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종교·불교·죽음

[불경]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해제

잠용(潛蓉) 2013. 6. 4. 12:20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시는 부처님 (태국 불화)

 

<묘법연화경 妙法蓮華經>  해제

 

1. 경명(經名)에 대하여

『법화경(法華經)』의 원명(原名)은 범어(梵語) Saddharma Pundarīka Sūtra(薩達磨芬陀利迦經)로서, 직역(直譯)하면 '무엇보다도 바른 백련(白蓮)과 같은 가르침'이다. 이것을 중국어로 번역할 때 서진(西晋)의 축법호(竺法護)는 이 본래의 뜻에 따라 『정법화경(正法華經)』이라고 한역(漢譯)하였고, 요진(姚秦)의 구마라집(鳩摩羅什)은 '바른[正]'을 '묘(妙)'라고 해석하여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고 한역하였다.


경의 이름을 지음에는, 첫째 『법구경(法句經)』과 같이 부처님의 거룩한 가르침을 뜻하는 경우가 있고, 둘째는 『대일경(大日經)』이나 『아미타경(阿彌陀經)』과 같이 부처님의 이름을 드는 경우가 있으며, 셋째로는 『유마경(維摩經)』이나 『승만경(勝鬘經)』과 같이 주인공의 이름을 따오는 경우가 있으며, 넷째는 『반야경(般若經)』과 같이 경의 내용이나 사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며, 다섯째는 『대집경(大集經)』과 같이 몇 개의 경들이 모여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경우 등이 있다. 『법화경』의 경명은, 이 가운데서 설하고 있는 경의 내용과 사상을 나타낸 범주에 속한다. 즉, 이 경명에서 들고 있는 연꽃 내지는 흰 연꽃이, 이 경이 사상적으로 빼어나고 가치에 있어서도 다른 어떠한 경보다 우위에 있음을 단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이 경명이 나타내는 의미에 관해서는 옛부터 여러 가지 설이 있어 왔다. 그 대표적인 것으로 지의(智顗)의 설을 들 수가 있는데, 그는 『법화경』이 선 입장, 즉 1승(乘)의 가르침은 가장 뛰어난 교법이며, 그 교법은 가장 뛰어나 그것을 말로써 직접 표현할 수가 없으므로 세간에 있는 여러 가지 모양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美)의 극치라고 할 연꽃, 그 중에서도 가장 빼어난 흰 연꽃을 들어 비유함으로써 그 지상(至上)의 우위성(優位性)을 표방하였다고 한다.


또 세친(世親)은 연꽃이 진흙 속에서 싹터 나왔음에도 청정하고 무구(無垢)한 꽃을 피우는 것과 같이, 최승(最勝)의 법, 즉 불승(佛乘)은 소승(小乘)의 진흙 속에서 나왔으되, 그 진흙과 진흙으로 인하여 흐려진 물을 떠난다. 그와 같이 성문(聲聞)도 『법화경』을 지님으로써 그들이 처한 진흙에서 떠나 성불(成佛)할 수가 있다고 한다. 또 연꽃이 꽃과 열매를 동시에 갖추고 있는 것과 같이, 믿음이 어려운 사람에게 『법화경』은 부처의 실체(實體), 즉 법신(法身)을 열어 보여 신심을 일으키게 한다고 한다. 또 양대(梁代)의 법운(法雲)은 『법화경』에는 역겁(歷劫)의 수행에 의해서 모든 사람은 성불한다는 것[因]과 구원(久遠)의 부처[果]를 설하고 있고, 이것은 연꽃의 꽃[因]과 열매[果]가 동시(同時)에 존재하는 것과 같아서 인과(因果)를 함께 갖추고 있어, 『법화경』이 지닌 가르침의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묘법(妙法)이라 이름한다고 한다.


