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과학·생태·건강

[금강] '큰빗이끼벌레 넣은 물고기 절반이 죽었다'- 중학생이 연구

잠용(潛蓉) 2015. 6. 24. 15:24

"큰빗이끼벌레 넣은 수조 안 물고기, 절반이 죽었다"
오마이뉴스 | 오소라, 김종술 기자 | 입력 2015.06.24. 14:40 | 수정 2015.06.24. 14:44 

 

[10만인 현장리포트-금강에 살어리랏다②]

김서현, 채민성 학생의 특별한 실험
환경운동연합과 녹색연합이 주최하고 오마이뉴스 10만인클럽이 주관해서 특별기획 '금강에 살어리랏다'를 진행합니다. 보트를 타고 페이스북 등 SNS 생중계를 하면서 현장을 고발하고 기획 보도를 통해 대안도 모색합니다. 이 기획은 충청남도와 충남연구원이 후원합니다. <편집자말>

 

환경부는 지난해 큰빗이끼벌레가 금강에 창궐했을 때 '수질에 무해하다'고 일축했다. 하지만 충남연구원은 '큰빗이끼벌레가 사멸하면서 용존산소를 고갈시키고 질소를 발생시켜 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해도 큰빗이끼벌레는 창궐하고 있다. 대체 누가 거짓말을 하는 것일까?

 


▲ 큰빗이끼벌레 '투명한 몸통, 고사리 무늬' 24일 오전 충남 공주시 공주보 상류 1키로미터 지점에서 확인한 큰빗이끼벌레. 큰빗이끼벌레는 다양한 크기로 군집해 번식하고 있다. ⓒ 이희훈

 

여기, 초등학교 6학년 때 큰빗이끼벌레를 연구해서 대전과학전람회에 출품, 장려상을 받은 두 명의 학생을 소개한다. 과학적으로 정밀한 데이터를 얻은 것은 아니지만, 환경부와 충남연구원 중 어느 쪽의 말이 진실에 가까운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초등학생들의 실험 결론을 한 문장으로 줄이면 다음과 같다.

"큰빗이끼벌레 수조에 넣은 송사리 50마리, 절반이 죽었다."

 

이 두 명의 학생을 알게 된 건 지난해 10월경이다. 자신의 아이가 큰빗이끼벌레를 연구하고 있다는 학부모의 전화를 받았다. '금강에서 대량 번식하는 큰빗이끼벌레의 집단폐사시 수질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해서 대전과학전람회에 출전하겠다는 것이다. 강바람이 매섭게 불어오던 날, 담요를 뒤집어 쓴 채 내 앞에 나타난 아이들을 처음 보았다.

 

나중에 확인했더니 대전광역시과학전람회에서 당당히 장려상을 받았다고 했다. 아이들의 연구 결과에 대해서 궁금해졌다. 다음은 최근 대전충청 오마이뉴스 사무실에서 올해 중학생이 된 김서현(14), 채민성(14) 학생(충남대 영재원을 3년째 다니고 있다)과 서현 학생 어머니와 나눈 일문일답이다. 

 

◇ 연구진도 만류한 큰빗이끼벌레 연구

 


 ▲ (좌) 대전탄방중학교 1학년 14반 채민성 학생과 (우) 1학년 2반 김서현 학생. ⓒ 김종술

 

- 어떤 이유로 큰빗이끼벌레에 관심을 가졌나?
민성: "작년에 큰빗이끼벌레가 화제였다. 서현이와 함께 김종술 기자님의 기사를 읽었는데 벌레가 생각보다 많이 번성해 있다는 게 놀라웠다.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돼서 연구를 시작했다. 부모님과 상의해서 전람회에 출품하기로 결심하고 선생님께 말씀을 드렸다."

서현: "큰빗이끼벌레를 포털뉴스로 검색해보았다. 100여 건이 넘는 기사가 있었다. 심각한 문제라 생각돼 민성이와 연구하기로 결심했다. 오는 7월에 미국에 가는데 호수나 강에 큰빗이끼벌레가 있는지 확인하고 싶다."

 

- 자녀들이 큰빗이끼벌레 연구하겠다고 어머니에게 말했을 때 어떠셨는지? 
서현 어머니: "전람회에 출품하겠다는 이야기를 듣고 당혹스러웠다. 큰빗이끼벌레에 대한 지식도 없었고 직접 채집하고 관찰하는 과정이 있어야 했기에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다. 4대강 사업은 정치적으로도 민감하기에 연구진들이 만류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이들이 하고 싶다고 했기에 그냥 내버려 두었다. 직접 채집하러 갔을 때 생각보다 깊은 곳에 서식하고 있어서 어려웠다. 금강에서 한 번 실패했고 대청호에서 어렵게 채집했다. 싱싱하지 않았지만 집에 가져와서 비닐장갑을 끼고 만져보고 무게도 쟀다. 우리 집(서현이네) 베란다에서 하나는 스티로폼 박스에 썩게 두고, 다른 하나는 채집통에 썩게 둬 변수를 두고 관찰했다."

 

- 이끼벌레를 연구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민성: "악취가 나서 견디기 힘들었다. 썩은 하수구 냄새, 구역질이 났다. 그래도 마스크 쓰고 실험했다. 큰빗이끼벌레를 잘라 질량을 다르게 해서 관찰을 했는데, 나무나 다른 이물질들이 있어 눈으로 보는 것도 힘들었다."

