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 < 3 >
◇ 민족의 애환 깃든'바위고개'
작곡자 이흥렬은 생전에 다음과 같은 질문을 수없이 받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때마다 그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그래서 이 노래의 원래 작사자 이서향은 <바우고개> 가사에서 <무궁화>를 조선을 상징한다고 금기시되던 시절이라 이것을 <진달래>로 바꾸고, <일제 식민지 시절의 핍박받는 국민들>은 <십여 년 간 머슴살이 하던 머슴>으로 둘러서 표현했다고 합니다. 실제로 우리 지명 중에 바위고개는 여러 곳에 있습니다. 그중 낙동강변의 경북 칠곡군과 달성군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 지금은 도로 확장공사로 없어진 작은 고개가 하나 있었는데 "바위고개"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일합방을 전후하여 능선의 허리가 잘려서 고개는 없어지고 신작로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바위고개에 얽힌 가슴아픈 전설이 있습니다.
옛날 하늘에서 장차 우리나라에 크게 쓰일 장수 한 사람을 이 바위 속에서 키우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잃합방과 더불어 일제의 마수가 여기까지 뻗치게 되었습니다. 일본관헌이 전설을 듣고 이 바위고개에 와 보니 듣던대로 낙동강 물줄기를 한 눈에 굽어보고 있는 이 고개와 바위가 범상치 않게 보였습니다. 일본 관헌이 차고 있던 일본도로 바위 한복판을 내려치자 바위에서 붉은 피가 솟구쳤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맑은 하늘에 뇌성벽력이 치면서 장대같은 소나기가 쏟아지더니 고개 능선이 반으로 갈라졌습니다. 그런데 그 속에는 거의 다 자란 아기장수가 가슴에 칼을 맞아 피를 철철 흘리며 죽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기장수의 가슴에서 흘러내린 붉은 피는 온 산과 바위를 물들이고 아래로 흘러내려가 낙동강 강물까지도 핏물로 붉게 물드렸습니다. 한편 아기장수가 죽을 때 건너편 바위에서는 한 마리 흰 용마가 뛰어나와 온종일 울다가 하늘로 올라갔다고 합니다. 겨울이 지나고 이듬해 봄이 되자 아기장수의 피로 물들었던 그 산에는 여기저기 붉은 꽃이 피어났는데 그 꽃이 바로 진달래 꽃이었다고 합니다. (출처: http://cafe.daum.net/kbsartsong)
◇ 내 어머니의 노래 '바위고개' /고정일
옛 님이 그리워 눈물 납니다, 고개 위에 숨어서 기다리던 님, 그리워 그리워 눈물 납니다~
허공으로 잔잔하게 흩어지는 아름답고도 슬픈 엄마의 노래 가락은 등에 기댄 내 몸을 애잔한 울림통으로 만들었다. 엄마의 하얀 목을 감은 두 팔에 꼭 힘을 주었다. 엄마는 그런 나를 어깨너머로 돌아보며 환하게 웃으셨다. 그리고 몇년 뒤 나는 어머니와 영원한 이별을 했다. 한국전쟁과 1.4 후퇴... 온 마을이 포화로 무너지고 불타는 아비규환 속에 나는 애타게 엄마를 불러댔지만 피섞인 잿더미만 쏟아져내렸다. 타다 남은 옷조각 위에 어머니와 동생들 뼈를 추려 담는 아버지의 손끝은 떨리고 있었다. 나는 한 자루도 채 되지 않는 그것을 가슴에 꼭 껴안았다. 끝 없이 눈물이 흘렀다. (필자: 고정일/ 동서문화사 발행인)
월북자 이유로 금지곡 될까봐 숨겨와 "바우고개 언덕을 혼자 넘자니
▲ 이문학회 마루에서 포즈를 취한 백난영 여사
이서향의 아내 백난영(白蘭英 86)씨는 최근 발행된 이문학회(以文學會) 회보 <이문회우> 제 5호에 기고한 글을 통해서 "<바우고개>는 남편이 14세이던 중학교 2학년 때 친구들과 함께 학교에서 돌아오다 지은 것으로, 훗날 남편의 친구인 이흥렬 씨가 작곡해 주었다는 얘기를 남편으로부터 들었다"고 밝혔다. 이서향과 이흥렬 두 사람은 원래 동향(함남 원산) 출신으로 어릴적 친구 사이였다.
▲ 1934년에 간행된 <이흥렬작곡집(제1집)>에는
음악계의 한 인사는 "알만한 사람은 다 알고 있었던 얘기였으나 아무도 이를 내놓고 거론하기를 꺼려했던 사안"이라고 털어놨다. 백 여사는 "한동안 월북작가들의 이름조차 거명할 수 없었던 시대여서 이같은 사실을 밝힐 수 없었지만 이제는 진실을 밝혀야 한다고 생각했다"며 "그 동안 '빨갱이 마누라'라는 피해 의식에 사로잡혀 발벗고 나서서 밝히지 못한 내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일본 니혼대(日本大)에 유학하여, 국문학과와 예술학과를 졸업한 이서향은 귀국 후 연출가로 활동하면서 당대 최고의 연출가로 이름을 날렸다. 1948년 '남북협상' 때 월북한 이서향은 6·25 당시 서울에 내려와 부인 백 여사를 만나기도 했는데 이 일로 백 여사는 나중에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그런데 작곡자 이흥렬은 생전에 자신이 <바우고개>의 작사자임을 기정 사실화하기 위해 이서향의 가족을 설득하기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 1940년 4, 5월경 이서향과 찍은 약혼사진
남편이 월북한 이후 '월북자 가족'이라는 이유로 자신의 인생마저 꺾여버린 백 여사는 "남편 생각을 할 때마다 '이런 억울한 일도 있나'싶어 회한에 사무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며 그간의 '마음고생'을 털어놨다. 백병원 설립자인 백인제(白麟濟) 박사의 맏딸로 경기여고, 이화여전 영문과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백 여사는 미군정 시절부터 탁월한 통역(영어) 실력을 인정받아온 재원으로 한동안 숙명여고 교사를 지냈으며, 이후로는 유명인사들의 영어 개인교수를 하며 지내왔다. (이문학회:http://cafe.daum.net/imoon, 전화:766-8269)
◇ 작곡자 이흥렬 (李興烈 1909~1980)
|
'음악·애청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리운 가곡] '남촌'(南村 1935)- 김동환 작시, 김규환 작곡 (0) | 2013.04.15 |
---|---|
[PSY] 신곡 '젠틀맨'(Gentleman) 로드쇼 (0) | 2013.04.15 |
[그리운 가곡] '사월의 노래' - 박목월 작시, 김순애 작곡 (0) | 2013.04.14 |
[미국 민요] 'Old Folks at Home' (스와니강) - S. C. Foster 작곡 (0) | 2013.04.13 |
[미국 민요] 'Home on the Range' (언덕 위의 집)-Roger Williams (0) | 2013.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