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전통·민속·역사

[상식] 계절 명칭과 음력 월명

잠용(潛蓉) 2014. 11. 26. 11:22

◇ 한자어로 읽는 계절과 절기, 월(月)
§ 미디어/- 읽을거리  2011/06/29 13:39 


(출처: "한자 좀 알려주세요~" - 네이버 지식in 답변)
 
§ 사계(四季): 春,夏,秋,冬
맹춘(孟春): 초봄,이른 봄,음력정월,초춘(初春),조춘(早春).
맹하(孟夏): 초여름, 음력사월,초하(初夏)
맹추(孟秋): 초가을, 음력칠월,초추(初秋),신추(新秋).
맹동(孟冬): 초겨울, 음력시월,조동(早冬)

중춘(仲春): 봄이 한창인 때,음력이월, 중양(仲陽).
중하(仲夏): 한여름,음력오월.
중추(仲秋): 가을이 한창인 때,음력팔월,중상(仲商). cf:중추(仲秋): 한가위.
중동(仲冬): 한겨울,동짓달.

만춘(晩春): 늦봄,계춘(季春),모춘(暮春),잔춘(殘春).
만하(晩夏): 늦여름,계하(季夏),잔하(殘夏).
만추(晩秋): 늦가을,계추(季秋),모추(暮秋),잔추(殘秋).
만동(晩冬): 늦겨울,섣달,모동(暮冬),계동(季冬).
* 성하(盛夏): 한여름,성동(盛冬)한겨울
* 24절기 중: 立春에서 穀雨까지 / 봄, 立夏에서 大暑까지/ 여름, 立秋에서 霜降까지 / 가을, 立冬에서 大寒까지 / 겨울

 

§ 월명(月名):
一: 인월(寅月)정월 (正月),원월(元月),개세 (開歲),맹춘(孟春).
二: 묘월(卯月),여월(如月),영월(令月),화경(華景),화월(花月),중양(仲陽),중춘(仲春)
三: 진월(辰月),가월 (嘉月),도월(桃月),희월(喜月),앵월(櫻月),혜풍(惠風),계춘(季春),만춘(晩春),모춘(暮春),잔춘(殘春),혜풍(惠風).
四: 사월(巳月),등월(燈月),여월(余月),조하(肇夏),하반(夏半),음월(陰月). 맹하(孟夏)
五: 오월(午月),우월(雨月),중하(仲夏),미음(微陰).
六: 미월(未月),모하(暮夏),만하(晩夏),선우―월(蟬羽月),계하(季夏),잔하(殘夏).
七: 신월 (申月),난월(蘭月),난추(蘭秋),상추(上秋),신추(新秋),오추(梧秋),조추(肇秋),맹추(孟秋),초추(初秋).
八: 유월 (酉月),계월(桂月),계추(桂秋),수성(壽星),영한(迎寒),장월(壯月),청추(淸秋),중추(仲秋),중상(仲商).
九: 술월(戌月),계추(季秋),만추(晩秋),모추(暮秋),잔추(殘秋),양추(凉秋),현월(玄月),중양(重陽). cf:9/9
十: 해월(亥月),양월(良月·陽月),소춘(小春),상동(上冬),방동(方冬),맹동(孟冬),응종(應鐘)
十一: 동짓달(冬至―),자월(子月),창월(暢月),지월(至月),중동(仲冬)
十二: 섣달, 제월 (除月),사월(蜡月),축월 (丑月),가평 (嘉平),극월(極月),납월(臘月)

 

◇ 옛 문헌상의 曆에 관한 月別 명칭의 구분

 

曆에 관한 옛 문헌에 보면 매번 되풀이되는 월별 명칭을 여러 가지로 다르게 부르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그 예를 들어보면 正月을 孟春, 이월을 仲春, 三月을 季春, 사월을 孟夏, 五月을 仲夏, 六月을 季夏, 七月을 孟秋, 八月을 仲秋, 九月을 季秋, 十月을 孟冬, 十一月을 仲冬, 十二月을 季冬이라고 했다. 또 한 해의 첫째 달이라는 뜻에서 一月을 정월, 마지막 달이라는 뜻으로는 섣달이 사용된다. 그런데 11월을 특별히 동짓달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달에 동지가 들어있기 때문인데, 易의 이치로 보면 동지는 음양의 교차점이니, 비로소 음이 가득하여 지극한 이때 하나의 양이 자라나는 시점이 된다고 하여 사실상의 한해가 시작되는 날로 여겼다.

 

앞의 월별 명칭 가운데 孟·仲·季는 일년 12달을 봄·여름·가을·겨울의 4계절로 구분했을 때 하나의 계절 속에 들어 있는 3개의 달수를 初·正·晩의 명칭과 함께 세분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기의 운행이 변하는 기준점을 나타내는 바 그 변화가 보여주는 자연의 조화를 음률로 나타낸 것이 바로 12律呂다.

 

漢書 律曆志에 의하면 黃鐘은 子月을 天正으로 하고 林鐘月은 未月의 충에 해당하는 맞은편의 丑月을 地正으로 하고 太簇月은 寅月을 人正으로 한다는 뜻이 기록으로 나타나 있다. 이 구절의 天正·地正·人正의 三元은 천지·만물을 구성하는 易의 三才를 말한다.

 

시대에 따라서 曆을 편찬할 때 하늘 중심으로 세상을 이해한다면 夏나라처럼 한해 첫머리인 歲首를 子月에 두게 될 것이고, 땅 중심으로 세상을 이해한다면 殷나라처럼 한해 첫머리인 歲首를 丑월에 두게 될 것이며 사람 중심으로 세상을 이해한다면 周나라처럼 한해 첫머리인 歲首를 寅월에 두게 될 것이다. 이것은 물론 한해의 순환하는 단위를 12地支로 접근했을 때 생겨나는 명칭이다. 그밖의 다양한 부류는 먼저 도표로 월별 명칭을 보이고 구체적으로 분류해보기로 한다.