이같이 연꽃의 꽃과 열매가 동시에 존재하는 인과의 관계에 있는 『법화경』을 적문(迹門)과 본문(本門)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도 한다. 적문(迹門)이란, 『법화경』 28품(品) 중 전반(前半)의 14품으로서, 이는 현세에 모습을 나타낸 부처님은 그 근원불(根源佛)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본지(本地)로부터 흔적을 드리운 것이라는 뜻이다. 또 본문(本門)은 후반(後半)의 14품으로서, 이는 진실한 부처님은 구원(久遠)의 옛날에 성도(成道)하셨으며, 이 부처님의 본지(本地)와 근원과 본체를 밝히는 부문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이 본적(本迹)은 무시무종(無始無終)하며 상주(常住)하여 멸하지 않는 존재인 법신불(法身佛)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응신불(應身佛)인 석존(釋尊)이 되어 이 세상에 출현하여 법을 설한 것을 구별하는 것으로서, 적문은 응신불로서의 석존의 교설을 가리키며, 본문에서는 응신불의 본체인 구원의 근본불(根本佛)을 설한다. 이것은 석가모니불이 구원의 부처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본문과 적문의 관계, 적문을 열어 본문을 드러내고 본문에서 적문이 나온다고 하는 관계를 연꽃의 꽃과 열매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낸 것이 이 경의 경명이라고 지의는 또 말하고 있다.


2. 경의 성립(成立)과 한역(漢譯)

『법화경』은 대승경전(大乘經典) 중 대표적인 경전이다. 인도에서 대승불교가 일어난 것은 기원 전후의 시기라고 한다. 이 대승불교는 인도에서 불교가 멸하는 서기 1,200년까지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이것을 연대적으로 구분하면 초기(기원 전후로부터 서기 350년경)·중기(서기 350년경부터 650년 경 혹은 700년경)·후기(그 이후로부터 서기 1,200년경)로 나뉜다. 『법화경』은 『반야경(般若經)』·『유마경(維摩經)』·『화엄경(華嚴經)』 정토계통(淨土系統)의 경전들과 함께 초기 대승불교의 주요 경전으로 손꼽히고 있다.


『법화경』의 원형(原型)은 기원 전후의 무렵 서북 인도(西北印度)에서 성립되었다고 한다. 『법화경』 자체에서는 그 성립 연대에 관해서 설하고 있지는 않으나 경전에 등장하는 주요한 인물, 도시에 사는 자산가(資産家)나 상인(商人)들, 그리고 사회적 배경의 내용을 검토해 볼 때 성립 연대의 상한선을 그와 같이 추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처음부터 『법화경』이 오늘과 같은 모습으로 성립된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법화경』 성립의 단계를 몇 가지로 나누고 있다. 제1 「서품(序品)」으로부터 제20 「여래신력품(如來神力品)」까지를 최초기(最初期)로 보는 견해, 제1부터 제9 「수학무학인기품(授學無學人記品)」까지를 제1기, 제10 「법사품(法師品)」에서 제20까지를 제2기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견해는 모두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법화경』 안의 제12 「제바달다품(提婆達多品)」을 제외하고 있으며, 거기에서 서품을 제외하는 견해도 있다. 또 제2 「방편품(方便品)」이 최초에 성립하였다고 보는 견해와 제7 「화성유품(化城喩品)」이 최초에 성립하였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모두가 경전의 내용을 토대로 해서 추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탑(塔)에 대한 용어의 경우, 부처님의 사리탑(舍利塔)을 가리키는 스투파(stpa)와 대승이 일어난 이후 성행하게 된 경탑(經塔)을 가리키는 짜이땨(caitya)의 두 용어에서 성립 연대를 가늠하는 경우가 있고, 불도(佛道)의 다섯 가지 수행, 즉 수지(受持)·독(讀)·송(誦)·해설(解說)·서사(書寫) 가운데 다섯 가지 모두를 설하고 있는가, 혹은 서사가 빠진 네 가지만을 설하고 있는가에 따라서 성립 연대를 추정한다. 이 경우 네 가지 수행은 다섯 가지 수행보다 먼저라는 시대 구분을 하고 있다. 또 교설(敎說)을 듣는 상대에 따라서 성립 연대를 추정하기도 하며, 경전의 사상적 경향, 예를 들면 21품 이후의 밀교의 요소가 농후한 부분은 밀교가 대승불교의 후기에 성립한 것을 근거로 해서 아주 뒤에 첨가되었다고 추정한다.


