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코미디·마술

[I.SEOUL.U] '복잡한 콩그리시로 논란 중인 새 서울 브랜드'

잠용(潛蓉) 2015. 11. 5. 07:30


[서울의 새 얼굴= I.SEOUL.U 上]
'I.SEOUL.U' 논란..

노이즈마케팅의 성공? 실패한 브랜드의 재탕?
머니투데이 | 김희정 기자  | 입력 2015.11.05. 05:10

 

13만여명의 시민참여 vs 전문가의 창작, 세계시민의 선택은..
"요즘 세련되고 단아한 이름이 얼마나 많아요. 돌림자 무시하고 짓고 싶은데 갑자기 시아버님이 작명소에서 이름을 받아오신 거에요. 대놓고 싫다고 할 수 없어 속만 끓이다 결국 그 이름으로 출생신고를 했어요. 다시 생각해도 마음에 안 들죠." 최근 첫아들을 출산한 30대 후반 신 모 씨의 얘기다. '시아버지의 주문'은 없었지만 최근 서울의 도시브랜드가 바뀐 후 시민들이 느끼는 불만과 흡사하다. 서울의 새 얼굴이 'I.SEOUL.U'로 정해지자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 논란이 되는 가운데 새로 달아놓은 콩그리시 서울 브랜드

 

◇ 13만여명의 시민참여, 미술 디자인도 다수결인가?

서울시는 지난 10월 28일 1년 6개월의 준비과정을 거쳐 '하이서울'의 대체브랜드로 I.SEOUL.U를 확정했다. 선정과정엔 무려 13만명이 넘는 서울시민들이 참여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투표를 거쳤다. 세 가지 후보 중 I.SEOUL.U가 58.21%로 압도적 표를 얻어 최종 선정됐다. 서울시는 이번 브랜드 작업이 전 세계에 유례가 없을 정도의 시민참여를 통해 정해졌다고 강조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조차 공식적으로 2번인 'Seouling'을 선호한다고 밝혔지만 투표결과에 아무런 '간섭'을 못했다. 이렇게 민주적으로 정했는데 왜 잡음이 끊이지 않을까?

 

당초 사전투표에서는 'SEOULMATE'가 I.SEOUL.U를 3.3%p 앞섰다. 하지만 브랜드 선정 당일 현장의 프리젠테이션을 들은 시민들의 최종 선택은 뒤집혔다. 시민심사단의 59.8%가 I.SEOUL.U 손을 들어줬고 의견이 엇갈렸던 전문가 심사단도 현장에선 9명 모두 I.SEOUL.U에 투표했다. 김민기 숭실대 교수(서울브랜드추진위원장)는 "개인적으로는 SEOULMATE가 무난해서 논란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하지만 시민과 전문가들 모두 최종 프리젠테이션을 듣고 난 후 '나와 네가 연결되는 서울'이란 I.SEOUL.U의 취지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여유와 열정의 키워드를 담기 위해 푸른점과 붉은점을 I와 U 앞뒤에 넣고 중심에 SEOUL을 넣되 알파벳 'O'를 한글 자모 '이응'으로 표현해 세계적이면서 대한민국 대표 도시임을 이미지화했다는 설명이다. 

 

↑ 다른 나라의 수도 이미지 브랜드


◇ 뜨거운 SEOUL vs 세련된 Tokyo… 노이즈 마케팅인가?

하지만 소셜네트워크(SNS) 등 온라인에선 이미 혹평을 담은 패러디가 넘쳐나고 있다. 전세난이나 교통체증 등 서울살이의 고됨을 뜻하는 부정적 동사로 해석하고, 그 동사형으로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게 대표적이다. 'I incheon you'(널 빚더미로 만들어주겠어), 'I'm coexed'(나 또 길을 잃었어), 'I korea you'(내가 네게 노오오오오력을 강요하겠다) 등에 비하면 '서울이 가수 아이유에 장악됐다'는 해석은 애교 수준이다. 패러디의 이면엔 사전 설명을 들어야만 이해할 수 있는 브랜드 디자인의 난해함에 대한 지적이 내포돼 있다. 영문법은 차치해도 서울만의 정체성이 묻어나는지, 어감이 주는 '즉각적' 울림이 있는지 반문하지 않을 수 없다는 목소리다.

 

↑ 서울의 도시 브랜드 I.SEOUL.U가 발표되자 많은 패러디물이 온라인에 확산되고 있다.

 

같은 달 9일 도쿄 역시 1999년부터 써온 'YES! Tokyo'를 '&Tokyo'로 바꿨다. 서울과 달리 대규모 시민참여 없이 전문가에게 맡겼다. 세련된 느낌이 강하고 '&' 앞에 단어를 조합하도록 해 확장성을 열어놨다. 도쿄 시민들은 무난하게 새 브랜드를 받아들인 모습이다. 서울과 달리 무릎을 치게 하는 기발한 패러디물도 없었다. 김민기 교수는 "베를린 등 해외도시에 방문했을 때 현지공무원들이 전문업체 2~3곳을 정해 경쟁을 붙이지 왜 어렵게 시민참여를 하느냐고 말리더라"며 "시민이 정했다고 해도 모든 시민이 만족하긴 어려운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김동경 서울시 브랜드담당관은 "be berlin이나 I amsterdam, I♥NY 등 해외 도시브랜드도 처음 공개 당시엔 혹평을 받았지만 시민들의 참여와 캠페인 등을 통해 점차 사랑을 받게 됐다"며 "어떻게 우리의 도시브랜드를 확장시켜서 잘 안착시키느냐가 중요한 숙제"라고 밝혔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I.SEOUL.U… “넌 어느 별에서 온 말이니?”
[천지뉴스] 2015.11.04 09:09:15

