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용의 타임머신... 영원한 시간 속에서 자세히보기

2022/01 113

[우주개발] 일본이 한국에 뒤처져?... 한국 우주개발은 저만치 앞섰다

[과학을읽다] 일본이 한국에 뒤처져?... 우주 개발은 저만치 앞섰다 아시아경제ㅣ김봉수 입력 2022. 01. 02. 09:22 댓글 26개 ▲ 일본 '데이터중계위성 1호기' 탑재 H2A 로켓 발사 성공 (가고시마 교도=연합뉴스)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와 미쓰비시중공업은 29일 '데이터중계위성 1호기'를 탑재한 H2A 로켓 43호기 발사에 성공했다. 이날 오후 4시 25분 일본 가고시마(鹿兒島)현 소재 다네가시마(種子島) 우주센터에서 로켓이 발사되는 장면. 2020.11.29 /photo@yna.co.kr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지난달 8일 일본의 억만장자 2명이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에 탑승해 우주 여행을 다녀왔다. 그러고 보면, 일본 출신 우주인은 벌써 10여명에 달한다. 한국은 200..

[도올] "이재명은 하늘이 낸 사람"

도올 "이재명은 하늘이 낸 사람"... 李 "소문 다 났다" 헤럴드경제ㅣ2022. 01. 02. 09:39 댓글 314개 ▲ 대학교수이자 철학자인 도올 김용옥(왼쪽) 선생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도올TV 캡처 이재명, 도올TV 출연해 농촌 문제 대담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철학자인 도올 김용옥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향해 “하늘이 내린 사람”이라고 극찬했다. 이 후보와 농촌 문제를 놓고 대담하는 과정에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1일 오후 유튜브 도올TV에 출연해 도올과 농촌 기본수당, 농촌의 도시폐기물 등을 주제로 30여 분간 대화를 나눴다. 도올은 이 후보를 향해 “하늘이 내린 사람이다. 하늘의 뜻이 아니라면 어떻게 이 사람이 여기까지 오느냐”며 “이 후보와 같은, 앞..

2022 대선 2022.01.02

[신년 여론조사] 이 38.5, 윤 28.4, 심 4.0, 안 8.4

[신년여론조사] 이 38.5, 윤 28.4, 심 4.0, 안 8.4 MBC 뉴스투데이ㅣ김지경 입력 2022. 01. 02. 07:10 수정 2022. 01. 02. 07:24 댓글 902개 ◀ 앵커/ 20대 대선이 이제 66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새해를 맞이해 MBC가 여론조사를 실시했는데요. 주요 정당 후보들의 4자 가상 대결에서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후보를 10%p 넘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지경 기자입니다. ◀ 리포트/ 두 달 남짓 남은 20대 대선, 이재명 윤석열 심상정 안철수, 4명의 후보 가운데 누구한테 투표할지 물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38.5, 국민의힘 윤석열 28.4, 정의당 심상정 4.0 ,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8.4%였습니다. 이재명 후보와 윤석열 후보의 격차는 10.1..

2022 대선 2022.01.02

[2022년 호랑이해] 한민족의 표상... 진취적 기상·복된 삶 상징

[2022 신년특집 - 임인년에 바라본 호랑이] 한민족의 표상 호랑이... 진취적 기상·복된 삶 상징 세계일보ㅣ조성민 입력 2022. 01. 01. 19:01 댓글 6개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나쁜 귀신 쫓고 경사 스러운 일 암시해... 조선 새해 첫날 虎 그림 액막이로 사용 농본주의 탓 개체 감소.. 일제강점기 절멸... 신화·전설·민담 40%서 주요 소재 등장 虎 관련 국내지명만 389개.. 흔적 여전... 서울·평창올림픽 등서 마스코트로 쓰여 □ 임인년(壬寅年) 호랑이해가 밝았다. 호랑이는 고대 단군신화부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마스코트 ‘수호랑’에 이르기까지 우리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적인 동물이다. 함께한 세월만큼 우리 민족의 정서와 문화를 간직한 호랑이는 그 의미가 남다를 뿐 ..

