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님을 그리면서" (1934) (1934년 7월 리갈 레코드사 발매) < 1 > 올라 갔노라 푸르렀건만
異蹟도 업고 그저 하얄 뿐 < 2 > 치마는 紺靑 나붓기는 樣
暗暗하건만 꿈이란 말가? < 3 > 님 볼길 업네 그저 외로워
빗나는 별을 한숨 지을 뿐 --------------------------------- * 아적(異蹟) : 별다른 일. 특이한 기적. ('옛 님을 그리면서' 가사지) ◆ <옛 님을 그리면서>는 가수 張一朶紅님이 1934년 7월에 리갈레코드에서 발표한 新民謠입니다. 雜歌 <노래가락; C197/ 張一朶紅 노래>과 같이 발매된 이 노래는, 金岸曙(본명;金熙權,타명;金億,金浦夢) 作詞/ 劉一 作編曲의 작품으로, <가신 님에게/ 외로운 나그네(金貞淑)> 등과 같이 七月新譜로 발매된 곡입니다. 발매 당시 광고지에, "芳年十八歲의 한 떨기 名花 張一朶紅은 前日 全鮮 名唱大會에서 노래가락으로 榮譽의 一等當選이 되여 노래가락 女王이라는 讚辭를 한 몸에 감고 있는 舊歌謠界의 寵姬이다. 이 노래는 특히 作曲歌 劉一氏가 心血을 傾注한 傑作을 孃이 부른 豪華盤이다"라는 평을 받은 <옛 님을 그리면서>, 귀한 작품 잘듣고 갑니다. <雲水衲子> ◆ 인천권번 출신 여가수 장일타홍 고(故) 신태범(申兌範) 박사의 저서 『개항 후의 인천 풍경』에 흥미를 끄는 내용이 있다. 1920~30년대 경제 활황으로 인천 미두장(米豆場)이 번창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일확천금의 꿈을 안고 외지인들이 모여든다. 그에 따라 인천 땅에 외식업과 여관업, 그리고 유흥업이 생겨나 특히 호황을 누리게 된다. 그런 인천 사회의 모습 중에 기생조합이었던 권번(券番)의 풍정을 그린 구절이다. “목로주점과 방술집도 늘어났지만 격이 높은 유흥업소가 등장했다. 돈을 벌었다고 마시고, 잃었다고도 마시는 것이 술이고, 술에는 으레 여자가 따르게 마련이다. 씀씀이가 크고 돈 출입이 잦은 미두꾼이 늘면서 요릿집과 기생 권번이 생긴 것이다. 일월관(日月館), 용금루(湧金樓), 조선각(朝鮮閣) 등이 문을 열고 소성권번(邵城券番)이 출현했다. <중략> 장고와 가야금을 가지고 수심가 아니면 남도소리를 하던 연석(宴席)이었는데, 1930년 후반부터는 유행가와 댄스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1931년에 있던 소성권번의 일본어 선전 광고를 보니 딴 세상 같기만 하다. ‘예도(藝道) 발달의 중임을 맡고 수련을 거듭하기를 몇 성상(星霜)이던가. 이제 예도의 자신이 가슴에 가득 찬 꽃 같은 기생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라는 본문과 함께 초일기(草日記)가 실려 있다. 50여 명의 명단인데 희한한 화명(花名)을 몇 개 골라 적어 본다. 신화중선(申花中仙), 방초선(方楚仙), 이일지연(李一支蓮), 조비봉(趙飛鳳), 조비연(趙飛燕), 장일타홍(張一朶紅), 김경패(金瓊?), 김일점홍(金一点紅), 민금선(閔錦仙), 이채운(李彩雲)”
그러나 일타홍은 그러한 고난을 잊고 전심으로 가무에만 힘을 쏟았다고 한다. 결국 타고난 미모와 노래에 대한 재능이 있었던 까닭에 그 얼마 앞서 경성에서 개최된 명창대회에서 영예의 1등을 거머쥐었고, 그것이 곧 가수의 길로 들어서게 된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오늘날까지 장일타홍의 노래로 확인된 곡은 1934~5년에 콜롬비아에서 취입한 20곡으로 음반 10장 분량이다. 특기할 것은 그녀가 부른 노래는 ‘신민요곡’을 빼고는 거의 대부분이 전래 경기민요였다. 아마도 그의 출생지, 성장지가 인천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참고로 그녀가 부른 곡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민요곡으로 「노래가락」 「양산도」 「이별시」「이팔청춘가」 「신고산타령」 「창부타령」이 있고, 신민요곡으로는 2중창곡 「동구랑타령」 외에 독창곡으로 「사랑타령」 「눈물의 배따라기」 「청풍명월」 「이별의 악수」 「청춘의 비문」 「어허야 나루라오」 「봄놀이타령」 「아리랑 울지 마라」 「남모르는 도라지」 「아리랑의 꿈」 「고향생각」이 있다. 가요곡은 「옛 님을 그리면서」와 「첫사랑」 두 곡이 남아 있다. 일타홍(一朶紅). 그 이름과 같이 그녀는 한 송이 붉은 꽃으로서 웃음을 파는 신세이기는 했지만 인천인으로서 분명 우리나라 가요사를 장식한 인물로 우뚝 선다. --------------------------- ◇ 본문 가운데 ‘三千里 機密室’(삼천리 기밀실)처럼 한자는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편집자가 괄호안에 한글을 병기했음을 알려드립니다. - 편집자 주 [출처: 김윤식 시인의 인천문화예술인 考察] |
'음악·애청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성기 가요] "항구는 슬퍼요" - 김인숙 노래 (0) | 2019.06.10 |
---|---|
[유성기 가요] "제주도 아가씨" (1941) - 남일연 노래 (0) | 2019.06.10 |
[유성기 가요] "애수의 사빈" - 이애리수 노래 (0) | 2019.06.10 |
[유성기 가요] "눈 오는 밤" (1934) - 김선영 노래 (0) | 2019.06.10 |
[추억의 가요] "미련의 소야곡" (1962) - 김길순 노래 (0) | 201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