이 밖에도 경의 형식, 즉 게송(偈頌)과 산문(散文)을 기초로 해서 가늠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게송은 장문(長文)인 산문에 비해 오래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고, 또 그 내용이 게송과 산문으로 반복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성립 연대를 추정한다. 또 전체적인 성립 연대를 한역 연대(漢譯年代)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일반적인 경전 성립의 연대를 추정하는 방법이다. 여하튼 일시에 성립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는 『법화경』의 성립에 대해서 학자들 사이에 약간 의견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성립 연대의 상한선(上限線)은 기원전 1세기 내지 기원 후 40년, 하한선(下限線)은 기원 후 150년 내지 220년 이후라고 한다. 이 하한선에 대해서는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한역본(漢譯本) 『정법화경(正法華經)』이 286년에 번역되었으므로, 그 이전에 오늘과 같은 모습의 『법화경』이 성립된 것은 틀림없기 때문에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같이 『법화경』이 오랜 시일에 걸쳐 완성되었다고 하는 사실은 『법화경』의 작자가 한 사람이 아니며 여러 사람이 관여하였음을 말해 준다. 동시에 그 여러 사람이 시대를 달리하면서 성립에 관여하였다고 하는 사실은 그 때마다 시대의 요구가 있어 그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성립에 관한 요소는 작자가 어떤 집단의 의사를 반영해서 성립되었음도 시사한다. 『법화경』 성립의 배경은 앞의 성립 연대의 추정에서 본 바와 같이 대승불교의 시작으로부터 초기 융성기(隆盛期)에 걸쳐 있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의 대승불교 신봉자들, 즉 대승불교 집단을 『법화경』의 작자로 볼 수 있다. 오늘의 학자들의 정설(定說)에 의하면, 대승불교 교단은 부처님의 사리탑을 중심으로 불교를 신앙하는 재가 보살(在家菩薩)집단과 이들을 지지하는 출가 보살(出家菩薩)들이 모여 성립되고 발전하였다고 하며, 『법화경』도 이들에 의해서 지어졌다고 본다.


『법화경』은 서북 인도 지역에서 성립하여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해졌다. 오늘날까지 탐험의 결과, 중앙아시아에서 출토된 경전의 사본(寫本)들에 의하면 그 지역의 경전 간행이 매우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고, 4세기 말에서 5세기 중엽에 걸쳐 인도의 불적(佛跡)을 순례한 법현(法顯)에 의하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불교가 융성한 사실을 알게 한다.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 전해진 이러한 『법화경』은 전후 여섯 번에 걸쳐 한역(漢譯)되었다. 이 가운데 지금까지 온전히 전해진 것은 세 가지가 있으며, 나머지는 흩어져 없어졌다. 그 여섯 가지 중 현존하는 것은, 축법호(竺法護)가 286년에 한역한 『정법화경(正法華經)』을 비롯하여 406년 구마라집(鳩摩羅什) 역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601년 사나굴다(闍那崛多)·달마급다(達摩笈多) 공역의 『첨품묘법연화경(添品妙法蓮華經)』이 있으며, 흩어지고 없어진 것으로는, 252년 정무외(正無畏) 역의 『법화삼매경(法華三昧經)』, 225년 지도근(支道根) 역의 『방등법화경(方等法華經)』, 축법호 역의 『살담분타리경(薩曇芬陀利經)』의 셋이다.


현존하는 세 가지 『법화경』의 관계에 대해서 『첨품묘법연화경』의 서문은 축법호 역과 구마라집의 역을 검토한 결과 원전이 같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축법호 역은 다라수(多羅樹)의 잎에다 쓴 사본을 기초로 하고 있고, 구마라집의 번역은 구자국(龜玆國)에 전하는 사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첨품묘법연화경』은 구마라집의 『묘법연화경』에 바탕을 두면서 인도에서 전해진 다라수 잎에 쓰인 사본에 따라 구마라집의 『묘법연화경』을 보충하기 위해 번역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구마라집의 번역본이 결코 『첨품묘법연화경』에 비해 못하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현존하는 『법화경』의 범본(梵本)을 5세기 이후라고 추정하고 있고, 『첨품묘법연화경』의 서문에서 말하는 다라수 잎의 사본이 이 범본을 가리키지만, 오늘날 『법화경』이라고 하면 구마라집 역의 『묘법연화경』을 가리킬 만큼 그의 번역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고, 여기 우리말로 번역한 『법화경』도 구마라집의 한역을 옮긴 것이다. 물론 위의 세 번역이 다 불교사적인 의의가 큰 것은 사실이다.


