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우주·지구·기상

"이러다 다 죽어"... 역대 최강의 기후악당, 누군가 보니

잠용(潛蓉) 2021. 11. 27. 12:14

[데이:트] "이러다 다 죽어"... 역대 최강의 기후악당, 누군가 보니
머니투데이ㅣ유효송 기자, 임소연 기자 입력 2021. 11. 27. 08:00 댓글 225개

▲ 스웨덴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3일(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행사에 참석을 하고 있다.  /글래스고 AFP=뉴스1) 우동명 기자 


무슨 일이 있었죠?
전세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머리를 맞댄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지난 14일 막을 내렸지만 '반쪽짜리' 합의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일었습니다. 협상 초안에는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겠다는 문구가 들어갔지만 인도를 중심으로 한 반대파의 주도 아래 '단계적 감축'으로 바뀌었기 때문이죠. 인도 부펜더 야다브 환경 및 기후 장관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개발 의제와 빈곤 퇴치 문제가 있다"라며 합의문 수정을 요구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불만은 통상 선진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거셉니다. 선진국은 경제 성장이라는 과실을 이미 다 따먹어놓고 후발국에게 책임을 전가한다는 건데요. 정말 그런지 이번주 [데이:트]에서 확인해볼까요?

 

더 들여다보면


영국의 데이터 기반 기후변화 언론사 카본브리프(CarbonBrief)는 세계의 산업화가 본격 시작된 1850년부터 올해 말까지의 누적 탄소 배출량 순위를 매겼습니다. 화석 연료와 산림·토지 사용으로 배출한 탄소는 미국이 5090억톤(t)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 뒤를 중국(2844억톤)과 러시아(1725억톤)가 이었습니다. 브라질(1129억톤)과 인도네시아(1025억톤), 독일(885억톤), 인도(857억톤)가 그 다음이었네요. 중국과 인도 인구만 해도 전 세계 인구의 35%를 차지해 이들 국가의 누적 배출량은 많을 수밖에 없어요. 1850년~2021년 누적 배출량을 인구수로 나눠보면 순위는 뒤바뀝니다. 누적으로는 상위 국가였던 중국(2위), 브라질(4위), 인도네시아(5위), 인도(7위)의 배출량을 각 나라의 인구로 나눠 1인당 배출량으로 줄을 세우면 이들 국가는 20위 밖으로 밀려나요. 반면 캐나다(1위), 미국(2위), 호주(4위), 영국(8위), 독일(9위), 벨기에(10위) 등 선진국이 순위권에 올라섭니다. 이들 국가를 모두 합쳐도 세계 인구의 10%도 안 되는데 말이죠. 압도적인 인구 때문에 총 배출량은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이 많을지 몰라도 과거 산업혁명 시기를 이끌며 경제번영을 이루어낸 선진국들도 인구 대비 어마어마한 양의 탄소를 쏟아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요?
결국 양쪽의 말이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는 뜻입니다. 누적으로만 보면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도 적잖게 책임이 있지만 산업화와 경제발전을 이미 거친 선진국들이 1인당 배출량에서 상위권을 차지했기 때문이죠.


국제사회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선언해 온 계획과 협약은 조금씩 진화해왔어요. 1997년 일본 교토에서 열린 COP3에서는 '교토의정서'가 채택돼 2005년부터 발효됐어요. 핵심은 산업화된 국가들의 탄소 의무감축목표 설정이었죠. 2015년엔 프랑스 파리에선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파리 기후변화협약'이 발표돼요. 핵심은 지구 평균 온도 상승을 2도 아래로 억제하고, 1.5도를 넘지 않도록 노력하는 걸 목표로 각국이 '5개년' 대응 계획을 수립하도록 한 겁니다.

 

▲ 임소연 기자

 

그러나 산업화 후발국가로서 개발과 빈곤 등 당면 과제를 해결하면서도 기후협약을 지키려면 상대적으로 '그린 인프라'를 잘 갖춘 선진국들이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을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 등 선진국들은 2009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COP15에서 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117조원)씩 개도국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기금에 지원하기로 해놓고 지키지 않았어요.

중요한 건 2015년 파리 기후변화협약에서 거론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 전 세계가 2030년까지 배출량을 45%로, 2050년엔 0%에 가깝게 줄여야 해요. 선진국과 신흥국들이 손을 맞잡고 문제를 해결해야 하죠. 그러나 이번 COP26에서도 개도국이 강하게 요구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와 손실에 대한 직접적인 보상 기금 설립은 불발됐어요. 마셜제도와 피지 등 해수면 상승으로 국가 존폐 위기에 놓인 섬나라들은 해당 기금이 무산된 데 대해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서로의 간극을 줄이고 힘을 모아야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있지 않을까요?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임소연 기자 goatlim@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