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북한·남북통일

[드레스덴 선언] 북 매체 '드레스덴 선언' 비난... 사실상 거부?

잠용(潛蓉) 2014. 4. 1. 17:21
北 매체, '드레스덴 선언' 비난... 사실상 거부
[서울경제] 2014.04.01 08:59:08

 

북한매체가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을 공식 비난하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31일 ‘드레스덴 선언’에 대해 “(박 대통령이) 얼마 전 독일 행각 때는 금시까지도 ‘동족간의 비방중상 중지’를 떠들던 그 입으로 우리를 악랄하게 헐뜯으면서 횡설수설했다”며 “잡동사니들을 이것저것 긁어모아 ‘통일 제안’이랍시고 내들었다”고 주장했다.

 

국가기구의 입장 발표는 아니지만 조선중앙통신 등 언론 보도가 북한 당국의 공식 견해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대남기구의 입장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공식 매체를 통한 비난뿐 아니라 주민들을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드레스덴 선언에 대한 북한 사회의 반감까지 전달하고 있어 이런 분위기는 북한 내부적으로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특히 최근 북한이 백령도에서 전단 살포, 서해상 북한 어선 나포, 한미합동군사연습 등을 이유로 대남비난에 열을 올리고 있어 남쪽에 대한 북한사회의 반감이 증폭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은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남북간 협력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대북정책 실행과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선언은 ▲인도적 문제 우선 해결 ▲민생 인프라 구축 ▲남북 주민간 동질성 회복 등 3대 원칙 위에 이산상봉 정례화, 모자지원사업, 복합농촌단지, 교통 및 통신 인프라 건설, 신의주를 중심으로 한 남·북·중 협력사업,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설치 등의 구체적 사업을 제시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공약사업인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을 남북한과 유엔이 공동으로 조성하자는 제안도 내놓았다. 이들 사업은 모두 북한의 호응을 바탕으로 남북간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드레스덴 선언’ 이행 과정에서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북한은 2000년 3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베를린 선언’을 발표했을 때 노동신문 논평을 통해 “우리는 남조선 당국이 낡은 대결정책에서 벗어나 실제행동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면 민족의 운명과 문제를 놓고 그들과 허심탄회하게 협상할 것”이라고 첫 반응을 보였다. 당시 이러한 반응은 남북 당국간 접촉으로 이어져 2000년 6월 첫 정상회담을 여는 기초를 마련했다. 당시 국민의 정부는 ‘베를린 선언’ 발표 하루 전날 판문점을 통해 선언 전문을 북측에 전달함으로써 ‘대북 제의’의 모양새를 갖추기도 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일단 북한이 매체를 통해 드레스덴 선언을 비난한 만큼 당분간 남북관계가 쉽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다”며 “다만 최근 노동신문 등이 남북관계에 대한 남측의 의견을 주시하겠다는 식의 유보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우리 정부의 상황관리에 따라 남북관계가 풀려나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미디어부]

 

'드레스덴 선언' 비난한 北, 관계개선 기대 접었나? (종합)
[연합뉴스] 2014/04/01 10:42 송고

 

(AP=연합뉴스 DB) 조선중앙통신 이어 노동신문도 비난 가세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북한이 공식 언론매체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을 이틀째 비난하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혀 당분간 남북관계 개선이 더욱 어렵게 됐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일 '입부리를 놀리려면 제 코부터 씻으라'는 제목의 글에서 최근 박 대통령의 독일 방문과 관련해 "박근혜는 체면도 없이 독일통일에 대해 '배울 것'이 많다느니, '모범'을 따르고 싶다느니 하며 아양을 떨었는가 하면 '연설'이랍시고 뭐니 하면서 희떱게(거만하게) 놀아댔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또 박 대통령의 통일 구상을 "우리의 사상과 제도를 해치기 위한 반민족적인 '체제통일'"이라고 비난했고 박 대통령이 남북 공동번영과 동질성 회복을 강조한 데 대해서도 "허위와 기만의 극치"라고 주장했다. 하루 전인 지난달 31일에는 조선중앙통신이 '드레스덴 선언'에 대해 "(박 대통령이) 얼마 전 독일 행각 때는 금시까지도 '동족간의 비방중상 중지'를 떠들던 그 입으로 우리를 악랄하게 헐뜯으면서 횡설수설했다"며 "잡동사니들을 이것저것 긁어모아 '통일 제안'이랍시고 내들었다"고 주장했다.

