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는 마음'
< 1 > 日出峰에 해 뜨거든 날 불러주오 날 불러주오,
님 오지 않고 눈물 흘렸네.
< 2 > 奉德寺에 종 울리면 날 불러주오 날 불러주오,
님 오지 않고 눈물 흘렸네.
* 봉덕사(奉德寺) - 에밀레종과 얽힌 고찰, 경주에 있었다. * [사진] 지리산 망부석 - 草野愚生
가곡 ‘기다리는 마음’ 탄셍비화 요절한 천재시인 김민부의 대표작
[위] 제주 성산 일출봉 [아래]목포 유달산 월출봉
◇ “아내는 꽃 행상을 나가고/ 나는 찬 술을 마신다” 김민부(金敏夫 1941∼ 1972, 부산출신) 시인의 시 <추일 秋日>은 이처럼 아름답게 시작된다. 그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장일남 작곡의 가곡 <기다리는 마음>이 그의 작시다. 김민부는 우리 시단에서 천재의 한사람으로 꼽는 시인이다. 고등학교 시절에 동아일보 신춘문예 입선과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을 차지했으며 첫 시집 「항아리」를 출간해 당대 문단을 놀라게 했다. 그가 첫시집 후기에 밝히고 있는 자신의 시 이론은 16세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쓴 것으로는 잘 믿기지 않는다. 월반을 하고 공동출제 중학입시에서 부산 최고의 점수를 땄다고 한다.
한때 문화방송에서 근무하다 시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의 극심한 갈등으로 31세의 이른 나이에 자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녁 황혼을 바라보며 분신한 그의 마지막은 그가 보여준 절정의 표현이라고 전해진다. 그가 생전에 남긴 거의 모든 시가 발굴돼 <일출봉에 해뜨거든 날 불러주오> 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민예당 출간) 이 책에 그가 쓴 오페라 <원효 元曉>의 대본도 함께 수록했다. 여기에 실린 시편은 국민학교 동창생으로 그의 요절을 안타까워 하던 조용우 전 국민일보사 회장,문학평론가 김천혜 교수(부산대),부산고 동문회 등 수많은 지인들이 오랜 시일에 걸쳐 수소문해 찾아낸 시편들이다. 그의 두번째 시집 <나부와 새>는 세상에 단 두 권밖에 남아있지 않는다고 한다. 그의 시는 짧고 이미지가 강렬하다. 생활 속에서 우러나오는 피곤한 정신적 오뇌를 때로는 퇴폐적인 자학의 언어로,때로는 탐미적인 세계관으로 드러낸다. 그의 시에서는 바다를 "여자대학교의 기숙사 같은 거"라거나 "찻잔 속에 남은 죽음을 핥고 있다"와 같이 독특한 비유들이 눈길을 끈다.
서울아카데미 심포니오케스트라 음악감독인 장일남(張一男)씨는 그를 이렇게 회상한다. "돌아가신 이은상 선생은 김민부의 뛰어난 시재에 감탄해 자신에게 작사를 부탁하는 사람이 있으면 김민부에게 가라고 말씀하시곤 했다" 고. 이틀만에 15개의 작시를 부탁한 적도, 대학시절 그의 친구였던 이근배 시인은 "민부는 너무 일찍 신의 근처에서 어슬렁거렸다는 느낌을 뿌리칠 수 없다. 그의 시는 세월이 흐를수록 명문이라는 인상을 준다"고 말했다. 그를 아끼는 문단과 출판계 인사들은 내년에 제주도 성산 일출봉에 김민부 문학비를 세운다는 계획으로 시비 건립 추진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작곡가 장일남(張一男 1932~2006, 해주출신)은 황해도 해주 출생입니다. 그는 1950년 말 단신으로 월남하여 처음 1년간을 연평도에서 지나게 됩니다. 맑은 날이면 연평도에서 빤히 보이는 고향의 모습을 바라보면서 언젠가는 북에 두고온 어머니와 가족들을 찾아 귀향하리라 고대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그 섬에 사는 한 문학청년을 만나게 됩니다. 두 사람은 통하는 게 있어서인지 급격히 친해지게 되지요. 어느날 그 청년이 옛날 우리말로 된 시가 적혀있는 헌 책을 들고 와서 장일남 선생에게 보여주었습니다. 그것은 제주도 사람들의 애환을 담은 것인데요. 섬사람들에게는 공통적인 것이리라 여기지만, 제주 사람들에게도 옛부터 뭍으로 한번 가보고싶은 욕망은 누구나 갖는 것이었습니다. 제주도 방언에다 옛 글이라 정확한 해석을 할 수는 없었지만 그 원전의 시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제주도에 사는 한 청년이 꿈에서도 그리던 뭍을 찾아 육지로 오게 되었습니다. 그 곳은 지금의 목포입니다. 청년은 언젠가는 섬으로 돌아가리라 마음먹고 유달산 뒤 월출봉에 올라 제주도를 바라보면서 두고 온 여인을 그리게 됩니다. 한편 고향에 있는 그 청년의 여인도 간곳 모르는 사랑하는사람을 기다리며 매일같이 일출봉에 올라 육지를 바라보다가 끝내 망부석이 되고 말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장일남은 바로 그 자리에서 이 시의 사연에 빠져들게 됩니다. "기다리는 마음" 그건 당시 장일남의 심정과 너무도 잘 맞아 떨어진 것이겠죠. 그는 그 자리에서 10분여 만에 시에다 곡을 붙였습니다. 이 때가 1951년입니다. 당시 임시 음악교사로 근무하던 연평도 종합중학교를 그만두고 서울로 향했습니다. 그는 평소에 문화방송과 줄을 대고 있었는데 당시 문화방송 스크립터였던 김민부가 장일남에게 좋은 곡이 있으면 하나 달라고 요청했고 장일남은 그 자리에서 바로 그 "기다리는 마음"을 내놓게 됩니다.
