가 김생이 원화삼년(元和三年, 808)에 쓴 글씨를 새긴 비석이라는 추가 판독 결과가 나왔다. 불교고고학을 전공한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은 박방룡 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 이영호 경북대 교수와 함께 김천 수도암비를 조사해 기존에 읽은 글자 22자 외에 김생서(金生書), 원화삼년(元和三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등 21자를 더 판독했다고 4일 밝혔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비석은 청암사 부속 암자인 수도암 약광전 앞에 있으며, 크기는 높이 177㎝·너비 60∼61㎝·두께 42∼44㎝다. 일제강점기에 판 것으로 짐작되는 '창주도선국사'라는 커다란 글자 때문에 잘 보이지 않지만, 본래 세로 길이 4∼5.5㎝인 글자를 8행에 26자씩 새겼다. 박 관장은 "비석 끝부분 8행에서 흐릿하지만 다른 글자보다 조금 작게 새긴 '김생서'(金生書) 세 자를 찾았다"며 "'원화삼년'이라는 연호는 6행 중간에 있는데, 후대에 판 도(道)자에 의해 원(元)자가 가로로 절단됐으나 일부 획이 남아 판독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비석을 세운 목적은 박방룡 원장이 제1행에서 판독한 '비로자나불'을 통해 가닥을 잡았다"며 "수도암비는 신라 말기에 만든 작품으로 알려진 보물 제307호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정확한 제작 연도를 알려주는 자료"라고 강조했다. 박 관장은 수도암비를 '김생서 수도암 비로자나불 조성비'로 부르자고 제안하면서 "불교 용어와 옛 글자를 잘 아는 연구자가 모여서 판독하면 15∼25자는 더 읽어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박 관장은 지난달 초 이영호 교수, 정현숙 원광대 서예문화연구소 연구위원과 함께 수도암비를 조사한 뒤 김생 사후인 954년에 승려 단목이 집자(集字)해 만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1877호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와 필체가 매우 흡사하다는 점을 근거로 김생 진적(眞蹟·실제 필적)이라는 견해를 내놨다. 서예사를 전공한 정 위원은 당시 "전체적으로 북위풍 해서(정자체)로 썼는데, 행서(정자체와 흘림체의 중간)의 필의가 많다"며 수도암비가 현존하는 유일한 김생 친필이자 태자사비 원본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 관장은 "수도암비는 비석 연마 상태가 고르지 않아 통상 엄청난 시간과 공력을 들여 만드는 집자비라고 하기는 어렵다"고 역설했다.


▲ 김천 수도암비 [오세윤 작가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 김천 수도암비에서 추가로 판독한 글자 (서울=연합뉴스)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은 박방룡 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 이영호 경북대 교수와 함께 김천 수도암비를 조사해 추가로 글자를 판독했다. 왼쪽부터 김생서(金生書), 원화삼년(元和三年),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이다. '원'(元)에서 붉은색 부분은 후대에 새긴 글씨로 인해 사라졌다. [위덕대박물관 제공]


▲ 김천 수도암비 조사 모습 [위덕대박물관 제공]


삼국사기에 따르면 김생은 미천한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고, 여든을 넘어서도 붓을 놓지 않아 입신(立神)의 경지에 이르렀다. 숭녕(崇寧·1102∼1106) 연간에 고려 사신이 김생 글씨를 송나라 관리에게 보여줬더니 중국 최고 명필로 꼽히는 왕희지(王羲之) 필체로 오인했다는 일화도 전한다. 문제는 삼국사기에 경운(景雲) 2년, 즉 711년이라고 기록된 김생 출생 시점과 수도암비 제작 시기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박 관장은 삼국사기에 있는 김생 생몰 연도가 잘못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삼국사기 열전이 다룬 인물 중에 출생 연도가 나오는 사람은 김유신과 김생밖에 없다"며 "문무왕이나 그의 동생인 김인문조차도 비문 사망 연도를 기점으로 출생 연도를 파악하는 점을 고려하면 신분이 미천한 김생이 태어난 해를 적었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부식과 삼국사기 편찬자들이 김생 출생 연도의 근거로 삼은 원전이 정확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그러면서 필체를 근거로 김천 갈항사지 동탑 상층 기단 명문, 산청 단속사 신행선사비 글씨도 김생 친필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영호 교수는 "이제 김생 글씨는 집자비인 태자사비가 아니라 김생 진적이 확실시되는 수도암비를 기준으로 연구해야 한다"며 "수도암비 보존 방안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사단은 수도암비 추가 판독 결과를 정리한 논문을 신라사학회가 펴내는 학술지 신라사학보에 게재할 계획이다.

[psh5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