 

[천지일보=장수경 기자] 서울을 대표할 새로운 브랜드로 I.SEOUL.U(아이.서울.유)가 선정되자마자 된서리를 맞고 있다. 의미가 모호하다는 여론이 커지면서 각종 패러디도 쏟아졌다. 서울시는 지난달 28일 서울광장에서 ‘I.SEOUL.U’를 새 브랜드로 선정하고 전 세계에 선포했다. I.SEOUL.U는 사전 시민투표에서 4만 9189표(18.25%), 시민 심사단과 전문가 심사단에서는 각각 682표(59.8%), 9표(100%)를 얻어 ‘Hi! Seoul(하이서울)’에 이어 서울의 새 얼굴이 됐다. (최종 후보에 오른 세 작품 중에서)

 

서울시는 사전 시민투표 결과(50%), 시민심사단(25%)과 전문가심사단(25%) 현장투표 결과를 합산해 새 서울브랜드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공모전을 통해 새 브랜드를 제안한 이하린씨는 “지금 이 순간에도 활기차게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는 서울을 나와 네가 함께 만들어가자는 의미를 담고 싶었다”고 작품 의도를 밝혔다. 서울시는 내년부터 새 브랜드를 공공 시설물에 본격적으로 설치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디자인과 형태를 변형하고 상품화할 수 있도록 모든 시민에게 개방할 계획이다.

 

 

↑ 서울시의 새 브랜드 ‘I.SEOUL.U’ (아이.서울.유)

영어만 본 외국인 중 몇 사람이나 '나와 너의 서울'이라고 이해할까?

 

◆ 브랜드 의미 전달 문제

‘I.SEOUL.U’를 직역하면 ‘나는 너를 서울한다’라는 뜻이 된다. 때문에 ‘영문법에 어긋난 콩글리시다’ ‘예산만 낭비했다’ ‘브랜드의 의미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등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SNS에서는 “I.SEOUL.U가 도무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며 “다른 별에서 온 외계어 같다”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서울(SEOUL)이 아이유(I,U)에게 장악된 모습을 형상화했다’, ‘아이 서울 우유’ 등 조롱하는 듯한 패러디까지 연일 쏟아지고 있다.

외국인들도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스웨덴에서 온 요세프 미르(28, 대학원생)씨는 “개인적으로는 이해하기 힘들다”며 “서울이라는 단어가 모두에게 긍정적으로 와 닿도록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파라과이인 베로니카(26, 학생)씨는 “한 나라 수도의 브랜드 이름으로는 좀 유치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새로운 시도로 공감을 끌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창의적이라고 볼 수도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브랜드의 기본인 ‘의미 전달’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전종우 단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개방형 브랜드로 하는 것이 최신 트렌드이긴 하지만 의미 전달이 안 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나도 전문가이지만 그 의미를 알기가 어렵다. 브랜드를 자주 바꾸는 것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전통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인 큐레이터 래미 제인(26)씨는 “디지털 세대를 겨냥한 직관적인 이름으로 보이는데 의미가 추상적이고 모호해서 유치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며 “솔직히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모해서 뽑은 것 같이 장난스러운 느낌”이라고 부정적인 의견을 내비쳤다. 급기야 야당 내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손혜원 홍보위원장(60)은 서울시의 새로운 브랜드 ‘I.SEOUL.U’에 대해 “더 이상 조롱당하며 서울 사람 자존심을 건드리지 말고 하루라도 빨리 다시 개정을 시작하라고 비판했다. 그는 “서울의 새 브랜드는 단어들을 억지스럽게 나열해 쉬운 단어인데도 무슨 뜻인지 헷갈리게 돼 있다”며 “설명을 들어도 납득이 되지 않는데 전문가인 제게도 납득이 쉽지 않다는 것은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서울시의 답변 “브랜드 변경은 없다”

상황이 이런데도 서울시는 새 브랜드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홍보가 될수록 브랜드의 의미가 확장성을 더 가질 것이라며 낙관하고 있다. 대부분 도시 브랜드들이 처음엔 극심한 반대를 부딪쳤다는 것도 서울시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논란이 계속되면서 예상치 못한 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새 브랜드 논란으로 관심이 집중되면서 자연스레 I.SEOUL.U의 의미가 널리 알려지자 화제몰이에는 성공한 것 아니냐는 평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 심사단으로 참여한 김유경 한국외대 부총장은 “미래의 도시브랜드는 ‘Being’이 아니라 ‘Doing’의 개념을 담아야 한다”면서 “해석의 여지가 많은 도시브랜드가 좋은 브랜드이며 받아들이는 각자의 해석을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황보연 서울시 시민소통기획관은 “새 브랜드는 한정된 의미를 브랜드에 담는 기존 2세대형 브랜드와 달리 다양한 스토리를 담는 3세대 브랜드”라며 “SEOUL이 고유명사이자 동사가 돼 다양하게 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새 브랜드를 만들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8억원을 투자했다. 시는 내년에는 15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새 브랜드를 대대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장수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