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위안부 협상

[위안부 협상] '우리가 바라는 건 돈이 아니다'

잠용(潛蓉) 2015. 12. 29. 20:19

“돈 아닌 日 공식 사죄·명예 회복 원해” 광주 ‘나눔의 집’ 표정
[경기일보] 2015년 12월 29일 화요일  제3면 

 

 

▲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일 외교장관회담이 열린 28일 오후 광주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나눔의 집에서 강일출 할머니가 뉴스 속보를 본 후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피해자 할머니들 “합의 내용 부족… 소녀상 이전 절대 안돼”
“언제 할머니들이 돈을 요구했느냐. 오로지 일본 정부의 공식사과와 법적 배상만을 원하고 있다” 28일 오후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모여사는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 집’은 한일외교장관 회담 내용을 듣고 찹찹한 모습이었다. 나눔의 집에 살고 있는 할머니 10명 가운데 6명은 휠체어와 지팡이에 의지해 TV를 통해 회담 결과를 지켜보는 내내 아무런 말도 하지 못했다. 한일회담과 관련해 아무런 정보도 얻지 못한 채 발표 내용만 바라보고 있어야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의문 발표가 있은 직후 할머니들은 기자회견을 통해 섭섭한 속내를 감추지 않았다. 유희남 할머니(88)는 “한일 정부가 합의점을 이끌낸 것에 대해서는 인정한다”면서도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돈이 문제가 아니다. 인간으로서의 권리와 명예를 회복해줘야 한다”고 아쉬움을 보였다. 이옥선 할머니(89)는 “일본은 할머니들의 문제를 해결할 생각이 있는지 모르겠다. 일본군은 우리를 찔러 죽이고 쏴죽이고 때려죽였다. 마땅이 사죄하고 법적 배상을 해야한다. 죽기전에 꼭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를 받아야겠다. 아니 우리가 죽어도 꼭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아야 한다”고 울분을 토했다.

 

회담 소식을 미리 전해들은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 역시 “할머니들이 그토록 요구해온 일본 정부 차원의 공식 사죄와 법적 책임이 빠져 있다”고 섭섭함을 숨기지 않았다. 그는 이어 “회담 내용이 인도적 차원만 강조하고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은 교묘히 피해나간 것으로 밖에 평가할 수 없다”며 “인권문제와 법적·외교적 문제가 함축적으로 담겨진 내용이이어서 앞으로 관련단체와 생존해 계신 46분의 피해 할머니들이 모여 의견을 교환한 뒤 명확한 입장을 밝힐 것이다”고 전했다. 소녀상 이전과 관련해 안 소장은 “민간차원에서 전국민이 십시일반 모아서 설치한 상직적인 시설물이기 때문에 협의 대상이 아니다”며 “정부가 이전 요구를 수용해서는 안된다”고 잘라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위안부 代母 김문숙 이사장
“위안부 문제는 금전 해결로 매듭짓는 것 아니다"

뉴스1 | 2015-12-29 15:55:46 송고

 

 

[사진] 김문숙 정신대문제대책 부산협의회 이사장. /김민경 기자

 

(부산ㆍ경남=뉴스1)  한국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 문제를 초기에 알리고 그 진실을 알리기 위해 평생을 바쳐 온 김문숙(88) 정신대문제대책 부산협의회 이사장은 한일 외교장관 회담으로 위안부 문제 합의가 타결되자 "죽음을 당장 앞둔 할머니들에게 돈이 무슨 소용인가, 위안부 문제는 해결로 매듭짓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김문숙 이사장은 29일 뉴스1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정부는 제국주의 전쟁과 식민 지배로 저지른 범죄와 수 많은 조선인들을 학살한 행위를 먼저 인지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사과해야 할 것"이라며 "위안부는 전쟁 범죄의 일부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재단을 설립한다고 10억엔이라는 돈을 내놓는다는 것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 이는 미국의 압박에 의한 화해의 제스처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28일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 따른 위안부 문제 합의는 아베 총리가 내각 총리로서의 공식 사과를 표명하고 한국 정부가 설립하는 피해자 지원 재단에 일본정부가 10억엔(한화 100억원) 상당의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 등이 담겨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위안부 할머니들은 합의안에서 일본군의 '위안부' 범죄가 일본 정부와 군에 의해 조직적으로 자행된 범죄라는 부분을 인정하지 않은 점과 사과의 대상이 모호하고 아베 총리가 아닌 기시다 외무성이 대독사과를 했다는 점에서 '진정성이 담긴 사죄'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문숙 이사장은 이에 대해 "정부가 이번 위안부 문제 협상 타결로 '최종적인 해결'을 선언하는 태도에 어제부터 잠을 이루지 못했다"면서 "위안부 문제는 해결로 매듭짓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김 이사장은 일본 정부가 전쟁으로 인한 수 많은 피해자에 대한 진심어린 사죄 없이 재단설립을 빌미로 책임을 전가하는데도 이같은 사안을 받아들인 한국 정부의 태도에 실망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돈이 전혀 필요가 없다"면서 "일본이 두 번 다시 전쟁을 일으키지 않게 하기 위해서라도 위안부 문제가 해결됐다는 선언은 잘못된 것이다. 이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두 번 죽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일본 대사관 앞에 있는 평화의 소녀상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도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김 이사장은 "정부가 고려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나중에 (평화의 소녀상을) 옮겨주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과 일맥상통한다"면서 "종전 이후 피해 사실을 알리고 인권보호와 명예회복에 힘써 온 지난 세월을 돌이켜 본다면 이는 정부에게 실망할 수밖에 없는 결과"라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그러면서 "진정성 있는 사과는 비단 위안부에 국한돼 다뤄질 사안이 아니라 과거 식민지배를 통해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되고 죽어나간 일에 대한 인지가 먼저 바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학생들을 비롯한 젊은 세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인식 넓히고 할머니들을 대신해 일제 식민지 역사를 알리거나 기부에 적극 참여하는 현상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이사장은 "실제로 부산지역 학생들의 기부 행렬이 소녀상을 짓는 데 큰 보탬이 됐다"면서 "청년들이 단순히 할머니들이 불쌍하니까 도와주자 라는 게 아니라 우리가 왜 식민지가 됐는지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 나라를 되찾은 지금 각자의 입장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생각했으면 한다"고 전했다.


1986년부터 여성 인권보호운동에 뛰어든 김문숙 이사장은 1991년 위안부 문제를 처음 증언한 김학순 할머니의 사연을 들은 뒤 정신대 피해 신고 전화 센터를 설치해 부산에 사는 7명의 위안부 피해자를 찾아냈다. 그는 지난 30여년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들을 수집했고 2004년에는 부산의 첫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인 '민족과 여성 역사관'을 자비로 개관했다. 김 이사장은 이날 평화의 소녀상 이전에 대한 반대입장과 더불어 "앞으로도 전국 곳곳에 소녀상을 세울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부산지역 위안부 피해자는 이막달(93)할머니 한 분만 남아있다.이 할머니는 현재 병상에서 투병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정부는 회담이 끝난 이후 29일 서울 마포구의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쉼터와 경기도 광주의 나눔의 집을 방문하면서 위안부 문제 합의안을 두고 민심잡기에 나섰다. 같은 날 아베 신조 일본 내각 총리가 한일 외교장관 위안부 문제 협상에서 '최종적' 이고 '불가역적' 문구가 들어가지 않으면 교섭을 그만두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회담 타결 이후 합의안 이행 여부와 행보를 두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조아현 기자, 김민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