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당정채널 중단 불사... '유승민 체제' 직격탄
연합뉴스TV | 김다솔 | 입력 2015.06.03. 07:28
[앵커] 청와대가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를 향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드러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정 협의가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전면 중단 가능성까지 내비쳤습니다. 박상돈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법 개정안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발언 이후 청와대는 한층 강경해졌습니다. 당정 협의 중단도 불사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입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회법 개정안을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전달했는데 개정안 처리를 강행했다"며 "이런 분위기에서 당정이 국정현안을 놓고 조율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청와대의 '극약처방'은 사실상 유승민 원내대표를 향한 불만을 표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2월 초 유 원내대표 체제 출범 이후 당청관계는 증세·복지 논쟁, 사드 공론화 논란 등으로 줄곧 삐걱거리는 모습을 보여왔습니다. 특히 청와대가 공무원연금 개혁과 국회법 연계불가 방침을 분명히 전달했음에도 유 원내대표가 야당의 요구를 그대로 받아들이자 불만이 극에 달했고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가 "강제성이 없으니 위헌이 아니다"라며 진화에 나서 것이 불신을 더 키웠다는 것이 청와대 내부의 전언입니다.
결국 청와대가 '당청협의 중단'이라는 초강수를 들고 나온 것은 위헌 논란을 조속히 해결하라는 메시지인 동시에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압박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때맞춰 새누리당 친박계 의원들이 한목소리를 내며 유 원내대표의 책임론을 집중 거론하고 최악의 경우 박 대통령의 탈당 가능성을 언급하고 나선 것도 이같은 해석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상돈입니다.
박 대통령 과거에도 탈당 가능성 언급…
파국으로 치닫는 당청 관계
[국민일보] 2015-06-02 17:19
[사진]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운데)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심각한 표정으로 원유철 정책위의장(왼쪽)과 귀엣말을 나누고 있는 모습. /이동희 기자
박 대통령 과거에도 탈당 가능성 언급… 파국으로 치닫는 당청 관계
지난해 7월 15일 청와대. 박근혜(사진) 대통령은 전날 열렸던 7·14 전당대회에서 당선된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새누리당 신임 지도부와 오찬을 함께 했다. 비주류로 평가받았던 김 대표 체제 등장 이후 처음 가진 당청 회동이었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야당이 정부를 공격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여당이 공격하면 정부는 일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된다”면서 “새누리당이 만약 그렇게 하면 내가 여당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참석자들은 이 발언을 듣고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박 대통령이 비주류 지도부를 향해 탈당 가능성을 언급하며 경고 메시지를 던진 것이다. 국회의 시행령 수정권을 담은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면 당청 관계는 파국을 향해 치달을 것으로 전망된다. 충돌을 막을 대안은 여야의 재협상뿐이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이 “재협상은 없다”고 공언하고 있어 현실성이 낮다. 결국 여권은 ‘박 대통령의 탈당이냐’,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냐’라는 두 가지 갈림길에 놓일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거부권 행사 이후 예상할 수 있는 시나리오는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여당이 박 대통령 뜻을 거슬러 야당과 함께 국회법 개정안을 재의결하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당청 관계는 파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친박(친박근혜)계 의원은 2일 “재의결되면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을 떠나는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면서 “박 대통령이 탈당하면 40%를 웃도는 높은 지지율을 바탕으로 새누리당을 배제할 채 국민과 직접 대화하려고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둘째, 새누리당이 박 대통령의 뜻을 받아들여 국회법 개정안을 사장(死藏)시키는 방안이 있다. 현재로선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 당청 관계의 충돌은 피할 수 있겠지만 여야 관계가 망가질 우려가 있다.
