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돈 퍼붓고 롯데·신세계도 눈독... 코로나가 판 키운 배달업
중앙일보ㅣ문희철 입력 2020.02.13. 05:01 수정 2020.02.13. 06:51 댓글 353개
콧대 높아지는 음식 배달 산업
▲ 서울 강남구 배민라이더스 남부센터에서 한 직원이 음식을 배달 중이다. [뉴스1]
주요 유통기업과 온라인 쇼핑(e커머스·e-commerce) 기업이 일제히 배달 시장에 주목하고 있다. 자체 음식 배달 시스템을 확충하거나 관련 기업 인수를 추진 중이다. 안그래도 높아진 배달 서비스 관련 기업의 몸값을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이 더 높인다는 분석도 나온다. 롯데그룹은 10일 롯데이츠(LOTTE EATZ)라는 신규 서비스를 시작했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롯데리아·엔제리너스·크리스피크림도넛·TGI프라이데이스·빌라드샬롯 등 롯데그룹 5개 브랜드 제품을 한꺼번에 주문할 수 있는 서비스다.
롯데이츠의 가장 큰 특징은 ‘홈서비스’와 ‘잇츠오더’다. 홈서비스는 음식을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하면 라이더(rider·배달원)가 오토바이로 음식을 직접 배달하는 서비스다. 매장 방문 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음식을 주문하는 잇츠오더도 홈서비스처럼 비대면 서비스라는 공통점이 있다.
▲ 메쉬코리아의 배달 대행 서비스 '부릉' [중앙포토]
자체 음식 배달망을 갖추지 못한 유통 대기업은 배달대행 서비스 전문 업체에 눈독을 들인다. 지난 9일엔 배달대행업체 ‘부릉’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메쉬코리아의 지분 매각 예비입찰에 신세계그룹의 이마트가 참여했다. 지분 일부를 매각한다고 했지만, 조건만 맞으면 경영권 자체도 매각 가능한 걸로 업계에선 본다. 이마트는 “부릉을 실사하면서 배달대행 서비스 업종의 구조를 파악하고 본입찰 참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은행(IB) 업계는 롯데그룹·신세계그룹과 함께 대형마트를 운영하는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파트너스도 부릉 인수에 흥미가 있다고 본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는 “주주사 입장은 파악할 수 없지만, 홈플러스는 메쉬코리아 예비 입찰에 불참했다”고 설명했다.
▲ 롯데리아 매출액 중 배달주문 매출 비중. /그래픽=박경민 기자
롯데리아 매출의 35%가 배달
대형 유통기업이 일제히 음식 배달 서비스에 관심을 기울이는 건 오프라인 유통망 소비가 갈수록 침체하기 때문이다. 제품을 직접 배달해서라도 소비자를 확보해야 생존한다는 인식이 음식배달 시장의 경쟁 구조를 촉진하고 있다. 집에서 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사람이 급증하는 추세도 영향을 미쳤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연간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치킨·피자 등 배달 음식 서비스 거래액(9조7365억원)이 2018년(5조2731억원) 대비 84.6% 늘었다. 이로써 배달 음식 시장은 2년 연속 매년 두 배가량 성장했다. 투자은행 UBS는 세계 온라인 음식배달 시장 규모가 2018년 40조5000억원에서 2030년 423조원으로 급격히 커질 걸로 전망한다.
▲ 성장하는 온라인 음식 배달 글로벌 시장 규모. /그래픽=신재민 기자
롯데GRS가 운영하는 롯데리아도 올해 배달 주문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까지 치솟았다. 롯데그룹이 다른 외식 브랜드로 배달 서비스를 확대한 배경 중 하나다. 유통 대기업이 배달 사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또 있다. 단순히 음식 배달을 넘어, 이종 서비스로 사업을 확장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배달 사업의 기반이 빅데이터라서 가능한 일이다. 차량공유기업(그랩·우버·고젝)이 배달시장(그랩푸드·우버이츠·고푸드)에 진입하는 이유도 이들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활용해서 사업을 확장한 사례다. 음식을 운송하는 라이더 확보 경쟁도 치열해졌다. e커머스 기업 쿠팡의 음식배달서비스 쿠팡이츠는 지난 6일 서울 지역에서 배달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기본 수수료를 1건당 1만8000원씩 지급했다. 예컨대 소비자가 5000원짜리 짜장면 한 그릇만 주문했더라도, 이를 배달하는 라이더에게 쿠팡이 1만8000원의 배달비를 지급했다는 뜻이다.