3. 경의 내용(內容)과 사상(思想)

세친(世親)은 『법화경』의 주석서에서 열일곱 가지 『법화경』의 이명(異名)을 들어 『법화경』의 내용이 얼마나 훌륭한가를 말하고 있다. 즉, 그가 쓴 『묘법연화경우바제사(妙法蓮華經優波提舍)』, 일명 『법화경론(法華經論)』이라고 하는 주석서 상권에 기술된 열일곱 가지 『법화경』의 이명은, 『무량의경(無量義經)』·『최승수다라(最勝修多羅)』·『대방광경(大方廣經)』·『교보살법(敎菩薩法)』·『불소호념(佛所護念)』·『일체제불비밀법(一切諸佛秘密法)』·『일체제불지장(一切諸佛之藏)』·『일체제불비밀처(一切諸佛秘密處)』·『능생일체제불경(能生一切諸佛經)』·『일체제불지도량(一切諸佛之道場)』·『일체제불소전법륜(一切諸佛所轉法輪)』·『일체제불견고사리(一切諸佛堅固舍利)』·『일체제불대교방편경(一切諸佛大巧方便經)』·『설일승경(說一乘經)』·『제일의주(第一義住)』·『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최상법문(最上法門)』이다. 이 같은 경명에서 알 수 있듯이 세친은 경명 하나하나를 들고, 그 경명에 담긴 문장을 통하여 『법화경』의 내용을 찬탄하고 있다. 세친 이외에도 『법화경』의 대표적 주석서인 『법화문구(法華文句)』의 저자 천태 지의(天台智顗)도 『법화경』의 내용을 찬탄하는 데 인색하지 않다.


『법화경』은 「방편품(方便品)」과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의 두 개의 주요한 골간(骨幹)을 가지고 있다. 이 두 품은 교의적(敎義的)으로 가장 중요한 품이라고 하는 것이 정설이다. 이 중 「방편품(方便品)」은, 부처님의 제자 중 지혜가 제일인 사리불(舍利弗)이 등장하는 지적(知的)으로 깊은 문답이 전개되는 품이다. 부처님은 사리불에게 부처의 위대한 지혜를 무량하고 무변(無邊)하고 미증유(未曾有)의 법이라고 찬탄한다. 이 때 설해진 법문이 저 유명한 10여시(如是)이다. 이 10여시란, 부처의 지혜로 본 만물의 실상(實相), 즉 제법실상(諸法實相)을 제시한 것이다.

 

그 열 가지란 상(相 :形態)과 성(性 : 特質)과 체(體 : 本質)와 역(力 : 能力)과 작(作 : 作用)과 인(因 : 原因)과 연(緣 : 攀緣)과 과(果 : 結果)와 보(報 : 果報)와 본말구경(本末究竟 : 相으로부터 報에 이르는 관계가 평등한 것) 등의 열 가지이다. 이 열 가지는 만물이 갖추고 있는 실상이므로 이 열 가지 카테고리에 의해서만이 만물의 실상은 파악될 수 있으나, 그러한 구명(究明)은 오직 부처님만이 가능하며 성문(聲聞)과 연각(緣覺)의 2승(乘), 즉 소승(小乘)은 불가능하다고 설한다. 때문에 부처가 2승에 출현한 것은 2승(乘)에 머물러 있는 이들을 1승으로 나아가게 해서 만물의 실상을 깨닫게 하는 데 있다고 한다. 즉, "모든 부처가 2승에 출현하는 것은 일대사인연(一大事因緣)을 위해서이다. 그 일대사인연이란, 부처의 지견(知見 : 지혜)을 열어 보여 주고 사람들로 하여금 깨닫게 하여 부처의 지견에 들게 하는 것이다"고 하는 개시오입(開示悟入)을 말한다.

따라서 모든 사람을 개시오입(開示悟入)하게 하기 위해서는 대상에 상당하는 수단과 방법이 있어야 하므로, 부처님은 사람마다 다른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는 능력과 그것을 실천하는 능력에 따라 그에 맞도록 선교(善巧)한 방편을 써서 교화한다. 그리고 사람마다 능력[根機]에 차이가 있다고 해서 부처님의 가르침에도 차별이 있는 것은 아니다. 부처님이 설하는 것은 모든 사람을 평등하게 성불(成佛)하도록 하는 것을 가르치므로 그것은 1불승(佛乘)이며, 이1불승 밖에 다른 도(道)는 없다. 그러나 1불승 이외에 다른 도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선교방편(善巧方便)이라고 하는 좋은 수단의 다양성 때문이다. 이 다양성에 대해서 경은 방편의 힘으로 1불승을 세 가지로 나누어 설한다고 하였다. 그것을 개삼현일(開三顯一) 또는 회삼귀일(會三歸一)·개권현실(開權顯實)이라고 한다.


