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2022 대선

[한국사회연구소] 李 찬성 4050서 60%, 尹은 60세 이상에서

잠용(潛蓉) 2021. 11. 26. 12:16

李 찬성, 4050서 60% 가까이...

尹 찬성, 60세 이상에서 압도적
헤럴드경제ㅣ2021. 11. 26. 11:06 댓글 6개

'이재명표 부동산' '윤석열표 부동산'을 물었다
李 찬성, 4050서 60% 가까이
尹 찬성, 60세 이상에서 압도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각각의 부동산정책에 대해 유권자들에게 찬반을 물은 결과, 모두 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중에선 윤후보쪽이 찬성 응답을 더 많이 받았다. 관련기사 2·3·4면
헤럴드경제가 여론조사기관 한국사회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23~24일 전국 18세 이상 100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국토보유세 신설과 개발이익 환수법을 통한 부동산 불로소득의 국민환원을 주장하는 이 후보의 정책’에 대해 찬반을 물은 결과 찬성 45.0%, 반대 43.7%였다. 11.3%는 ‘잘 모르겠다’고 했다. ‘종합부동산세의 재산세 통합이나 1주택자 면제 등을 포함한 부동산 세제 전면 재검토 및 완화를 주장하는 윤 후보의 정책’에 대한 찬반은 각각 57.4%와 34.4%로 집계됐다. 8.2%가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오차범위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일러스트 : 박지영


차기 대선 후보 적합도에서는 이 후보와 윤 후보가 초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달 전인 헤럴드경제의 10월 여론조사와 비교하면 이 후보와 윤 후보 모두 크게 상승한 것으로, 대선이 본선에 접어들어 지지층 결집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의 다른 여론조사까지 감안하면 윤 후보의 지지율은 주춤한 반면, 이 후보는 상승하는 흐름으로, 두 후보간 격차도 줄어드는 추세다. 이 후보의 부동산정책의 경우 찬성 의견은 광주·전라(64.7%), 인천·경기(47.8%), 40대(57.9%)와 50대(57.1%)에서, 반대 의견은 대구·경북(55.3%), 서울(49.0%), 만18~29세(57.5%), 60대 이상(47.3%)에서 높았다. 윤 후보의 부동산정책에 찬성 의견은 부산·울산·경남(66.1%), 대구·경북(71.2%), 서울(58.5%), 60세 이상(69.6%), 만18~29세(64.7%)에서, 반대한다는 의견은 광주·전라(49.8%)와 40대(50.9%)에서 높았다.


윤 후보 정책에 대한 찬성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에 대해서 이강윤 KSOI 소장은 “일단 이 후보의 국토보유세에 대한 홍보가 부족해 국민들의 정책 이해도가 낮은 상태인데다 신규 세목을 만드는 것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종부세 개편에 대해 찬성 의견이 더 많은 것은 감세에 대한 기대감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며 “윤 후보가 대통령이 되면 재산세 등 각종 세금을 낮추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4자 가상대결을 전제로한 차기 대선 지지도는 윤 후보 42.0%, 이 후보 39.8%였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4.4%, 심상정 정의당 후보 3.2% 등이 뒤를 이었다.한 달 전 같은 조사와 비교하면 윤 후보는 10.5%포인트, 이 후보는 5.9%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지역별로 윤 후보는 대구·경북(58.7%) 부산·울산·경남(46.6%), 서울(45.7%) 등에서 높았고, 이 후보는 광주·전라(67.5%), 인천·경기(44.7%)에서 우위를 보였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와 30대에서 큰 차이를 보인 것이 특징이다. 20대 40.4%가 윤 후보를 지지해 이 후보(20.9%)를 2배 가량 앞섰다. 반면 30대 40.2%가 이 후보를 선택하면서, 윤 후보(30.7%)보다 9.5%포인트 높았다. 내년 대선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청년들의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있는 후보로 이 후보가 39.2%의 선택을 받아, 오차범위 내에서 윤 후보(35.4%)를 앞섰다. 20대 29.2%가 윤 후보를, 30대 40.7%가 이 후보를 꼽으면서 20대와 30대 의견은 또 갈렸다.

[강문규 기자 mkka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