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文정부·청와대

[트럼프] "한국민 선택에 경의… 북핵 어렵지만 해결 가능"

잠용(潛蓉) 2017. 5. 11. 08:42

트럼프 "한국민 선택에 경의.. 북핵 어렵지만 해결 가능"

유지혜 입력 2017.05.11. 02:01 수정 2017.05.11. 06:25 댓글 136개



한·미 정상 30분간 첫 통화..문 대통령 "동맹 어느 때보다 중요
북핵 해결 우선순위 둔 것 높이 평가" "만나기 전 언제든 통화" 한목소리
시진핑, 축전만 보내던 관례 깨고 취임 축하 통화 조만간 하기로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취임 후 외국 정상으로는 처음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30분간 전화통화를 했다. 양 정상은 이날 첫 통화에서 굳건한 한·미 동맹을 기초로 북한 핵문제 등 한반도 안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미국의 대북 군사 작전 언급까지 나오며 긴박하게 치달은 한반도 정세와 관련, “ 북 도발 억제와 핵 문제 해결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우선순위 부여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민의 선택에 경의를 표한다”면서 “북핵은 어렵지만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말로 화답했다. 한·미 간 대북 공조 분위기를 대내외에 과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문 대통령에게 “해외정상으로서 충분한 예우를 갖춰 환영하겠다”며 “우리 두 사람의 대통령 선거를 같이 축하하자”고 분위기를 띄웠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 비용 한국 부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발언으로 생긴 양국 간 불편한 기류를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이날 취임식에서 “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동분서주하겠다”며 “필요하면 곧바로 워싱턴으로 날아가겠다”고 밝혔다. 엄중한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 한·미 정상 간 긴밀한 채널을 구축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고, 이날 통화에서 양국은 이 같은 입장을 확인했다.


특히 양국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직접 만나기 전에 현안이 있으면 언제라도 편하게 통화하자”고 한목소리를 냈다. 지난 5개월 국가 정상 궐위 상황에서 국내에선 미·중·일 등이 한국을 배제한 채 한반도 문제를 논의할 수 있다는 이른바,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 우려가 제기됐는데 이날 통화를 통해 이런 우려를 상당부분 해소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향후 정상회담 개최 시점은 이르면 6월께 문 대통령이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는 방안이 우선 검토되고 있다. 두 정상은 7월 초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도 만날 수 있지만 첫 회담을 단독 양자 방문 형식이 아니라 다자회의를 계기로 하는 것은 상징적 의미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6월 워싱턴에서 양자회담이 성사될 경우 7월 독일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까지 두 달 사이 두 차례의 만남이 가능하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11월 베트남 다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하는 길에 한국을 답방하는 형식이 외교가에선 ‘베스트 시나리오’로 거론된다.



7월 G20회의 앞서 6월께 정상회담 가능성

한·미 정상 간 통화에 이어 사상 처음으로 한국 대통령 취임 축하를 위한 한·중 정상 간 통화도 조만간 이뤄질 예정이다. 양국은 실무선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문 대통령에게 축하 전화를 거는 방안을 조율 중이다. 중국은 그동안 한국의 대선 이후 정상 명의의 축전만 전달했을 뿐 별도로 취임 축하 통화를 한 경우는 없었다. 관련 사정에 밝은 정부 소식통은 이날 “ 한·중 실무선에서 조율이 이뤄지고 있다. 이르면 11일 통화가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추궈훙(邱國洪) 주한 중국 대사는 외교부 청사를 방문해 시 주석의 취임축하 친서를 직접 전달했다.


외교가의 한 소식통은 “중국 측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라며 “사드 체계 배치 결정 이후 급격히 악화된 한·중 관계를 회복하겠다는 시 주석의 의지가 느껴진다”고 말했다. 일종의 중국발 ‘러브콜’이라는 얘기다.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사드 배치와 관련, “새 정부 출범 후 충분한 외교적 협의와 국회 비준 동의 등 국민적 공론화를 거쳐 배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날 문 대통령에게 당선 축하 축전을 보냈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