 

국가기구의 입장 표명은 아니지만 조선중앙통신 등 언론 보도가 북한 당국의 공식 견해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대남기구의 입장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공식 매체를 통한 비난뿐 아니라 주민들을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드레스덴 선언에 대한 북한 사회의 반감까지 전달하고 있어 이런 분위기는 북한 내부적으로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특히 최근 북한이 백령도에서 전단 살포, 서해상 북한 어선 나포, 한미합동군사연습 등을 이유로 대남비난에 열을 올리고 있어 남쪽에 대한 북한사회의 반감이 증폭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은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남북간 협력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대북정책 실행과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박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전(현지시간) 작센주 드레스덴공대를 방문, 교수. 학생등을 대상으로 통일 프로세스를 밝히고 있다. 이 선언은 ▲인도적 문제 우선 해결 ▲민생 인프라 구축 ▲남북 주민간 동질성 회복 등 3대 원칙 위에 이산상봉 정례화, 모자지원사업, 복합농촌단지, 교통 및 통신 인프라 건설, 신의주를 중심으로 한 남·북·중 협력사업,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설치 등의 구체적 사업을 제시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공약사업인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을 남북한과 유엔이 공동으로 조성하자는 제안도 내놓았다. 이들 사업은 모두 북한의 호응을 바탕으로 남북 간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드레스덴 선언' 이행 과정에서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북한은 2000년 3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베를린 선언'을 발표했을 때 노동신문 논평을 통해 "우리는 남조선 당국이 낡은 대결정책에서 벗어나 실제행동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면 민족의 운명과 문제를 놓고 그들과 허심탄회하게 협상할 것"이라고 첫 반응을 보였다.

 

당시 이러한 반응은 남북 당국 간 접촉으로 이어져 2000년 6월 첫 정상회담을 여는 기초를 마련했다. 당시 국민의 정부는 '베를린 선언' 발표 하루 전날 판문점을 통해 선언 전문을 북측에 전달함으로써 '대북 제의'의 모양새를 갖추기도 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일단 북한이 매체를 통해 드레스덴 선언을 비난한 만큼 당분간 남북관계가 쉽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다"며 "다만 최근 노동신문 등이 남북관계에 대한 남측의 의견을 주시하겠다는 식의 유보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우리 정부의 상황관리에 따라 남북관계가 풀려나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yh@yna.co.kr]

 

北 매체, '드레스덴 선언' 비난…공식 거부로 가나?
[연합뉴스] 2014/04/01 08:30 송고

 

 

[사진] 박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오전(현지시간) 작센주 드레스덴공대를 방문, 교수. 학생등을 대상으로 통일 프로세스를 밝히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북한이 공식 언론 매체를 통해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을 비난하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31일 '드레스덴 선언'에 대해 "(박 대통령이) 얼마 전 독일 행각 때는 금시까지도 '동족간의 비방중상 중지'를 떠들던 그 입으로 우리를 악랄하게 헐뜯으면서 횡설수설했다"며 "잡동사니들을 이것저것 긁어모아 '통일 제안'이랍시고 내들었다"고 주장했다.

 

