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부끄러운 1등

[행복지수] 한국 OECD 국가중 하위권… '대선공약과 거꾸로 가네'

잠용(潛蓉) 2013. 5. 28. 17:29

OECD"韓 행복지수 36개국중 27위" 
[뉴스토마토] 2013-05-28 오후 5:03:08

 

삶 만족도 낮고 근로시간 많아..호주, 3년째 1위 차지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뉴스토마토 양예빈기자] 우리나라의 행복지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27위로 중하위권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28일 회원국 36개국의 주거와 소득, 고용 등 11개 생활영역의 지표를 토대로 행복지수(Better Life Index)를 산정해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안전(9.1)과 시민참여(7.5), 교육(7.9) 영역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환경(5.3), 일과 생활의 균형(5.0), 건강(4.9), 삶의 만족도(4.2) 등 근로시간과 생활환경 부문에서 하위권에 머물며 27위에 그쳤다. 한국인의 연평균 노동시간은 2090시간으로 OECD 회원국 평균 1776시간에 비해 15% 가량 많아 가장 긴 편에 속했다.
 
공동체 측면도 응답자의 77%만 '필요할 때 의지할 사람이 있다'고 답해 OECD 평균인 90%에 크게 미달했다. 행복지수 1위는 호주로 3년째 1위 자리를 지켰다. 15~64세의 호주 인구 가운데 73%가 직업을 갖고 있어 OECD 평균(66%)보다 고용이 안정적이었다. 
 
평균수명도 82세로 OECD 평균(80세)보다 2년 길었고 , 한 해 가처분소득도 2만8884달러로 OECD평균(2만3047달러)보다 높았다. 호주인의 평균 노동시간은 1693시간으로 OECD 평균 1776시간보다 크게 낮았다.
자신의 삶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율도 84%로 OECD평균(80%)보다 높았다. 하지만 호주는 소득 격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상위 20%가 하위 20%보다 6배나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웨덴과, 캐나다가 각각 2위와 3위로 뒤를 이었고, 노르웨이, 스위스, 미국, 덴마크,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영국 등이 10위권에 들었다. 일본은 21위로 우리나라보다 앞섰으며, 멕시코와 터키는 35위와 36위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OECD 조사 “한국, 행복지수 36개국 중 27위”  
[매일일보] 2013년 05월 28일 (화) 16:12:26


안전·시민참여 높지만 노동시간 길고 공동체 취약  
[매일일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 36개 선진국을 대상으로 삶의 질 수준을 '행복지수'로 환산한 결과 한국이 하위권인 2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행복한 국가는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호주였다.

OECD는 28일 36개국의 주거·소득·고용·공동체·교육·환경·시민참여·일과 생활의 균형·건강·삶의 만족도·안전 등 11개 생활영역을 반영하는 지표를 토대로 행복지수(Better Life Index)를 산출해 발표했다. OECD는 2011년부터 매해 행복지수를 산정해 발표하고 있다.

 

조사 대상은 OECD의 34개 회원국과 브라질, 러시아다. 각 항목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다. 행복지수에 사용된 모든 지표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해 계산한 결과 한국은 36개국 가운데 27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안전(9.1)과 시민참여(7.5), 교육(7.9) 같은 영역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환경(5.3), 일과 생활의 균형(5.0), 건강(4.9), 삶의 만족도(4.2) 등에서는 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공동체(1.6) 지수는 터키(36위), 멕시코(35위)와 함께 최하위권(34위)이었고 일과 생활의 균형 지수도 33위에 불과했다.

 

세부 지표별로 보면 한국인은 연평균 노동시간이 2천90시간으로 OECD 회원국(평균 1천776시간) 가운데 가장 긴 축에 속했다. 공동체 면에도 응답자 77%만이 ‘필요할 때 의지할 사람이 있다’고 답해 OECD 평균인 90%를 크게 밑돌았다. [신재호 기자  danzae@m-i.kr

 

OECD 주요국 행복지수 순위
연합뉴스 | 입력 2013.05.28 15:48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OECD가 28일 36개국의 주거·소득·고용·공동체·교육·환경·시민참여·일과 생활의 균형·건강·삶의 만족도·안전 등 11개 생활영역을 반영하는 지표를 토대로 행복지수(Better Life Index)를 산출해 삶의 질 수준을 '행복지수'로 환산한 결과 한국이 하위권인 2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yoon2@yna.co.kr]

 


“한국은 불행한 나라…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종”
[데일리메일] 2013.05.28 13:56:37

 

OECD “한국,행복지수 36개국 중 27위…
안전·시민참여 높지만 노동시간 길고 공동체 취약”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 36개 선진국을 대상으로 삶의 질 수준을 ‘행복지수’로 환산한 결과 한국이 하위권인 27위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 앙꼬 없는 찐빵의 불행한 나라로 전락했다. 특히 OECD 회원국(평균 1천776시간)중 한국인의 영평균 노동시간은 가장 긴 것(2천90시간)으로 나타나 실업률 해소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교체근로방식으로 불균형의 엑소더스에 나서야 한다. 가장 행복한 국가는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호주였다.
 
OECD는 28일 36개국의 주거·소득·고용·공동체·교육·환경·시민참여·일과 생활의 균형·건강·삶의 만족도·안전 등 11개 생활영역을 반영하는 지표를 토대로 행복지수(Better Life Index)를 산출해 발표했다. OECD는 2011년부터 매해 행복지수를 산정해 발표하고 있다. 조사 대상은 OECD의 34개 회원국과 브라질, 러시아다. 각 항목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다. 행복지수에 사용된 모든 지표에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해 계산한 결과 한국은 36개국 가운데 27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안전(9.1)과 시민참여(7.5), 교육(7.9) 같은 영역에서는 높은 수준을 보였지만 환경(5.3), 일과 생활의 균형(5.0), 건강(4.9), 삶의 만족도(4.2) 등에서는 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공동체(1.6) 지수는 터키(36위), 멕시코(35위)와 함께 최하위권(34위)이었고 일과 생활의 균형 지수도 33위에 불과했다. 세부 지표별로 보면 한국인은 연평균 노동시간이 2천90시간으로 OECD 회원국(평균 1천776시간) 가운데 가장 긴축에 속했다. 공동체 면에도 응답자 77%만이 '필요할 때 의지할 사람이 있다'고 답해 OECD 평균인 90%를 크게 밑돌았다.
 
전체 행복지수 순위로는 호주가 3년째 정상을 지키고 스웨덴이 2위, 캐나다가 3위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노르웨이, 스위스, 미국, 덴마크, 네덜란드, 아이슬란드, 영국 등이 10위권에 들었다. 일본은 21위였고 멕시코와 터키가 각기 35위, 36위였다. 호주는 2009년 선진국을 강타한 금융위기 영향을 덜 받은 국가로, 경제가 장기 침체를 겪지 않은 점이 행복지수가 높은 배경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은 분석했다. OECD는 "호주는 '웰빙'을 측정하는 척도에서 매우 탁월한 수준을 보였다"며 "행복지수의 많은 영역에서 최상위권에 들었다"고 밝혔다. [이준혁 기자]

 


[의견] 박근혜후보 대선 공약에서 “국민이 행복한 나라” 만들겠다고 했는데… 왜 거꾸로 가지? 혹시 정치권과 대기업만  행복한 나라 만들고 있는 건 아닌가?  국민을 , 유권자들를 또 속인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