▲ 올해 롯데리아에서 배달 주문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5%까지 치솟았다. [사진 롯데GRS]
라이더 확보 경쟁에 출혈 경쟁도
▲ 쿠팡이츠는 지난 6일 서울 지역 배달시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기본 수수료를 1건당 1만8000원씩 지급했다. /문희철 기자.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배달의민족·요기요·배달통의 경우 주문 한건당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평균 배달비는 3000~5000원 수준이다. 라이더가 이날 쿠팡이츠의 배달콜을 잡았다면, 평균 배달료의 3.5~6배를 벌었다는 뜻이다. 배달 거리가 길수록 할증이 붙어 쿠팡은 라이더에게 더 높은 수수료를 지급한다. 이날 배달 주문 건수가 1만건이라고 치면, 쿠팡이츠는 단 하루 만에 배달 비용으로만 최소 1억8000억원을 지급한 것이다.
배달업계 관계자는 “쿠팡이 하루에 2억원 가까이 손해 볼 각오로 배달료를 지급한 이유는 라이더를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해석했다. 라이더는 개인 사업자처럼 배달을 할 때마다 건건이 배송비를 받는다. 배달 건수가 많으면, 보다 이동 거리를 줄이면서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동선을 확보할 수 있다.
▲ 배달의민족이 보유한 라이더 인원수. /그래픽=박경민 기자
그런데 쿠팡이츠는 배달의민족·요기요보다 상대적으로 주문 건수가 적다. 라이더들은 쿠팡이츠보다 배달의민족·요기요 배달을 선호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결국 라이더에게 쿠팡이츠의 존재감을 알리고 앞으로 보다 많은 주문콜 접수로 이어질 수 있도록, 쿠팡이 손해를 감수하면서 배달료를 일시적으로 인상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쿠팡은 “당일 프로모션 주문이 갑자기 몰려서 쿠팡이 손해를 감수하면서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배달 단가를 높였다”며 “당일 집행한 예산 규모는 공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 자체 배달 서비스인 '맥딜리버리'를 일찌감치 국내에 도입한 맥도날드는 지난해 전체 매출에서 배달 음식 비중이 20%를 넘어섰다. [사진 한국맥도날드]
지난달 중국 우한에서 시작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국내 확산도 배달 음식 시장 확대를 부채질했다. 실제로 신종 코로나 사태가 확산하기 직전(1월 20~26일) 대비 직후(1월 27일 ~ 2월 2일) 배달 애플리케이션 요기요 사용자 수는 전주 대비 17.1% 증가했고, 배달의민족 사용자 수도 같은 기간 5.8% 늘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하던 유통업의 융합이 본격화하면서, 유통업계가 저마다 배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를 계기로 온라인 주문이나 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면 음식 배달 시장의 규모는 더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코로나 재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장] "우한 힘내라, 중국 힘내라" 중국어로 응원… 中 SNS 화제 (0) | 2020.02.16 |
---|---|
[이것이 나라다] 우한 1차 귀국 교민 366명 퇴소... 모두 음성 (0) | 2020.02.15 |
[코로나 19] "우한 고양이"의 귀여운 변신 (0) | 2020.02.13 |
[뉴스쇼] "확진자 28명 상태는? 최악이 몸살 기운 정도" (0) | 2020.02.12 |
[우한 3차 엑소더스] 우한 3차 전세기 도착… 성인 5명 ‘신종 코로나’ 의심증상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