이와같이 『법화경』은 모든 사람에게 부처의 지혜를 얻게 하는 것이 목적임을 이 「방편품」에서 설하고 있다. 그리고 10여시라고 하는 열 가지 카테고리를 통하여 사물의 진실한 모습에 깨달아 들어가게 하는 논리는 『법화경』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주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 10여시는 구마라집이 한역한 『묘법연화경』의 기록과 범본(梵本)의 기록이 동일하지는 않다. 구마라집이 한역할 때 용수(龍樹)의 『대지도론(大智度論)』 32권의 글을 빌려 와 의역하였다고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후세에 이르러 구마라집의 이 부분에 대한 해석으로부터 천태교학(天台敎學)의 여러 가지 교의(敎義)가 전개되었다.

 

「방편품」과 함께 두 골간 중의 한 품인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은 『법화경』의 본문(本門)의 중심임과 동시에 『법화경』의 중심 안목(眼目)이다. 경에서 부처님은 "그대들은 내가 이승에서 처음으로 성불(成佛)하였다고 생각하나, 그렇지 않다. 내가 성불한 이래 지금까지 무량백천만억(無量百千萬億)의 아승기겁(阿僧祇劫)이니라. 이로부터 무수억(無數億)의 중생을 교화하여 불도로 이끌어 왔으며, 그 사이에 연등불(燃燈佛) 등으로 출현하였고, 또 중생을 구하기 위하여 방편으로 열반을 나타내었느니라. 그러나 나는 본래 보살의 도를 행하여 이룬 수명(壽命)이 아직 다하지 않았으며, 상주(常住)하여 법을 설하느니라"고 설하고 있다. 이것은 곧 석가모니부처님만이 아니고 모든 부처님이 구원(久遠)의 본불(本佛)임을 설하는 것이다. 다만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로도, 연등불(燃燈佛)로도 이승에 출현하며, 출현하여 열반을 나타내어 보인다. 「여래수량품」은 열반을 나타내어 보이는 부처를 『법화경』의 유명한 일곱 가지 비유 중 하나인 양의치자유(良醫治子喩)로 설명하고 있다.


아버지인 양의(良醫), 즉 부처님이 길을 떠나 집에 없을 때, 아이들, 즉 중생이 잘못해서 독약[無明 : 번뇌]을 마시고 괴로워하고 있었다. 집에 돌아온 아버지는 양약(良藥), 즉 『법화경』을 주어 치료하였으나 정신[本心]을 잃어 약을 받아 먹을 수 없는 아이가 있는 것을 보고 가엾이 여겨 약을 주고서 다시 길을 떠난다.

 

아버지는 떠나면서 고용인에게 아버지가 죽었다고 아이들에게 말하라고 한다. 아버지가 죽었다는 말을 들은 아이들은 본심(本心)을 되찾고 약을 복용하여 병이 나았다는 비유이다. 아버지의 방편의 죽음은 방편으로 나타내어 보이는 열반이다. 따라서 부처의 수명은 영원하다는 것을 설한다. 또 「여래수량품」은 그 제목이 가리키듯이 여래의 수명을 설하는 장이다. 이에 대해 「여래수량품」에서는 세 여래의 세 수명에 대해서 설한다. 화신불(化身佛)은 수명이 유시유종(有始有終)하며, 보신불(報身佛)은 무시무종(無始無終)이라고 설한다. 이 품에서 화신불의 수명을 밝히는 것은 방편문(方便門)을 여는 것이며, 보신불과 법신불의 수명을 설하는 것이 이 품의 진실한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곧 『법화경』이 앞의 「방편품」에서 중생의 성불을 위해서 설해진 경임을 알 수 있는 것과 함께, 『법화경』이 진리 그 자체인 법신불(法身佛)을 설하는 경임을 알게 한다.


