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왕생가' (願往生歌)
광덕(廣德)작 신라향가/ 작사 정다운/ 작곡 박범훈/ 노래 시명스님
달아달아 서방까지 가시나이까?
무량수 부처님께 말씀 사뢰소서.
맹서 깊으신 무량수부처님께 두 손 모아
"원왕생 원왕생" 하고 그리는 사람 있다고 사뢰주소서.
아~ 이 몸 버려두고
사십팔 대원이 다 성취되실까?
달아달아 西方까지 가시나이까?
무량수부처님께 말씀 아뢰소서.
맹서 깊으신 무량수부처님께 두 손 모아
"원왕생 원왕생" 하고 그리는 사람 있다고 사뢰주소서.
아~ 이 몸 버려두고 사십팔대원이 다 성취되실까?
나무무량수불~
* 원왕생가(願往生歌): 신라 문무왕 때, 광덕(廣德)이 지은 10구체의 향가. 서방 정토(西方淨土)에 귀의하려는 불심(佛心)을 담았으며, 《삼국유사》에 실려 있다. 권5 ‘광덕엄장조(廣德嚴莊條)’에 이 노래의 유래 배경설화와 향찰 원문이 수록되어 있다. 지은 사람은 광덕으로 보는 견해가 정설이지만 광덕의 처 또는 민간전승 등 여러가지 이설이 있다. 내용은 달을 서방 정토의 사자(使者)에 비유하여 정토에 귀의하고자 하는 불심을 노래한 것이다. "달아, 서방까지 가시나이까, 무량수불(無量壽佛, 아미타불을 말한다)께 말씀 아뢰주소서. 서약이 깊으신 무량수부처님께 두 손 모아, 원왕생(願往生)을 그리는 어떤 사람 있다고 아뢰주소서. 아아, 이몸을 남겨 두고 사십팔원(四十八願)을 이루실 수 있으실까?"로 되어 있다. 향가원문은 다음과 같다.
(月下伊底亦 西方念丁去賜里遺無量壽佛前乃 惱叱古音多可攴白遣賜立誓音深史隱尊衣希仰攴 兩手集刀花乎白良願往生願往生 慕人有如白遣賜立阿邪此身遺也置遣 四十八大願成遣賜去)
* 무량수(無量壽)부처님: 아미타불의 이칭.
* 원왕생(願往生): 부처님 정토에서 다시 태어나게 하소서.
* 사십팔대원: 아미타불이 부처가 되시기 전에 세운 48가지 서원을 말한다. "나의 불국토에 태어나는 중생들은 다시는 삼악도에 떨어질 염려가 없을 것이다. 어떤 중생이든지 지극한 마음으로 내 이름을 열번만 부르면 반드시 나의 불국토에서 왕생하게 될 것이다. 등등 (http://blog.daum.net/jamyong/7762734)
'불교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가요] '육근'(六根) - 김회경 작곡, 불교소년소녀합창단 노래 (0) | 2015.02.22 |
---|---|
[불교가요] '원효성사(元曉聖師)님 - 김동아 노래 (0) | 2015.02.21 |
[불교가요] '어머니' - 심진스님 (0) | 2015.02.21 |
[불교가요] '우리 인생은 바람이어라' - 도신스님 (0) | 2015.02.21 |
[불교가요] '우담바라' - 지범스님 노래 (0) | 201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