 

 

음력월

 

十二支

율려(律呂)

그밖의 명칭

正月

 

二月

 

 

三月

孟春(初)

 

仲春(正)

 

 

季春(晩)

寅月

 

卯月

 

 

辰月

태주(太簇)

 

협종(夾鐘)

 

 

고선(姑洗)

원월(元月)·단월(端月)·태(泰)월(月)·추월(陬月)·조세(肇歲)·청양(靑陽)·맹양(孟陽)·맹추(孟陬)·月正

 

如月·영월(令月)·여월(麗月)·대장월(大壯月)·도월(桃月)·중양(仲陽)·화조(華朝)·혜풍(惠風)·감춘(酣春)

 

花月·嘉月·잠월(蠶月)·병월(寎月)·모춘(暮春)·전춘(殿春)·재양(載陽)·淸明·穀雨·中和

여름

四月

 

五月

 

 

六月

孟夏(初)

 

仲夏(正)

 

 

季夏(晩)

巳月

 

午月

 

 

未月

중려(仲呂)

 

유빈(蕤賓)

 

 

임종(林鐘)

余月·乾月·始夏·維夏·新夏·立夏·계하(槐夏)·맥추(麥秋)·소만(小滿)

 

梅月·姤月·순월(鶉月)·雨月·포월(蒲月)·暑月·고월(皐月)·蜩月·梅夏·梅天·薰風·명조(鳴蜩)·長至·류월(榴月)

 

季月·伏月·流月·형월(螢月)·朝月·常夏·재양(災陽)·소서(小暑)·선우월(蟬羽月)

가을

七月

 

八月

 

九月

 

孟秋(初)

 

仲秋(正)

 

季秋(晩)

 

申月

 

酉月

 

戌月

 

이칙(夷則)

 

남여(南呂)

 

무역(無射)

 

양월(凉月)·冷月·동월(桐月)·과월(瓜月)·선월(蟬月)·相月·조월(棗月)·新秋·上秋·流火·처서(處暑)

계월(桂月)·소월(素月)·교월(巧月)·가월(佳月)·안월(雁月)·장월(壯月)·한단(寒旦)·白露

玄月·국월(菊月)·영월(詠月)·剝月·모추(暮秋)·잔추(殘秋)·고추(高秋)·상진(霜辰)·수의(授衣)

겨울

十月

 

十一月

 

十二月

 

孟冬(初)

 

仲冬(正)

 

季冬(晩)

 

亥月

 

子月

 

丑月

 

응종(應鐘)

 

황종(黃鐘)

 

대려(大呂)

 

양월(陽月)·양월(良月)·곤월(坤月)·입동(立冬)·소춘(小春)·小陽·상동(上冬)·조동(肇冬)

창월(暢月)·고월(辜月)·복월(復月)·가월(佳月)·지월(至月)·양복(陽復)·남지(南至)

엄월(嚴月)·臘月·사월(蜡月)·除月·氷月·도월(桃月)·暮冬·모세(暮歲)·모절(暮節)·궁동(窮冬)·가평(嘉平)

 

위의 명칭을 유래를 함께 공유하는 것끼리 모아 보면 다음과 같다.

계절의 변화를 드러낸 명칭-모춘(暮春)·전춘(殿春)·始夏·維夏·新夏·立夏·계하(槐夏)·맥추(麥秋)·모추(暮秋)·잔추(殘秋)·고추(高秋)·입동(立冬)·소춘(小春)·상동(上冬)·조동(肇冬)·暮冬·궁동(窮冬) 등이다.

음양의 기운을 근거로 한 명칭-청양(靑陽)·맹양(孟陽)·재양(載陽)·재양(災陽)·중양(仲陽)·乾月·복월(復月)·양복(陽復)·姤月 등이다.

 

식물의 발육을 근거로 한 명칭-개나리 진달래 등이 피는 것을 반영한 花月·매화와 관련된梅月,梅夏,梅天·류월(榴月)·무성한 창포잎을 대신한 포월(蒲月)·오동나무와 오이의 발육에 근거한 동월(桐月)과 과월(瓜月)·국화꽃의 향기로움이 반영된 국월(菊月) 등이다.

 

동물의 활동을 근거로 한 명칭-누에 치는 달을 뜻하는 잠월(蠶月)·메추라기와 매미의 출현이 반영된 순월(鶉月)·蜩月·명조(鳴蜩)·선월(蟬月)·안월(雁月) 등이 있다.

낮과 밤 동안에 생겨나는 해 그림자를 기준으로 생겨난 명칭-하지(夏至)·長至·지월(至月)·남지(南至) 등이 있다.

 

기온과 강수량에 관련된 명칭-淸明·穀雨·中和·伏月·流月·雨月·소서(小暑)·양월(凉月)·冷月·流火·처서(處暑)·한단(寒旦)·白露·상진(霜辰)·수의(授衣)·엄월(嚴月)·臘月·사월(蜡月)·除月·氷月 등이 있다.

 

달빛의 상태를 반영한 명칭-如月·영월(令月)·여월(麗月)·대장월(大壯月)·교월(巧月)·가월(佳月)·장월(壯月) 등이 있다. 팔풍의 명칭이 응용된 예들-혜풍(惠風)·훈풍(薰風) 등이 있다.(참고 역법의 원리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