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흔적의 역사 451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빗살무늬토기는 왜 '뾰족'할까?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빗살무늬토기는 왜 '뾰족'할까… 실용성 갖춘 신석기시대 걸작 디자인 경향신문ㅣ2023.01.31 05:00 수정 : 2023.01.31 10:06 ▲ 1970년대 초반 서울 암사동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빗살무늬 토기. 날렵한 V자형의 도기 표면을 3~7단으로 나눠 상·중·하로 화폭(토기 표면)을 나눠 갖가지 무늬를 새긴 선사인들의 예술품이다. 짧은 빗금과 마름모, 세모꼴의 선을 가득 채우고 문살과 생선뼈무늬를 차례로 배치했다. 또 단순한 점과 선을 이용하여 세모, 마름모, 문살 등을 닮은 다양한 무늬를 장식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한국 미술 5000년전!’ 1975년 당시 최순우 국립중앙박물관장이 도쿄(東京)에서 열릴 한·일 국교 정상화 10주년 기념 특별전에 붙인 ..

흔적의 역사 2023.02.03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분(화장품)과 바늘 보내오" 군인 남편이 보낸 선물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분(화장품)과 바늘 보내오"… 조선시대 '츤데레' 군인 남편이 보낸 선물 경향신문ㅣ2023.01.10 05:00 수정 : 2023.01.10 18:50 ▲ 최근 보물로 지정예고된 ‘나신걸 한글편지’는 함경도 경성으로 발령받아 떠나는 군관 나신걸(1461~1524)이 1490년(성종 21) 무렵 회덕(대전)의 아내 신창 맹씨에게 보낸 사연을 담고 있다. 그중 “분(화장품)과 바늘 6개를 사서 선물로 보낸다”면서 “집에 가고싶어도 갈 수 없으니 이런 민망한 일이 또 어디 있겠냐”고 하소연한다. /대전시립박물관 제공 “분(화장품)하고 바늘 6개를 사서 보내네…” 최근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예고한 ‘나신걸 한글편지’의 내용 중 한 구절이다. 이 편지(1490년 무렵 작성)는 훈민정음이..

흔적의 역사 2023.01.13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풀포기의 기적… 진흥왕 순수비 한 글자(典) 극적으로 읽어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풀포기의 기적… 진흥왕 순수비 한 글자(典) 극적으로 읽어냈다 경향신문ㅣ2022.12.27 05:00 수정 : 2022.12.31 11:28 ▲ 지난 10월13일 파주 적성 감악산 비석에 대한 정밀조사 과정에서 극적으로 발견된 ‘전(典)’자. 감악산 비석에는 앞면에 300여자의 글자가 새겨진 것으로 보이지만 극심한 풍화작용 등으로 조선시대 중 후기부터 거의 판독하기 어려운 상태로 남아있었다. /서진문화유산·박홍국 위덕대 연구교수 제공 “기적적으로 ‘전(典)’자’를 읽었습니다.” 박홍국 위덕대 연구교수가 12월31일 발행되는 학술지( 29호, 한국목간학회)에 실릴 따끈따끈한 논문 한 편(‘파주 감악산 고비에 남은 명문’)을 보내왔다. 내용인즉은 경기 파주 감악산(해발 675m) 정..

흔적의 역사 2022.12.31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2000년전 공연장에 등장한 악기 5종…며칠 밤낮을 쉼없이 연주했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2000년전 밴드 공연장에 등장한 악기 5종…며칠 밤낮을 쉼없이 연주했다 경향신문ㅣ2022.12.13 05:00 수정 : 2022.12.13 07:01 ▲ 광주 신창동에서 확인된 2000년전 악기세트. 신창동에서는 현악기와 찰음악기, 목제 가죽북, 청동방울, 흙방울 등 5종의 악기가 확인됐다. 목제 북에는 가죽을 씌워 두들겼고, 청동방울과 흙방울을 흔들면서 연주했을 것이다. 가히 2000년전 밴드가 결성된 것이다. /국립광주박물관 제공 지금로부터 꼭 30년 전인 1992년 5월이었다. 조현종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와 최상종 연구원이 부리나케 광주 신창동 유적으로 달려갔다. 유적 주변에 살고 있던 최 연구원이 “지금 국도 1호선 확·포장 공사가 한창인데, 신창동 유적이 훼손될 수..

흔적의 역사 2022.12.16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고꾸라진 채 발견된 '5cm' 기적의 신라 불상…굳이 일으켜야 할까?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고꾸라진 채 발견된 '5cm' 기적의 신라 불상… 굳이 일으켜야 할까? 경향신문ㅣ2022.11.29 05:00 수정 : 2022.11.29 18:44 ▲ 2007년 5월 22일 경주 열암곡 절터 조사 중 기적적으로 발견된 마애불. 서있던 마애불이 지진 등 외부의 강력한 힘 때문에 밀려 앞으로 고꾸라진 것으로 보인다. /오세윤 사진작가 촬영·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제공 “땅과 불상의 공간은 단 5㎝ 차이(lls’en est fallu de cinq centimetres)…(불교계 인사는) ‘기적과 같은 일’이라 했다.” 2007년 9월 13일자 프랑스 ‘르 몽드’지는 ‘1300년 전 넘어진 경주 마애석불, 원형 그대로 보존…’이라는 제목의 기사와 함께 대문짝만한 불상 사진을 1면에 실..

