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정치권·국회

[여론조사] 민주당 더블스코어 vs 국민의힘 역전.... 천차만별

잠용(潛蓉) 2020. 12. 26. 10:14

민주당 더블스코어 vs 국민의힘 역전.... 천차만별 여론조사의 진실
중앙일보ㅣ손국희 입력 2020. 12. 26. 05:01 수정 2020. 12. 26. 06:30 댓글 1046개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와 및 복귀 사태, 코로나19 백신 늑장 확보 논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적격성 논란 등으로 정국이 들썩이고 있다. 이런 논란들은 여야의 지지율에 곧장 영향을 미치게 마련이다. 특히, 내년 4월 서울ㆍ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둔 정당들에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는 일종의 ‘성적표’나 다름없다. 한 야당 관계자는 “매주 요동치는 지지율에 따라 정당들의 정치 행보는 물론 지도부의 발언 수위까지 달라지기도 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 “여론조사는 국내 정치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말이 나오는 배경이다.

 

▲ 조사기관 따라 다른 민주당, 국민의힘 지지율.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런데 최근 정당 지지도는 어떤 여론조사 업체에서 조사했느냐에 따라 결과가 천차만별이다. 특히, 대중에 비교적 잘 알려진 정치여론조사 업체인 한국갤럽, 리얼미터의 조사가 그렇다. 11월 1주차~12월 3주차 주간조사를 기준으로 갤럽 조사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줄곧 10% 포인트 이상 격차로 선두를 지켰지만, 리얼미터 조사에선 12월 이후 국민의힘이 민주당을 역전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11월 1주차 갤럽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은 39%였고, 국민의힘은 20%로 ‘더블 스코어’에 가까웠다. 12월 1주차엔 민주당 33%, 국민의힘 20%로 지지율 격차가 다소 좁혀졌지만, 여전히 민주당이 13%포인트 차이로 우위를 포였다. 12월 3주차 조사 때도 민주당 34%, 국민의힘 21%였다.

 

반면 리얼미터는 전혀 다른 조사 결과를 내놨다. 11월 1주차만 해도 민주당 32.8%, 국민의힘 27.3%로 민주당이 5.5%포인트 차이로 앞섰다. 하지만 검찰총장 직무배제 처분으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 총장 갈등이 극에 달한 12월 1주차 조사에서는 민주당 29.7%, 국민의힘 31.3%로 뒤집혔다. 이런 추세는 코로나19 백신 ‘늑장 논란’이 불거진 12월 3주차 조사(민주당 30.6%, 국민의힘 31.6%)에서도 그대로 이어졌다. 최근 주중 조사(12월 21일~23일 조사)에선 국민의힘 33.6%, 민주당 30.0%로 격차가 3.6%포인트 차로 벌어졌다.

 

▲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3일 국회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주호영 원내대표가 발언을 하고 있다. 오른쪽은 김종인 비대위원장. /오종택 기자

 

180도 다른 여론조사 결과를 두고 전문가들은 “업체 조사 방식, 응답자의 정치 성향 같은 변수가 차이를 만들어 냈다”고 분석한다. 리얼미터는 무선 전화면접(10%), 무선 ARS(70%), 유선 ARS(20%)로 ARS(자동응답) 비중이 크다. 반면 갤럽은 전화 RDD(휴대전화 85%, 집 전화 15% 포함)로 전화 조사원이 응답자를 인터뷰하는 방식이다. RDD(Random Digit Dialing)는 기계가 생성하는 무작위 번호로 조사원이 전화를 거는 것을 뜻한다. 사람이 조사하느냐, 기계가 조사하느냐에 따라 민주당이나 국민의힘 지지율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익명을 원한 한 통계학과 교수는 “조사원과 소통하지 않아도 되는 ARS에 비해, 전화 면접조사는 선거에서 패배한 정당, 야당 지지층이 응답을 꺼리는 현상이 있다”며 “응답자들의 정치 성향에 따라 업체별로 결과가 차이 나는 일이 허다하다”고 밝혔다.

 

같은 전화 조사라도 유선(집 전화)이냐 무선(휴대전화)이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는 분석도 있다. 유선 전화는 고령층 지지도가 높은 보수 정당에, 무선 전화는 젊은 층의 지지를 더 받는 진보 정당에 유리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준웅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결국 업체의 응답자 샘플링, 미묘한 조사 문항 등에 따라 결과가 확 달라질 수 있는 게 여론조사”라며 “여론조사는 결코 정답이 될 수 없으며, 정당과 국민이 여론의 추세를 살피는 참고서 정도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손국희 기자 9key@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