서현: "냄새에 민감한 편인데 마스크를 써도 힘들었다. 제일 처음에 만졌을 때에는 젤리나 휴지 조각을 물에 적신 느낌, 클레이 반죽이 많이 묽어졌을 때의 느낌이었다. 호기심에 손으로 눌러봤다."

 


▲ 대전탄방중학교 1학년 2반 김서현 학생이 그린 큰빗이끼벌레 캐릭터 ⓒ 김종술

 

- 연구도중 에피소드가 있다면?
민성: "분류한 다음에 여러 가지 측정을 했다. 처음에 가져왔던 이끼벌레를 많이 찍었다. 현미경과 노트북을 연결해서 사진을 찍었다. 용존산소(DO), 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BOD)를 재는데 우리가 구매할 수 있는 정도의 키트를 사서 실험을 하는 것이 즐거웠다. 변수를 달리해서 실험을 했는데 결과가 다르게 나와서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서현: "실험 당시 이끼벌레 안에서 실지렁이 3마리가 나왔다. 깔따구, 실지렁이 등 새로운 생물에 대해 궁금하기는 했다. 같은 큰빗이끼벌레인데도 수치가 달리 나오는 것도 신기했다. 큰빗이끼벌레의 특색을 살려서 캐릭터를 그려볼 생각이다."

 

- 산소를 넣은 것과 안 넣은 것의 차이는?
서현: "아예 자라지 않고 다 죽었다. 물을 갈아주다가 온도가 너무 낮아져서(12~1월경 실험) 죽은 것 같다. 살리기 위해 담요도 덮고 물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전기 기기도 설치했으나 온도가 올라가지 않았다. 아무 것도 안 했던 것은 녹조가 많이 끼었고, 나머지 수조의 물은 맑았다. 금강에서 채집에 실패해 녹색연합 김성중 간사님의 조언을 받았다. 깊은 물 속에 들어가는 것도 힘들었다. 10월 말(24일경)에 처음 채집했고 2, 3번 반복했다. 베란다에서 이끼벌레, 송사리, 물풀을 수조에 함께 넣고 키웠다. 현재 이끼벌레는 모두 사라지고 수조에 있던 송사리 10여 마리를 집에서 키우고 있다. 수조 13개에 송사리를 50마리 넣고 키웠다. 반도 안 되는 수만 살아남았다. 정화하는 물질(EM, 레몬즙, 피트모스 등)을 넣었는데 얼마나 넣어야할지 몰라서 살리기 힘들었던 것 같다."

민성: "서현이가 EM 관련한 발표를 한 적이 있어서 정화하기 위한 물질도 사용했다. 장기적인 효과가 없는 것은 물론, 단기적으로도 효과가 없었다."

 

◇ "금강을 사랑할 수 있는 방법 고민해야"


- 연구를 하면서 새롭게 얻은 것이 있다면?
민성: "큰빗이끼벌레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았고, 금강에도 영향을 미칠 것 같아서 관심을 가졌다. 큰빗이끼벌레를 직접 보면서 '이런 생명체도 있구나' 생각했다."

서현: "대전교육과학전람회에 출품하면서 과학용어를 많이 알게 되었다. 큰빗이끼벌레가 존재를 안 것만으로도 의미있다. 과학이란, 새로운 것을 알면서 배워가는 것이라 생각한다."

 

- 강이 썩고 이끼벌레가 생겼다. 어른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민성: "이미 큰빗이끼벌레가 강에서 서식하고 있기에 바로 죽일 수도 없을 것 같다. 많은 사람들이 큰빗이끼벌레의 존재를 알았으면 좋겠다. 직접적인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아닌 이상 환경정화 활동을 할 수 없으므로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보호하는 활동 등 작은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서현: "4대강 공사를 하면서 원래 물 속에 가라앉아 있던 부식물(피트모스 흙)을 제거해서 강의 생태계가 파괴됐다. 물고기도 삶의 터전을 잃어서 죽어가고 있다. 강바닥을 파내서 생태계를 훼손하면 안 되지만, 이미 지난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앞으로는 생태계를 보존해야 한다. 금강을 사랑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 우리 강은 어떤 모습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서현 어머니: "실험 시 정화물질로 사용했던 피트모스는 이미 강바닥에 있는 물질이고 레몬은 자체가 유기물이므로 썩을 수 있어서 큰 기대는 하지 않았다. 역시 자연 그대로 두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했다. 그냥 놔뒀으면 좋았을텐데…. 어쩔 수 없이 개발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서로 대립하고 자기 의견만 내세울 것이 아니라  많은 토론을 통해 최대한 보존하면서 개발해야 한다."

서현: "4대강 사업과 같이 자연을 훼손하는 일은 처음보다 좋지 못한 결과를 낼 수도 있으므로 자연을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이미 공사를 한 지금은 어쩔 수 없지만 강물이 고여 썩지 않도록 유속을 빠르게 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민성: "큰빗이끼벌레가 수중생물들의 산란처를 없애고 있기에 우리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능한 수중생물들을 건드리지 않고 보를 열어 큰빗이끼벌레가 산란처를 침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의치 않다면 수중생물을 조금 더 투입하고 포획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편집ㅣ최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