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북한·남북통일

[모스크바] '김일성·김정일화(花)' 전시회 눈길

잠용(潛蓉) 2015. 8. 17. 15:28

모스크바에서 '김일성·김정일화(花)' 전시회 눈길
뉴시스 | 노창현  | 입력 2015.08.17. 14:14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14∼16일 개최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김일성화(花)'와 '김정일화' 전시회가 열려 관심을 끌고 있다.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관이 해방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4일부터 16일까지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김일성화·김정일화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www.newsroh.com)가 전했다. 김일성화는 인도네시아의 한 육종학자가 난초 계통의 꽃에서 개량한 품종이다. 높이는 30~70㎝, 지름은 1~1.5㎝이고 약 100일 동안 붉은 자주색의 꽃이 피어난다.

 

 

↑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김일성화(花)'와 '김정일화' 전시회가 열렸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가 전했다. 이번 전시회는 러시아주재 북한대사관이 해방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4일부터 16일까지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개최했다. 김일성화는 인도네시아의 한 육종학자가 개량한 난초과 품종으로 1965년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수카르노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선물하며 김일성화로 명명했다. 김정일화(김정일리아)는 1988년 김정일의 46세 생일 때 일본의 식물학자가 품종 개량한 것이다. 전시공간 중앙에 김일성화를 전시하고 주위를 둘러서 김정일화가 배치돼 있었다. 김정일화는 500루블(약 1만500원)에 구입도 가능했다. 전시장 한켠에선 북한의 도우미 여성 3명이 유창한 러시아어로 관람을 돕는 모습이었다. 2015.08.16. <사진=모스크바프레스 제공> robin@newsis.com

 

 

↑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김일성화(花)'와 '김정일화' 전시회가 열렸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가 전했다. 이번 전시회는 러시아주재 북한대사관이 해방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4일부터 16일까지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개최했다. 김일성화는 인도네시아의 한 육종학자가 개량한 난초과 품종으로 1965년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수카르노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선물하며 김일성화로 명명했다. 김정일화(김정일리아)는 1988년 김정일의 46세 생일 때 일본의 식물학자가 품종 개량한 것이다. 전시공간 중앙에 김일성화를 전시하고 주위를 둘러서 김정일화가 배치돼 있었다. 김정일화는 500루블(약 1만500원)에 구입도 가능했다. 전시장 한켠에선 북한의 도우미 여성 3명이 유창한 러시아어로 관람을 돕는 모습이었다. 사진은 김일성화. 2015.08.16. <사진=모스크바프레스 제공> robin@newsis.com

 

 

↑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김일성화(花)'와 '김정일화' 전시회가 열렸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가 전했다. 이번 전시회는 러시아주재 북한대사관이 해방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4일부터 16일까지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개최했다. 김일성화는 인도네시아의 한 육종학자가 개량한 난초과 품종으로 1965년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수카르노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선물하며 김일성화로 명명했다. 김정일화(김정일리아)는 1988년 김정일의 46세 생일 때 일본의 식물학자가 품종 개량한 것이다. 전시공간 중앙에 김일성화를 전시하고 주위를 둘러서 김정일화가 배치돼 있었다. 김정일화는 500루블(약 1만500원)에 구입도 가능했다. 전시장 한켠에선 북한의 도우미 여성 3명이 유창한 러시아어로 관람을 돕는 모습이었다. 사진은 김정일화. 2015.08.16. <사진=모스크바프레스 제공> robin@newsis.com

 

 

↑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김일성화(花)'와 '김정일화' 전시회가 열렸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가 전했다. 이번 전시회는 러시아주재 북한대사관이 해방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4일부터 16일까지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개최했다. 김일성화는 인도네시아의 한 육종학자가 개량한 난초과 품종으로 1965년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수카르노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선물하며 김일성화로 명명했다. 김정일화(김정일리아)는 1988년 김정일의 46세 생일 때 일본의 식물학자가 품종 개량한 것이다. 전시공간 중앙에 김일성화를 전시하고 주위를 둘러서 김정일화가 배치돼 있었다. 김정일화는 500루블(약 1만500원)에 구입도 가능했다. 전시장에선 북한의 도우미 여성 3명이 유창한 러시아어로 관람을 도왔고 각종 국제 꽃경연대회에서 받은 상장들도 함께 전시됐다. 2015.08.16. <사진=모스크바프레스 제공> robin@newsis.com

 

 