이 밖에 『법화경』이 설하고 있는 내용 가운데 다른 경과 취지를 달리하고 있는 것으로 악인(惡人)과 여인(女人)의 성불설(成佛說)이 있다. 어떠한 악인일지라도, 예를 들면, 부처님을 해치고 교단을 분열시킨 제바달다(提婆達多)와 같은 악인일지라도 성불하며, 여인이 성불한다고 하는 주장은 『법화경』이 갖는, 모든 중생을 남김없이 성불시키고자 하는 원대한 의욕과 원의 발로이다. 이러한 사상에서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이 설하는 인간의 찬탄이 필연적으로 나오며, 이 인간에 대한 찬탄은 곧 모든 사람에게 갖추어져 있는 불성(佛性)에 대한 예배이다.


『법화경』은 이같이 인간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갖추어져 있는 불성(佛性)을 인정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신뢰를 설하고, 그 약속을 인간 각자가 실천하여 성불하도록 구체적인 실현을 설하고 있다. 그것은 근원적인 선행(善行)의 장려이다. 인간의 세계에 범람하는 5탁(濁), 즉 무질서한 시대의 혼란인 겁탁(劫濁)과, 욕망이나 의혹 등의 번뇌가 치성하는 번뇌탁(煩惱濁)과, 인간이 악업(惡業)의 과보를 두려워하지 않는 중생탁(衆生濁)과, 이기주의와 편견과 사견(私見)이 횡행하는 견탁(見濁)과, 인간의 생명이 비명(非命)으로 감축되는 명탁(命濁)의 상황 속에서 인간의 회복, 다시 말해서 불성(佛性)의 발견과 개발을 위해 선행할 것을 설하고 있다. 그러나 『법화경』은 그러한 악을 본질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는 않다. 아무리 5탁이 극에 달한다 해도 그 악이 크면 클수록 부처가 출현하여 악을 제거한다고 예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예언이야말로 불성을 가진 인간에 대한 신뢰에서 출발한 것이며, 이 점에서 『법화경』은 인간의 진실한 구원의 생명을 설한 경이라고 할 것이다. (국역자 박경훈)

 

◇ 법화경(法華經) 28품 구성

 

○ 무량의경(無量義經=開經)
第一 덕행품(德行品) 
第二 설법품(說法品)

第三 십공덕품(十功德品)

 

○ 적문(迹門) 14品
第一  서품(序品)

第二  방편품(方便品)

第三  비유품(譬喩品)

第四 신해품(信解品)

第五 약초유품(藥草喩品)

第六 수기품(授記品)

第七 화성유품(化城喩品)

第八 오백제자수기품(五百弟子受記品)

第九 수학무학인기품(數學無學人記品)

第十 법사품(法師品)

第十一 견보탑품(見寶塔品)

第十二  제바달다품(提婆達多品)

第十三  권지품(勸持品)

第十四  안락행품(安樂行品)

 

○ 본문(本門) 14品
第十五 종지용출품(從地涌出品)

第十六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第十七 분별공덕품(分別功德品)

第十八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

第十九 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

第二十 상불경보살품(常不經普薩品)

第二十一 여래신력품(如來神力品)

第二十二 촉루품(囑累品)

第二十三 약왕보살본사품(藥王普薩本事品)

第二十四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 
第二十五 관세음보살보문품(觀世音菩薩普門品)

第二十六 다라니품(陀羅尼品)

第二十七 묘장엄왕본사품(妙莊嚴王本事品)

第二十八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


○ 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佛說觀普賢普薩行法經)

 

◇ 법화칠유(法華七)

 

《법화경》에서 누구나 부처가 되기 위한 길로 7가지의 비유를 들어 설해놓은 것이 있다. 이것을 법화칠비(法華七譬) 또는 법화칠유(法華七喩)라 한다.

 

1. 삼계화택(三界火宅)의 비유(火宅喩)
2. 장자궁자(長者窮者)의 비유(窮子喩)
3. 삼초이목(三草二木)의 비유(藥草喩)
4. 화성보처(化城寶處)의 비유(化城喩)
5. 계중명주(契中明珠)의 비유(契珠喩)
6. 빈인계주(貧人繫珠)의 비유(衣珠喩)
7. 양의병자(良醫病子)의 비유(醫子喩)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