[국힘 위기] 김종인 "국힘 매우 위기, 시간 없다"

김종인 "매우 위기, 시간없다... 1월 한달간 극복해야 대선 승리" 연합뉴스ㅣ이슬기 입력 2022. 01. 01. 15:31 수정 2022. 01. 01. 16:48 댓글 648개 ▲ 윤석열,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 발언 경청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서 열린 선대위 신년인사회에서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의 발언을 경청하고 있다. 2022.1.1 /공동취재 uwg806@yna.co.kr ▲ 김종인·이준석 대화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국민의힘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과 이준석 대표가 1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한 뒤 대화하고 있다. 오른쪽은 윤석열 대선 후보. 2022.1.1 uwg806@yna.co.kr 선대위 내홍..

2022 대선 2022.01.01

[조선일보] "포퓰리즘 이재명, 오만한 윤석열 더이상 안 된다"

조선일보 "포퓰리즘 이재명, 오만한 윤석열 더이상 안 된다" 미디어오늘ㅣ정철운 기자 입력 2022. 01. 01. 12:24 댓글 1707개 [새해 신문사설] 한겨레 "비호감 대선이라 외면 말자" 중앙일보 "'누가 못하나'가 아닌 '누가 잘하나'의 대결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연합뉴스 [미디어오늘 정철운 기자] 동아일보는 '대선 D-67, 정치가 민생·경제 발목 잡아선 안 된다'란 사설에서 “청년들은 번듯한 정규직 일자리는 고사하고, 최저생계에 필요한 알바 일자리를 구하는 데도 애를 먹는다. 저출산 고령화, 연금재정 고갈, 천문학적인 탈(脫)탄소 비용 등 한국 경제가 풀어야 할 중장기적인 과제도 첩첩이 쌓여가고 있다”고 전한 뒤 “리더십이 절실한 시점에 유력 대선..

2022 대선 2022.01.01

[신년 인터뷰] '관상·풍수 전문가' 백재권이 보는 차기 청와대 주인은?

[신년 인터뷰] '관상·풍수 전문가' 백재권이 보는 차기 청와대 주인은? 데일리안ㅣ정도원 입력 2022. 01. 01. 12:40 댓글 1004개 ▲ 백재권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미북정상회담 직전 김정은 관상 주제로 WP 지국장과 대담 가져 대선후보 관상·생가 풍수 기초해 새해부터 대선 예측 특별기고 연재 백재권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는 관상과 풍수에 정통한 우리 시대의 이인이다. 지난 2018년 미북정상회담 당시 북한 김정은과 주변 4강 정상들의 관상을 주제로 워싱턴포스트(WP) 아시아지국장과 대담을 하기도 했다. 세밑에 서울 내수동 사무실에서 데일리안 취재진이 백재권 교수를 만났다. 백 교수는 미북정상회담 당시의 일화부터 풀어놓았다. 백재권 ..

2022 대선 2022.01.01

"정부 종전선언 방식은 모순... 목적지부터 정확히 밝혀야"&

[플라자 프로젝트 ⑨] "정부 종전선언 방식은 모순... 목적지부터 정확히 밝혀야" 경향신문ㅣ김찬호 기자 입력 2022. 01. 01. 13:14 수정 2022. 01. 01. 13:17 댓글 156개 [경향신문] *경향신문은 한국의 외교안보, 경제, 군사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세 분석’, ‘다음 정부를 위한 정책 제안’ 등을 담은 연속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플라자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되는 인터뷰는 ‘외교안보에는 좌우가 없다’는 원칙하에 다양한 진단과 대안을 가감없이 실을 예정입니다. 대통령 선거에 나선 후보들뿐만 아니라 일반 국민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을 담겠습니다. ▲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이 지난해 12월 28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우철훈 선임기..

[한국일보 신년여론조사] 이재명 34.3% vs 윤석열 28.7%... "정권심판론" 퇴색

[한국일보 신년여론조사] 이재명 34.3% vs 윤석열 28.7%... "정권심판론이 방황한다" 한국일보ㅣ2022.01.01 04:30 ▲ 이재명(왼쪽 사진)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한국일보 자료사진 올해 3월 9일 실시되는 대선 경기장은 국민의힘에 여전히 기울어져 있다. 그러나 경기 내용을 보면, '선수'인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우위를 놓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일보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9, 30일 실시한 신년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내일이 투표라면 어느 대선후보에게 투표할 생각인가'라는 질문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꼽은 응답자는 34.3%였고, 윤 후보를 고른 답변자는 28.7%였다. 두 후보의 지지율 격차(5.6%포인트)는 오차범위(±3.1%포..

2022 대선 2022.01.01