김민부는 원래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한 시인이었습니다. 원전의 시를 그 자리에서 표준말로 번역하게 되었고 그것은 지금의 "기다리는 마음"의 가사가 됩니다. 분단의 아픔을 갖고 있던 우리 국민들의 정서가 "기다림"으로 대변될 수 있었던 당시 상황에서 곡은 첫 전파를 타자마자 전국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 일으키게 됩니다. 당시 유행하던 <비목 碑木>과 더불어 장일남을 세상에 크게 알린 곡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김민부(1941년)는 부산 출신으로 16세에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했습니다. 어떤 글을 쓰든지 습작 없이 바로 쓸 만큼 문재(文才)가 뛰어나 장일남은 그를 "천재시인"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김민부와의 만남은 이렇게 시작되었고 장일남이 평생에 잊지 못할 사람중 하나로 떠올리고 있습니다. 장일남의 오페라 <원효대사>도 김민부가 가사를 썼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는 31세라는 젊은 나이에 화상(火傷)으로 세상을 뜹니다. 장일남의 회고에서 그는 세상을 비관하다 자살을 했다고 합니다. 지금도 장일남이 부산에 가면 김민부의 친구들이 김민부를 만난 것 같다며 반겨준다 합니다. [사진: 작곡가 장일남, 출처: 행복나눔 음악봉사단]
◇ 1964년에 작곡된 것으로 가사는 3.3 체 싯구로 되어 있다. 분신 자살을 한 김민부가 썼다. “일출봉에 해 뜨거든 날 불러 주오…. 기다려도 기다려도 임 오지 않고 빨래소리 물레소리에 눈물 흘리네” 란 이 가사는 외로운 산모퉁이에 홀로 서 있는 망부석에 관한 슬픈 사연을 지니고 있다. 많은 가곡을 남긴 장일남의 처녀작으로 바리톤 진용섭이 원창으로 불렀다.
◇ 성악가 진용섭(秦龍燮 1937~ 함흥출신)은 이북 함흥출신으로 학력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에서 성악 학사, 동대학원 수료후 미국브루클린음악대학에서 성악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퍼시픽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힉위를 받았다. 경력으로는 해병대 상륙군 소위로 임관되고 MBC음악부PD, 김자경 오페라단 창단 멤버, MBC라디오국 FM방송부 제작부 차장, MBC 방송심의실 심의위원, 휴스톤 음악가협회 회장, MBC 가곡의밤 미주10개도시 순회공연 감독, MBC 광고사업국 문화사업팀 부국장 등을 역임했다.
1958년 전국 학생음악콩쿨에서 문교부장관상을 받았다. 주요 공연은 1959년 현제명 가극 춘향전애서 운봉역, 같은해 풋치니의 오페라 라보엠 베누이역, 1968년 풋치니의 오페라 마농레스코-레스코역, 1969년 구노의 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신부역, 1975년 김연준작곡 발표회 일본공연, 1985년 장일남 가극 춘향전(뉴욕) 참가, 1988년 88올림픽 기념공연 장일남의 불타는 탑에서 왕역, 1991~1993년 쏠리스트 앙상블 특별출연, 1993년 대전엑스포 예술회관 오페라 원술랑에서 문무왕역 등이 있다. [Daum 포털]
|
'음악·애청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도 부처님같이-맹석분 작사,이달철 작곡,진각종 유가합창단 노래 (0) | 2015.02.22 |
---|---|
[스크랩] 홀로 가는 길 / 도신스님 (0) | 2015.02.21 |
[인기가요] '풍문으로 들었소' (1982) - 함중아와 양키즈 (0) | 2015.02.07 |
[히트송] '새들처럼' (2011) - FTisland (0) | 2015.02.07 |
[추억의 가요] '외로운 가로등' (1939) - 황금심 노래 (0) | 201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