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음악·애청곡

[추억의 팝송] 'Dust in the Wind' (바람 속 먼지, 1977) - Kansas

잠용(潛蓉) 2013. 7. 31. 07:23

‘Dust in the Wind’
(인생은 바람 속의 먼지, 1977)
- 록그룹 Kansas -

 

록그룹 Kansas

 

(원어: http://kon4812.com.ne.kr/ 번역: 잠용)

(Wind.wav)
Kansas - ‘Dust in the Wind’  

 

◇ 인간은, 아니 존재하는 모든 것은 바람 속에 먼지와 같은 것...
그러니 만사에 집착하지 말라, 땅과 하늘 밖에는 이 세상에 아무 것도 영원한 것 없으니

어쩌면 땅과 하늘까지도 언젠가는...

프로그레시브 록그룹 Kansas는 1970년 그들의 고향 캔사스의 토페카에서 고등학교 동창생이었던 케리 립그렌(Kerry Livgren 기타, 키보드), 데이브 호우프(Dave Hope 베이스), 필 이하트(Phil Ehart 드럼)의 3인조로 결성되었다. 이후 클래식 뮤지션이었던 로비 스타인하트(Robbie Steinhardt)를 영입하면서 미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프로그레시브 록을 시도한다.

이들은 72년 스티브 왈시(Steve Walsh 보컬, 키보드), 리차드 윌리암스(Richard Williams, 기타)를 추가 영입하여 그룹의 틀을 완성하고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1978년 앨범 을 발표하면서 일약 국내에도 알려지게 되었는데, 이 앨범은 더블 플래티늄을 차지했다. 그 중에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애청자가 있는 ‘Dust in the Wind’ 는 당시 빌보드 싱글에서 6위까지 오르기도 했었다. 케리 립그렌과 리차드 윌리암스의 아름다운 쓰리핑거 주법은 기타주법의 대명사가 되었고, 로비 스타인하트의 바이올린 연주와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었다. 또한 70년대 영국에서 건너온 프로그레시브 락의 영향을 받아 미국인 특유의 웨스턴 리듬과 절묘하게 어울려 그들만의 독자적인 사운드를 창출해 낸 심포니 록 밴드이다.

 

동양의 불교 철학 중에서 특히 선(禪)과 관조(觀照)의 세계는 물질 위주의 서구인들에게는마음의 고향으로서 언제나 동경하는 정신적 귀의처(歸依處)와 같은 존재이다. 이 노래에서도 삶에 대한 관조적인 가사는 “인생은 결국 바람 속의 먼지”와 같이 덧없는 존재임을전해 주고 있다.부처님은 이를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 했지..의미도 잘 모르면서 이 노래를 따라 부르며 즐거웠던 그 시절이 새삼 아련히 꿈 속처럼 떠오른다. 인생이란 결국 ‘Dust in the Wind’...(잠용)

 

◇ 이 노래의 제작 배경

1977년 Kansas의 앨범 <Point of Know Return >의 마지막 트랙에 추가된 "바람 속의 먼지"가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노래에 대한 기타 라인은 손가락 피킹 연습을 손가락 운동을 위해 Kerry Livgren에 의해 쓰여졌다. 그의 아내, Vicci는 그가 작곡한 것을 듣고 멜로디가 멋지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가사를 붙여보라고 격려했다. 그 곡은 계약서 출발 때부터 Livgren는 그의 동료 밴드 멤버들이 그 곡을 좋아할 것인지 불확실했다 그러나 그는 그들에게 그 곡을 제안했고, 노래는 채택되어 녹음되었다.

 

"Dust in the Wind"는 캔자스의 첫번째 어쿠스틱 트랙 중 하나였다 그 느리고 우울한 멜로디와 철학적인 가사 내용은  "Carry on Wayward Son"과 "Point of Know Return" 등 그들의 다른 히트곡과는 전혀 달랐다. 사망과 죽음의 필연성에 대한 명상, 서정적인 테마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성경 구절 즉 창세기 3장19절 “for dust thou art, and unto dust shalt thou return” (너는 먼지(흙)이므로, 다시 먼지(흙)로 돌아가리라)을 닮았다.

 

그리고 동시에 일본전쟁 서사시 < The Tale of the Heike 헤이케의 이야기> 에서 유명한 오프닝  "...the mighty fall at last, and they are as dust before the wind." (마지막 패전 가능성은, 그들이 바람 앞에 먼지가 될 것)와 같았다. 하지만, 실제로 가사의 영감은 미국의 전통시에서 얻었다. 거기에는 "for all we are is dust in the wind...(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바함 속의 먼지이기 때문)라는 구절이 있고, 또한, 에머슨, 레이크 & 파머이 쓴 1973년의 노래 < Karn Evil 9 (3rd Impression)>에는 '먼지'와 '바람'에 대한 테마를 반복 서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노래와 정확하게 같은 구절인 "바람 속에 먼지" 라는 구절도 있다.

 

기타 트랙은 열두 줄 기타와 유사한 Chimy 소리를 만들기 위해 Unison으로 6 현 기타를 연주하는 두 사람의 기타리스트가 연주한다. 한 사람은 표준 튜닝으로, 또 다른 사람은 내쉬빌 튜닝으로 연주했다. 악기 브릿지도 특별한 멜로디 라인과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하모니가 같이 포함되어 있다.

끝으로 Kansas는 또 그들의 새 앨범 < Always Never the Same>에 라이브 버전과 심포닉 버전 두 가지를 모두 담아 발표하였다. (Wikipedia)


 

Kansas - Dust In The Wind Live in Chile Legendado (2006)


Sarah Brightman - Dust in the Wind USA - 2008


Dust In The Wind - Sungha Jung (Harp Ukulele)


Sungha Jung (Guitar)


The Muppets: Beaker's Ballad


dust in the wind - Voz: Paula fernandes-
Uma das melhores interpretações desta música


Scorpions-Dust In The W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