법안이 사문화되면 이번 협상을 주도한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를 놓고 여권 내부에서 내전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 일부 친박 의원들은 벌써부터 유 원내대표에게 책임지는 자세를 촉구하고 있다. 사실상 사퇴 요구다. 그러나 김무성 대표가 유 원내대표 지키기에 나서고 있어 ‘유승민 책임론’을 둘러싼 혈전의 결과는 예측하기 힘들다. 하지만 당청 관계가 파국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 섞인 기대감도 있다. 아직 국회는 국회법 개정안을 정부에 보내지 않아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까지 시간적 여유가 있다. 아직 시간이 있는 만큼 물밑 조율로 당청 관계의 악화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여권에서 확산되고 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靑, 대통령 탈당설에 "논평할 가치 없다"
뉴시스 | 김형섭 | 입력 2015.06.03. 09:21
【서울=뉴시스】김형섭 기자 = 청와대는 3일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7월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등 지도부와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탈당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보도와 관련해 "논평할 가치를 못느낀다"고 일축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같이 말한 뒤 "그 발언의 내용을 청와대에서 확인하거나 브리핑하지 않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앞서 국민일보는 이날 박 대통령이 지난해 7·14 전당대회 다음날 새누리당 신임 지도부와 오찬을 함께 한 자리에서 "야당이 정부를 공격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여당이 공격하면 정부는 일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된다. 새누리당이 만약 그렇게 하면 내가 여당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며 탈당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보도했다.이와 관련해 다른 청와대 관계자도 "대통령이 당을 두번이나 위기에서 구한 바 있는데 그런 당을 뛰쳐나온다는게 말이 되느냐"고 탈당 가능성을 부인했다.
한편 민 대변인은 국회법 개정안이 본회의에서 통과되기 직전인 지난 28일 밤 이병기 대통령비서실장이 새누리당에 반대 입장을 전달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이 실장은) '국회법 개정은 안된다'는 뜻을 분명히 전했고 '설령 공무원연급법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더라도 국회법 개정은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입장도 (새누리당에) 전달했다"고 확인했다. [ephites@newsis.com]
朴대통령 "새누리가 정부 공격하면 탈당"
[뷰스앤뉴스] 2015-06-03 07:26:17
김무성 신임 지도부에 경고, 유승민 사퇴 압박 가중
국회를 통과한 국회법 개정안을 놓고 당청이 극한대립을 하고 있는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김무성 새누리당 신임지도부에게 새누리당이 정부를 공격할 경우 탈당을 하겠다는 폭탄성 경고를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주목된다.
3일 <국민일보>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15일 전당대회에서 당선된 김무성 대표를 새누리당 신임 지도부와 청와대에서 오찬을 하는 자리에서 “야당이 정부를 공격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지만 여당이 공격하면 정부는 일할 수 있는 힘을 잃게 된다”면서 “새누리당이 만약 그렇게 하면 내가 여당에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참석자들은 이 발언을 듣고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박 대통령이 비주류 지도부를 향해 탈당 가능성을 언급하며 경고 메시지를 던진 것. <국민일보>는 이같은 박 대통령 발언에 기초해 "결국 여권은 ‘박 대통령의 탈당이냐’,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냐’라는 두 가지 갈림길에 놓일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고 전망했다.
현재 청와대는 유 원내대표와의 당정청 협의를 보이콧하고 있으며 친박은 유 원내대표 사퇴를 촉구하고 있어, 메르스 대란에도 불구하고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전개중인 여권내 헤게모니 다툼이 점입가경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국민일보> 보도에 대해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그 발언의 내용을 청와대에서 확인하거나 브리핑하지 않았다"며 "논평할 가치를 못느낀다"고 언급을 피했다. [이영섭 기자]
'文정부·청와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시의회] 새 CI(상징마크) 놓고 의장이 힘으로 밀어부쳐 (0) | 2015.06.22 |
---|---|
[박근혜표] '서민지원 대책'… 400kWh 사용자에 300kWh 적용, 그것도 3개월만 (0) | 2015.06.21 |
[국회법 개정안] 朴 정부 거부 움직임 (0) | 2015.06.02 |
[수첩공주] '안에서부터 무너지는 박근혜 정부' (0) | 2015.05.04 |
[박근혜 정부] '총리, 차라리 비워두자'는 소리 나올 판 (0) | 201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