국가기구의 입장 발표는 아니지만 조선중앙통신 등 언론 보도가 북한 당국의 공식 견해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대남기구의 입장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공식 매체를 통한 비난뿐 아니라 주민들을 인터뷰하는 형식으로 드레스덴 선언에 대한 북한 사회의 반감까지 전달하고 있어 이런 분위기는 북한 내부적으로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특히 최근 북한이 백령도에서 전단 살포, 서해상 북한 어선 나포, 한미합동군사연습 등을 이유로 대남비난에 열을 올리고 있어 남쪽에 대한 북한사회의 반감이 증폭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의 드레스덴 선언은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남북간 협력에 방점을 찍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대북정책 실행과정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 선언은 ▲인도적 문제 우선 해결 ▲민생 인프라 구축 ▲남북 주민간 동질성 회복 등 3대 원칙 위에 이산상봉 정례화, 모자지원사업, 복합농촌단지, 교통 및 통신 인프라 건설, 신의주를 중심으로 한 남·북·중 협력사업, 남북교류협력사무소 설치 등의 구체적 사업을 제시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공약사업인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을 남북한과 유엔이 공동으로 조성하자는 제안도 내놓았다. 이들 사업은 모두 북한의 호응을 바탕으로 남북간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드레스덴 선언' 이행 과정에서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북한은 2000년 3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베를린 선언'을 발표했을 때 노동신문 논평을 통해 "우리는 남조선 당국이 낡은 대결정책에서 벗어나 실제행동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면 민족의 운명과 문제를 놓고 그들과 허심탄회하게 협상할 것"이라고 첫 반응을 보였다. 당시 이러한 반응은 남북 당국간 접촉으로 이어져 2000년 6월 첫 정상회담을 여는 기초를 마련했다. 당시 국민의 정부는 '베를린 선언' 발표 하루 전날 판문점을 통해 선언 전문을 북측에 전달함으로써 '대북 제의'의 모양새를 갖추기도 했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일단 북한이 매체를 통해 드레스덴 선언을 비난한 만큼 당분간 남북관계가 쉽지 않을 것임을 보여준다"며 "다만 최근 노동신문 등이 남북관계에 대한 남측의 의견을 주시하겠다는 식의 유보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우리 정부의 상황관리에 따라 남북관계가 풀려나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yh@yna.co.kr]

 

정부 "北, 시정잡배도 꺼릴 표현 써... 비상식 행태" (종합)
연합뉴스 | 입력 2014.04.01 14:45 | 수정 2014.04.01 15:41

 

대통령 막말 비방' 맹비난… "중대제안 빈껍데기 의심"
"드레스덴 구상 호응 기대… 고위급접촉 통해 설명계획 없어"

(서울=연합뉴스) 차대운 홍지인 기자 = 정부는 1일 박근혜 대통령의 독일 드레스덴 연설에 대한 북한의 연일 거친 비난과 관련, "북한은 관영매체를 통해 우리 국가원수의 외교 활동에 대해 시정잡배도 입에 담길 꺼려할 표현을 사용하는 비상식적인 행태를 거듭 보이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부는 이날 발표한 '北 드레스덴 연설 비난 관련 입장'을 통해 "북한은 심사숙고해서 신중히 언행해야 할 것이며 우리는 이를 주시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자신들의 소위 최고 존엄에 대한 비방중상 중단을 주장하면서 우리 국가원수를 저열하게 비방함으로써 북한은 얼마나 자신들이 이율배반적인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정부는 "남북관계 개선을 언급한 그들의 소위 중대제안이 빈껍데기는 아니었는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또 "(북한은)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진전을 위한 우리의 성의있는 제안을 왜곡하고 폄훼하는가 하면 핵실험을 운운하고 해상에서 노골적으로 무력도발을 감행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이러한 방식으로는 어떤 것도 얻을 수 없으며 국제적 고립만을 더욱 심화시킬 뿐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어 "북한은 세계 각국에서 진정한 한반도 평화통일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드레스덴 통일 구상의 의미를 잘 새겨 건설적으로 호응해 오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와 관련, 통일부 당국자는 "드레스덴 구상 설명을 위해서 고위급 접촉 통해 북한에 설명할 계획은 현재 없다"면서 "어느 정도 우리 의사가 전달됐기 때문에 추가로 고위급 접촉을 통해서 북측에 설명할 필요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의 내부 일정이나 군사훈련 종료 전까지 남북 간의 깊이 있는 대화가 어렵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북한의 취약 계층에 대한 인도지원을 제안한 것을 자신들에 대한 비방이라고 하는 북한의 주장과 관련, "(이를) 이상하게 보는 사람이 이상하다고 생각한다. 북한 취약 계층에 문제가 없으면 국제사회가 왜 지원하겠는가"라고 반박했다. 또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하는 것을 비방중상이라고 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영변 핵시설은 굉장히 노후하고 낡아 언제든 사고 위험이 있는 게 현실인데 그런 위험을 강조한 것을 비방중상이라고 하는 것도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ch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