↑ 【뉴욕=뉴시스】노창현 특파원 =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에서 '김일성화(花)'와 '김정일화' 전시회가 열렸다고 '글로벌웹진' 뉴스로가 전했다. 이번 전시회는 러시아주재 북한대사관이 해방 7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14일부터 16일까지 모스크바 중앙예술관에서 개최했다. 김일성화는 인도네시아의 한 육종학자가 개량한 난초과 품종으로 1965년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수카르노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선물하며 김일성화로 명명했다. 김정일화(김정일리아)는 1988년 김정일의 46세 생일 때 일본의 식물학자가 품종 개량한 것이다. 전시공간 중앙에 김일성화를 전시하고 주위를 둘러서 김정일화가 배치돼 있었다. 김정일화는 500루블(약 1만500원)에 구입도 가능했다. 전시장 한켠에선 북한의 도우미 여성 3명이 유창한 러시아어로 관람을 돕는 모습이었다. 2015.08.16. <사진=모스크바프레스 제공> robin@newsis.com

 

1965년에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수카르노 초대 인도네시아 대통령이 김일성화로 명명하면서 선물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엔 김일성화 명명 50주년을 맞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김일성화 전시회가 열린 바 있다. 김정일화(김정일리아)는 1988년 김정일의 46세 생일 때 일본의 식물학자가 품종 개량한 꽃을 김정일에게 선물한 꽃에서 유래했다. 꽃의 빛깔은 진한 선홍빛이다.

 

어른 200루블(약 4200원), 어린이는 100루블(약 2100원)의 입장료를 받았지만 예상보다 많은 관람객들로 붐볐다. 중앙예술관 정문 앞에는 큰 플래카드가 걸려 있었고 게시판에도 다른 행사 안내와 함께 전시회 포스터가 붙어 있었다. 전시공간은 약 30평 정도로 아담한 규모였다. 중앙에 김일성화를 전시하고 그 주위를 둘러서 김정일화가 배치돼 있었다.

 

러시아어로 김일성화와 김정일화를 소개하는 대형 판넬과 함께 각종 국제 꽃경연 대회에서 받은 상장들도 함께 전시됐다. 김정일화는 500루블(약 1만500원)에 구입도 가능했다. 전시장 한켠에선 북한의 기념우표도 판매하는 모습이었다. 북한에서 온 도우미 여성 3명이 관람을 돕고 있었는데 고려인을 방불케 할만큼 유창한 러시아어를 구사해 눈길을 끌었다.

 

전시장엔 일반인은 물론, 전문 사진작가들이 꽃을 촬영하는 등 관심을 기울였다. 북한 노동자로 보이는 사람들이 삼삼오오 와서 관심있게 바라보며 기념사진을 찍기도 했다. 전시장을 찾은 에카테리나 곤차로바(22·러시아고등경제대 학생)는 "꽃에 사람 이름을 붙이는 게 흔하진 않은 일이라 호기심이 생겨서 왔다. 꽃은 그냥 꽃으로 보고 싶다"고 웃었다. 알렉산드르라고 밝힌 사진작가는 "김일성화와 김정일화만 전시하는 것이 조금 단조로워 보였다. 기왕이면 다른 북한 꽃들도 함께 전시하거나 공연 등의 관련 행사들도 연계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북한과 러시아는 2015년을 '북·러 상호 친선의 해'로 지정하고 각종 기념 행사들을 진행해 오고 있다. 지난 5월에는 모스크바 러시아군중앙학술극장에서 사상 처음 북한사진전(알렉세이 게르만 작가)이 북한 당국의 적극적인 협조 속에 개최됐다. 최근엔 모스크바 근교 도시인 세르푸호프에 북한문화원이 개설되기도 했다. [robin@newsis.com]

 


화면음악 '김정일화(Kimjongilia)'


Kimjongilia Festival in the DPRK(김정일화 축전 2007.4.13)


[DPRK Music] '봄을 먼저 알리는 꽃이 되리라'


[왕재산예술단음악] '아리랑' (김영란의 전기기타 연주)


뉴욕 필 '아리랑' 공연(2008. 2. 26. 북한 동평양대극장 공연실황)
 

Edinburgh에 울려퍼진 '아리랑'(북한 최성환작곡, 용인시립청소년 오케스트라 연주 2010. 8. 25.)


'아리랑' 랩소디 - 아드리엘 김, 디토오케스트라 연주


'아리랑' - 어느날 점심시간 서울 인사동 거리 공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