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2022 대선

[대선후보 지지이유] 이재명 57.5% "후보의 자질 때문" vs 윤석열 59.7% "정권교체를 위해"

잠용(潛蓉) 2022. 2. 4. 13:17

李 지지 57.5% "후보의 자질 때문"

尹 지지 59.7% "정권교체를 위해"
헤럴드경제ㅣ2022. 02. 04. 12:03 댓글 14개

'부동산 해결사' 두 후보 점수는 초박빙
공급확대는 동일하지만 각론서 시각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지지자 10명 중 6명 가량은 이 후보의 ‘개인기’를 높이 산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지지 뜻을 밝힌 이들은 비슷한 비율로 정권심판론에 따라 마음을 굳힌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부동산 해결사’가 될 수 있는 후보로는 윤 후보의 점수가 이 후보의 점수보다 오차범위 내 약간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치열한 박빙 구도였다. 4일 헤럴드경제가 여론조사기관 한국사회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2~3일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이 후보 지지자의 57.5%는 지지 이유로 ‘후보의 자질과 능력이 뛰어나서’를 꼽았다. 

 

이는 이 후보의 경기도와 성남시 행정 경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국가 비전과 정책·공약이 좋아서’가 17.6%,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가 12.1%였다. ‘이념과 정치 성향이 맞아서’가 8.0%로 뒤따랐다.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1.0% 뿐이었다. 이 후보는 스스로 “문재인 정권의 후계자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으나, 아직 지지자 중 다수는 이 후보 당선을 현 정권의 연장으로 보는 모습이다. 반면 윤 후보 지지자의 59.7%는 지지 근거로 ‘정권교체를 위해서’를 거론했다. 문재인 정권에 대한 큰 반감을 볼 수 있는 지점이다. 이어 ‘국가 비전과 정책·공약이 좋아서’가 10.8%, ‘이념과 정치 성향이 맞아서’가 9.1%였다.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도 8.3%를 기록했다. ‘후보의 자질과 능력이 뛰어나서’는 6.6%로 선택지 중 가장 낮은 편이었다 윤 후보의 지지율 중 상당 부분은 현 정권의 실정에 대한 반사 효과에 따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는 비전,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이 후보와 같이 개인기에서 비교적 강세를 보였다. 심 후보 지지자는 심 후보를 고른 이유를 ‘국가 비전과 정책·공약이 좋아서’(29.8%), ‘후보 자질과 능력이 뛰어나서’(28.7%), ‘이념과 정치 성향이 맞아서’(24.2%) 순으로 꼽았다. ‘정권교체를 위해서’(3.7%),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3.1%) 등은 하위권이었다. 안 후보 지지를 택한 유권자는 근거로 ‘후보의 자질과 능력이 뛰어나서’(46.4%), ‘기타 이유’(17.3%) ‘국가 비전과 정책·공약이 좋아서’(15.5%), ‘정권교체를 위해서’(11.9%) 등을 언급했다. ‘이념과 정치 성향이 맞아서’(7.6%), ‘정권 재창출을 위해서’(1.3%) 등은 후순위였다.

대선주자 4인 중 ‘부동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후보’로는 윤 후보를 고른 응답자가 40.2%, 이 후보를 택한 응답자가 39.5%였다. 겨우 0.7%포인트 차이로 초접전이었다. 이어 안 후보 8.6%, 심 후보 1.8%, 기타 다른 후보 1.7% 순이었다.
‘양강’으로 놓인 이·윤 후보는 모두 부동산 문제에 대한 근본 해법으로 공급 확대를 내놓았다. 5년 임기 내 신규주택 공급 목표도 250만호로 동일하다.

 

그러나 이 후보는 공공 주도, 윤 후보는 민간 주도를 강조하며 각론에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두 후보는 부동산 시장 규제를 놓고도 뜻을 달리한다. 이 후보는 집값 안정과 투기 차단을 위한 규제 강화, 윤 후보는 시장 원리에 따른 문제 해결과 규제 완화를 각각 내세우고 있다. 이 후보가 부동산 문제를 잘 풀 수 있을 것으로 보는 의견은 40대(59.5%), 광주·전라(58.6%), 강원·제주(46.4%), 가정주부(48.0%), 진보(68.9%) 등에서 높았다. 윤 후보가 부동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의견은 60세 이상(49.5%), 대구·경북(56.7%), 부산·울산·경남(47.6%), 자영업자(47.6%), 보수(62.5%) 등에서 우세했다.

 

[이원율 기자 yul@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