흔적의 역사 2022.12.12

[흔적의 역사] 아파트 재건축 현장에서 근초고왕의 한성백제 도시 흔적이 켜켜이 드러났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아파트 재건축 현장에서 근초고왕의 한성백제 도시 흔적이 켜켜이 드러났다 경향신문ㅣ2022.11.15 05:00 수정 : 2022.11.15 16:11 ▲ 잠실 진주아파트 재건축 부지에서 모습을 드러낸 1600년전 한성백제판 도심재개발 및 재건축의 증거들. 다양한 주거지와 창고 등으로 쓰인 각종 구덩이, 도로 등이 중첩되어 출토됐다. 이와 같은 한성백제판 도심재개발·재건축의 증거들은 기존에 서있던 아파트 건물들 사이에서 기적적으로 발견되었다. 1600년전 한성백제인들이 살았던 바로 그곳에서 요즘 사람들도 거주하고 있다는 단적인 예다. /서길덕 도원문화재연구원장 제공 “나는 마땅히 사직을 위해 죽겠지만 너는 피하여 나라의 계통을 잇도록 하라.” 475년(개로왕 21) 9월, 고구려 ..

흔적의 역사 2022.11.22

[흔적의 역사] 통째로 폐기된 260㎝ 백제 대작, 1400년 전 장인은 왜 실패했을까?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통째로 폐기된 260㎝ 백제 대작, 1400년 전 장인은 왜 실패했을까? 경향신문ㅣ2022.11.01 05:00 수정 : 2022.11.01 13:26 ▲ 국립부여박물관의 ‘백제 기술, 흙에 담다’ 특별전의 압권은 전시실 중심에 떡하니 버티고 있는 ‘청양 본의리 불상받침(대좌)’이다. 흙으로 빚은 소조상인 이 불상 받침대는 정면 아래쪽 너비 260㎝, 높이 95㎝, 두께 40~50㎝에 이른다. 무게는 620㎏에 달한다.|국립부여박물관·국립공주박물관 제공 “여호와 하나님이 흙으로 사람을 빚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됐다.” ‘창세기 2장 7절’의 내용이다. 동양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백골이 진토(塵土·먼지와 흙)된다’는 오래된 표현이 있다. ‘사람이 흙에서 나서..

흔적의 역사 2022.11.03

[흔적의 역사] 흙으로 빚었을 뿐인데… 말 탄 가야 신라인이 '국보' 대접을 받는 이유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흙으로 빚었을 뿐인데… 말 탄 가야 신라인이 '국보' 대접을 받는 이유 경향신문ㅣ2022.10.18 05:00 수정 : 2022.10.18 09:33 ▲ 고고학 발굴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흙으로 빚은 그룻, 즉 도기(질그릇 혹은 토기) 가운데 단 3건만이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이중 말을 탄 사람을 빚은 기마인물형 도기가 2건 3점이 포함되어 있다. 왼쪽은 1924년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신라산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무덤 부장품)’이고, 오른쪽은 김해 덕산리 출토품으로 알려진 가야산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각배)’이다. /국립중앙박물관·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전국의 고고학 발굴현장에서 출토되는 가장 흔한 유물은 뭘까? 역시 점토로 빚어 구운 도기(질그릇 혹은 토기)일 것이다...

흔적의 역사 2022.10.20

[흔적의 역사] '신라의 명품 귀고리'는 부부가 아니라 두 여성의 합장분에서 나왔다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부부가 아니었다… '신라의 명품 귀고리'는 두 여성의 합장분에서 나왔다 경향신문ㅣ2022.10.04 05:00 수정 : 2022.10.04 09:53 ▲ 1915년 경주 보문리 발굴조사에서 발굴된 국보 명품 귀고리.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귀고리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일본학자들은 이 때 조사된 보문리 고분을 두고 ‘부부총’이라 명명했고, 이 귀고리가 출토된 굴식돌방무덤을 ‘부인묘’라 해석했다. 그러나 2012년 이 고분의 발굴자료를 재검토한 국립경주박물관은 이 고분은 ‘부부총’이 아닌 ‘합장분’이라고 수정발표했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신라 최고의 명품 귀고리가 출토된 고분은 부부총이 아니었다.’ 9월 29~30일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국립박물관 소장 일제강점기 자료의 ..

흔적의 역사 2022.10.07

[흔적의 역사] 월대가 무엇이기에 광화문 앞을 파헤치고 도로 선형까지 바꿀까?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 월대가 무엇이기에 광화문 앞을 파헤치고 도로 선형까지 바꿀까? 경향신문ㅣ2022.09.20 05:00 수정 : 2022.09.21 14:16 ▲ 경복궁 광화문 앞 월대 복원 후 모습의 조감도. 월대는 1866년 경복궁 중건 때 남북 52m, 동서 29.5m 규모로 조성됐다. 때문에 월대가 완전 복원되면 사직동 방면에서 광화문을 거쳐 안국동 쪽으로 가는 도로의 선형이 반원형태로 돌아간다. /서울시청 제공 광화문 광장에서 탁 트인 가을 하늘 아래 북악산과 어우러지는 광화문·경복궁의 조화를 보는 맛이 싱그럽게 느껴진다. 그런데 오랜만에 광화문 앞을 지나는 사람들이라면 좀 이상하게 생각할 법 하다. 사직동에서 안국동으로 이어지는 광화문 앞 도로가 반달 모양으로 휘어졌고, 또 최근에는 그..

흔적의 역사 2022.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