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항일· 민주화

가짜 유공자 바로잡는 데만 20여년… 전수조사는 까마득

잠용(潛蓉) 2019. 3. 1. 19:51

가짜 유공자 바로잡는 데만 20여년… 전수조사 까마득
연합뉴스TVㅣ2019-03-01 13:54:41



가짜 유공자 바로잡는 데만 20여년…전수조사 까마득

[앵커] 독립운동을 한 국가유공자의 후손으로 제대로 인정받기까지 20년이 넘는 세월이 걸린 분이 있습니다. 가짜 유공자 때문이었는데요. 논란이 일자 보훈처는 부랴부랴 전수조사를 언급했지만,결과는 까마득합니다. 장보경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김진성 지사는 임시정부 계열인 국민부 참사로 독립운동에 앞장섰습니다. 일제 밀정 김용환을 처단한 혐의로 체포돼 무기징역형을 받았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습니다. 장남인 김세걸 씨는 중국에서 군의관으로 근무하던 중 노래방 기계를 통해 국립현충원에 아버지 이름의 묘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김세걸 / 독립유공자 후손> “확인해달라고 국가보훈처에 팩스를 넣었더니 ‘이분은 당신 아버지와 동명이인입니다’ 이렇게만 나온 거예요. 아, 이것 잘못됐구나.” 부친을 사칭한 가짜 독립운동가가 애국지사 묘역에 묻혀 있고 그 후손이 보훈연금을 받아간 사실을 알게 된 김 씨. 김 씨는 잘못을 고치기 위해 20여년 간 직접 발로 뛰며 자료를 모았습니다. 건국훈장 독립장이 내려지고 가짜 묘를 이장한 뒤 그 자리에 아버지의 유해가 안장되기까지. 도중에 생계가 어려워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기도 했습니다. 보훈처는 연일 소극적인 태도를 취했습니다.


<김세걸 / 독립유공자 후손> “공무원들이 해야 할 일이에요. (자료) 가져다주니까 보훈처에서도 그래요. ‘어디서 이런 자료를 구했어요?’” 김 씨는 지난해 광복절에야 본인이 파헤친 가짜 유공자 4명에 대한 서훈이 대통령 사인으로 취소됐다고 말했습니다. 논란이 일자 보훈처는 지난해 가짜 색출을 위한 전수조사를 하겠다고 밝혔지만 “5년 내 단계적으로 마무리하겠다”는 또다시 소극적인 답변을 내놨습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끝) [jangbo@yna.co.kr]


“3대에 걸친 가짜 독립유공자 사기꾼 가족, 떵떵거리며 살아”

중앙일보ㅣ2018.10.02 09:47      
 

▲ 김세걸씨 이야기를 다룬 EBS '다큐 시선'의 한 장면. [사진 EBS] 


.독립운동가 김진성의 자녀 김세걸(71)씨는 아버지의 공적을 가로채 보훈연금 등 각종 혜택을 누린 가짜 독립운동가 가족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1998년 국가보훈처에 항의했다. 20년이 지난 2018년 8월 15일에야 가짜 독립운동가들의 서훈이 취소됐지만 김씨는 2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여전히 “분노한다”고 했다.
  
김씨의 아버지 김진성은 1932년 19살의 나이에 만주에 있는 항일단체 국민부 참사로 독립운동을 했다. 이후 중국에 머물던 그는 1961년 췌장암으로 눈을 감았다. 김씨는 중국과 수교를 맺은 1993년 정식으로 포상 신청을 했고, 1995년 보훈처는 김씨가 독립운동가 김진성의 진짜 후손이라는 것을 인정했다. 1997년 국립묘지를 찾아간 결과 김씨는 자신의 아버지 김진성 행세를 한 누군가가 묘역에 묻힌 것을 확인했다. 또 김진성의 딸이라는 ‘김재원’이 1968년부터 1983년까지 매달 보훈 연금을 탄 사실도 뒤늦게 알게 됐다.
  
이 뿐만이 아니었다. 가짜 김진성 묘비 뒤에는 그의 형제라는 독립운동가 김정수 묘가 있었다. 김씨가 확인한 결과 김정수가 독립 유공자로 선정된 근거인 동아일보 기사에는 김정수가 아닌 ‘김정범’이라는 인물만 존재했다. 김씨는 “이 가문은 한국에서도 정말 드문 범죄 가문이다. 3대에 걸쳐 다섯 사람이 다 가짜 독립 유공자로 등록돼 있다”며 “김정수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1963년 건국훈장을 받았고, 1968년에는 김진성, 김정수, 김병식 세 사람이 다른 사람의 공적을 이용해 유공자로 신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김진성은 1995년 전 서훈이 취소됐지만, 나머지 4명은 2018년 8월 15일에야 문재인 대통령이 사인해 서훈이 취소됐다”며 “범죄도 보통 범죄가 아니다. 억울하다”고 토로했다.  
  
그는 “가짜 독립 유공자 가족의 행방을 1998년 찾았다. 은평구에 살고 있고 아파트에서 얼마나 떵떵거리면서 잘 살았겠나”라며 “묘에 ‘3대가 빛나라’라고 썼더라. 저희 아버지는 젊은 나이에 사형까지 선고받고 서대문 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아버지를 생각하면 울분을 참지 못한다”고 말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사무처장을 지낸 상지대학교 정운현 교수는 “1960년대 심사 당시 심사위원 중 친일 경력자들이 있었거나 조사가 완벽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충 포상한 경우가 더러 있었던 것 같다”며 “돈거래가 오가는 과정에서 대상자가 바뀌는 등 상상할 수 없는 비리가 있었을 가능성도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이가영 기자 lee.gayoung1@joonga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