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준이 본 미래... 지금 우리 사는 세상이 됐다
서울신문 | 입력 2014.07.26 03:52
기상천외한 위성쇼 ‘굿모닝 미스터 오웰’ 그 후 30년…
과학·예술·심리학 등 통찰력 넘쳤던 천재 예술가
1984년 1월 1일 정오. 정적을 깬 TV 화면에선 춤추는 여인과 어지러운 특수효과가 혼재했다. 이어 요염한 여인의 입술에서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란 전자체 글씨가 자막처럼 퍼졌다. 전파가 끊겼다 연결되기를 5분여. 백남준(1932~2006)의 위성쇼 '굿모닝 미스터 오웰'은 미국을 비롯해 독일과 프랑스, 한국의 시청자 2500여만명을 동시에 사로잡았다.
이 위성쇼는 방송사인 WNET(미국)과 FR3(프랑스)가 진행을 맡아 뉴욕과 샌프란시스코, 파리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공연들을 쌍방향으로 생중계했다. 백남준과 함께 '플럭서스'(기성예술을 부정하는 급진 단체)를 이끌던 존 케이지, 요제프 보이스를 비롯해 이브 몽탕, 머스 커닝엄, 앨런 긴즈버그, 샬럿 무어먼, 피터 가브리엘, 벤 보티에 등 내로라하는 예술인 100여명의 퍼포먼스는 단박에 눈길을 모았다. 우주 요들송, 브레이크 댄스, 패션쇼 등으로 이어진 즉흥 공연들은 무려 58분간 화면에서 명멸하다 사라졌다. 퍼포먼스는 1948년 발표된 조지 오웰(1903~1950)의 소설 '1984'에 대한 한 세대 뒤의 화답이었다. '빅 브러더'가 미디어를 통해 감시·통제하는 암울한 미래상이 "너무 앞서 갔다"고 튕기는 삐딱한 오마주요, "오웰의 예견이 절반만 맞았다"는 백남준의 일침이었다. 배경에는 미디어 기술의 진보가 인류에게 새로운 희망을 열어 줄 것이란 믿음이 자리했다.
● "작가 뜻도 모르고 위성중계 고르지 않다는 자막 덧붙여"
이를 방영한 KBS의 책임 프로듀서였던 이태행 백남준문화재단 상임이사는 "(도입부) 미디어의 불통을 표현하기 위해 블랭크와 노이즈를 삽입한 작가의 뜻도 모른 채 위성중계가 고르지 않다는 자막을 덧붙였다. 지금 생각하면 쓴웃음만 날 따름"이라고 회고했다. 폭압적인 전두환 정권 시절 이 쇼는 단순히 '첨단과학과 예술의 만남'으로 포장돼 국내에 소개됐고, 이름도 생소한 오웰의 소설 '1984'는 스테디셀러가 됐다. 그로부터 30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은 지금까지 다양한 분석이 이어지는 문제작으로 평가받는다. 거대 권력에 대한 문제 제기, 첨단 기술과 예술의 융합, 국적·장르를 초월한 전 지구적 소통을 실현한 덕분이다. 한 세대가 흘렀지만 국내에선 예술가 백남준을 둘러싼 해석이 더 다양해졌다. 그간 백남준의 작가적 성공과 업적을 놓고 친일 자본가 집안이란 배경, 일본·독일에서의 성장기를 내세워 폄훼하던 부정적 시각과 천재 예술가로 찬양만 하던 긍정적 시각이 엇갈려 왔다.
● "빅데이터·스마트폰 등 수십년 뒤 등장한 요소 작품에 녹아"
최근 백남준을 미래 미디어 환경을 예측한 미디어학자로 보는 견해가 눈에 띈다. 이수영 백남준아트센터 큐레이터는 "백남준이 록펠러재단의 아트 프로그램 디렉터로 일할 때 '후기산업사회를 위한 미디어 기획'이란 보고서를 썼다"며 "1974년 발간된 논문에서 17년 뒤 구체화된 인터넷을 '일렉트로닉 슈퍼 하이웨이'란 단어로 지칭하는 등 현대사회에 대한 구체적 언급이 담겨 있었다"고 설명했다. 백남준은 생전 "예술가의 역할은 미래를 사유하는 것"이라며 종종 3000년대를 언급하곤 했다. 그는 '문학은 책이 아니다'(1989년)란 설치미술에서 TV로 만든 소파와 샹들리에, 시계 등을 선보였다. 또 '최초의 휴대용 TV'(1973년) 작품은 오늘날 스마트폰을 연상시킨다. 박만우 백남준아트센터 관장은 "빅데이터, 스마트폰, SNS 등을 연상시키는 요소들이 작품 속에 등장하곤 했다"고 말했다.
"예술이란 반이 사기"라고 말한 백남준의 비디오아트가 기성 질서에 대한 도전인 동시에 인간의 정서를 예리하게 포착한 심리학적 고찰이란 해석도 나온다. 황병기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은 "그가 보여 준 통찰과 혜안, 미래에 대한 비전은 그대로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이 됐다"고 평가했다. WNET의 위성쇼 총괄 프로듀서였던 캐럴 브란덴버그는 "(백남준은) 가치관이 명확한 평화주의자였고 통찰력이 넘쳤다"고 재단 측에 밝혔다.
● "신세 꼭 갚는 의리남" "가치관 명확한 평화주의자"
인간적 면모를 떠올리는 이들도 많다. 20여년 지기인 천호선 전 쌈지길 대표는 "신세를 지면 꼭 갚던 의리남"으로 기억했다. 1981년 뉴욕에서 처음 만난 백남준이 독일에서 교육받아 사회주의적 색채가 강했다고도 했다. 작가 김구림은 1980년대 중반 뉴욕에서 매년 크리스마스 이브를 백남준과 함께 보냈다고 회상했다. "굉장히 인간적이었는데, 하루는 '김 선생, 그림은 어떻게 그려야 하느냐'고 허물없이 물어 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미술평론가인 김동일 대구가톨릭대 프란치스코칼리지 조교수는 "(백남준은) 당대 예술의 장에서 다양한 사회적 자원을 미학적 실천을 중심으로 조직해 냄으로써 기존 상징 자본의 분포를 재편하고자 했고, 결국 승리한 장내 투쟁자"라고 해석했다. 늘 변두리에 머물며 과격한 일탈이 아닌 정교하게 조직된 실천만을 행했고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예술혼을 이어 갔다는 것이다. 다만 엘리트 중심의 닫힌 예술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탈목적론적 다중'을 유의미한 예술적 주체로 끌어들이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고 덧붙였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미술·공예·조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주 열암곡 석불 불두(佛頭) 발견됨을 친견하려 오른 고위산 (0) | 2015.02.15 |
---|---|
[광주 비엔날레] '누구가 함부로 대통령 풍자그림을 그리는가?' (0) | 2014.08.11 |
[문화재] 영주댐 예정지서 고려시대 공양구 쏟아져 (0) | 2014.05.13 |
[오바마] 방한 때 국보급 옥새(玉璽) 9점 반환 예정 (0) | 2014.04.15 |
[천마상] '1500년전 천마상이 깨어났다'… [경주박물관] (0) | 201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